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능기계

검색결과 1,038건 처리시간 0.026초

최신 IT 기반 지능형 굴착 시스템의 개발 현황

  • 장달식
    • 기계저널
    • /
    • 제52권11호
    • /
    • pp.43-47
    • /
    • 2012
  • 이 글에서는 두산인프라코어(주)를 중심으로 15개 국내외 기관이 참여하여 토목 및 전자 그리고 기계기술의 융합을 통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지능형 무인 굴착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