• Title/Summary/Keyword: 지능형차량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23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Design of Web-based Intelligent Vehicle Information System for Vehicle Remote Diagnosis and Management (웹기반 차량 원격 진단 및 관리를 위한 지능형 차량정보시스템의 설계)

  • Kim Tae-Hwan;Choi Yong-Wun;Lee Seung-Il;Hong Won-Kee;Lee Yo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14-816
    • /
    • 2005
  • 현재 까지 지능형 자동차의 서비스 형태는 주로 차량 운전자에 대한 유용한 정보제공과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연구 되어 왔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지능형 자동차와 같이 시간과 장소의 구애됨없이 언제 어디서든 자동차와의 대화와 제어가 가능한 서비스 제공에는 많은 제약 사항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웹기반 차량 무선원격제어 및 진단을 위한 지능형 차량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구현한 지능형차량정보시스템은 언제 어디서든 웹브라우져를 통하여 원격지 차량의 제어와 진단이 가능하며, 제어 조작자와 차량 간의 이동성을 제공하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상의 차량제어서버를 이용하여 차량 진단을 위한 과거 차량 상태 내역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차량 원격제어와 진단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 PDF

무선 통신과 영상인식을 활용한 지능형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In-Seok;Jeong, Tae-Kwang;Hong, Won-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81
    • /
    • 2009
  • 논문은 지능형 자동차 개발을 위한 마이크로마우스를 활용한 차량-도로 간 통신, 모터제어, 영상처리와 물체감지 센서들을 활용한 도로 상황정보 인식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지능형 자동차의 운행을 구현하고 테스트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검증된 기술들을 실제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과 테스트를 실시한다. 또한 누구나 쉽게 간단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한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를 활용하여 영상처리를 통한 차선인식과, 직진 좌회전 및 도로의 교통표시마크를 읽어 들여 차체를 컨트롤하고 차량-도로간 통신을 이용해서 신호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교차로를 안전하게 통과하게 된다. 또한 앞 차량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속도조절과 차량 간 거리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Implement of Intelligent Head-Up Display for Vehicle (차량용 지능형 Head-Up Display의 적용 실험)

  • Son, Hui-Bae;Ban, Hyeong-Jin;Yang, Kwun;Rhee,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3
    • /
    • pp.400-405
    • /
    • 2010
  • This paper deals with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ead up display for vehicle safety system. The Implanted new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offer the potential for improved vehicle to driver communication. The most commonly viewed information in a vehicle is from the Head up display, where speed, tachometer, engine RPM, navigation, engine temperature, fuel gauge, turn indicators and warning lights provide the driver with an array of fundamental information. TFT LCD, LCD Back light led, plane mirror, lens and controllers parts were designed to head up display system. Finally, In this paper, we analyze intelligent head up display system for vehicle of driver safety.

An Intelligent Land Vehicle Information System for CDMA-based Wireless Remote Diagnosis and Management (CDMA기반 무선 원격진단 및 관리를 위한 지능형 차량 정보 시스템)

  • Kim, Tae-Hwan;Lee, Seung-Il;Hong, Won-Ke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2 no.2
    • /
    • pp.91-101
    • /
    • 2006
  • Researches on services of vehicl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how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or an in-vehicle driver. However, the needs are appreciably increased for more advanced services that help drivers to check and manage their vehicles conveniently, without requiring drivers to attach to their vehicles. It is a sort of ubiquitous computing, providing an intelligent interactive services for human at any time and any wher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telligent vehicle information system to enable a driver to remotely diagnose and control a vehicle via CDM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system improves mobility for diagnosis and control of vehicle by implementing a cut and call back mechanism, which allows the vehicle terminal to have access to the information server on the Internet via CDMA call. No matter where the driver is, he can obtain the remote diagnosis and control services on the web browser without any additional application installation. Design methodology is introduced and evaluation results are analyzed for the CDMA-based intelligent vehicle information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sponse time of the vehicle terminal to a web client request is 10.302 seconds at the beginning and 646.44ms thereafter. The average response time of CAN sensor node to a vehicle terminal request is 6.669ms.

Development intelligent integrated gateway for in In-Vehicle Network (In-Vehicle Network에서 지능형 통합 Gateway 시스템 개발)

  • Jang, Jong-Wook;Oh, S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7-1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차량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등의 버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IVN(In-Vechicle Network)에 대한 선행연구와 지능형 통합 Gateway 개발 연구를 통해 통합적인 차량 상태정보 수집 및 교환을 위한 차량 Gateway를 제시하고, Soc(System on Chip)형태의 차량용 인터페이스(HMI, 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한 지능형 통합 GateWay 통신 기술을 OSGi의 번들 형태로 제작하여 알아본다.

차량 통신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

  • Lee, Sang-Woo;Lee, Byung-Gil;Nah, Jae Hoon
    • Review of KIISC
    • /
    • v.25 no.4
    • /
    • pp.38-42
    • /
    • 2015
  • 오늘날 차량 교통 시스템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formation Transportation System) 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차량 간 통신 및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을 활용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교통 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차량 통신 보안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고에서는 차량 통신 보안 기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A Bus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Structure Using Wireless LAN Location Tracking Method (무선랜 위치 추적을 활용한 버스 교통의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 구조)

  • 강효성;김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502-504
    • /
    • 2004
  •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 바로 위치 정보이다. 대부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얻게 된다. 그러나 GPS수신기와 같은 장치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크기 때문에 차량마다 장착하여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에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무선랜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버스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에 적용한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버스는 노선의 자유도가 택시 같은 다른 교통편에 비해서 작으므로 무선랜으로 위치 추적하는 방법은 다른 위치 추적 방법에 비해 경제적으로 보다 적합하다.

  • PDF

DSRC-Based Adaptive Intelligent Navigation Systems (DSRC 기반 적응형 지능 내비게이션 시스템)

  • Jeong, Hohyeon;Lee, Jung-Won;Jeong, Jaehoon Paul;Lee,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5-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적응형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로 도로교통망 중 한 구획의 도로상황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Traffic Control Center (TCC). 두 번째로 개별적인 도로나 교차로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도로상황정보를 수집하는 Road Side Unit(RSU). 마지막으로 차량들 간의 망 형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DSRC)를 기반으로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가 있다. DSRC를 기반으로 RSU와의 통신하는 단말기는 실시간 도로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최적의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속도와 같은 교통정보는 단말기에서 측정되고, RSU로 전송된다. RSU는 이 정보를 처리하여 해당 도로의 도로상황지수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TCC에 전송한다. TCC는 RSU로부터 도로상황지수를 통합하여 TCC의 관할 구획의 모든 차량에 대해 도로교통정보를 만든다. 마지막으로 단말기는 효율적인 경로안내를 위해 최적의 경로를 도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기, RSU, TCC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AINS는 동적인 교통상황(정체, 교통사고 등)을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의 적응형 지능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요소 기술 연구 동향

  • Song, Seok-Il;Lee, Jae-Seong;Go, Gyun-Byeong;Mun, 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0
    • /
    • pp.18-24
    • /
    • 2013
  • 협력 지능형 교통 시스템 (C-ITS: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은 차량이 도로 인프라 또는 다른 차량과 서로 통신하면서 전방의 교통사고 및 장애물과 주변 차량 정보를 공유하여 위험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경고하는 미래형 교통체계이다. C-ITS는 보행자 및 차량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배출탄소량 감소 및 교통물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미래사회의 핵심 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C-ITS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다중 센서 융 복합 기반 교통정보 수집, 교통정보를 쌍방향으로 유통하기 위한 통합 무선 통신망, 스마트 기기와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 및 빅 데이터 처리와 주문형 서비스 제공 등의 핵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협력형 교통 환경에서의 C-ITS 구조 및 관련 핵심 요소 기술을 소개하고, 앞으로 해결할 과제를 소개 한다.

Intelligent Recognition System of Car License Plate (지능형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 Kang, Moo-Jiin;Kang, Hye-Min;Woo, Young-Wo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37-342
    • /
    • 2008
  • 최근 들어 기존의 녹색 바탕 차량 번호판에서, 흰색 바탕의 신 차량 번호판으로 교체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기존 차량 번호판이 신 차량 번호판으로 전면 교체되지 않아 두 번호판 모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주차관리 시스템, 속도위반, 신호 위반 등 무인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기존 차량 번호판과 신 차량 번호판의 특징에 맞는 인식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차량 번호판과 신 차량 번호판을 통합한, 지능형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무인 카메라에서 획득된 차량 영상에서 번호판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차량 번호판과 신 차량 번호판을 구분한다. 기존 차량 번호판인 경우에는 HSI 컬러 공간을 이용하여 이진화를 적용하며, 신 차량 번호판인 경우에는 블록 이진화를 적용한다. 이진화된 영상을 대상으로 차량의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차량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차량 번호판 영역에 대해 Label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문자를 추출한다. 추출된 개별 문자는 FC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다. 제안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60장의 기존 차량 영상과 100장의 신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이 실험을 통해서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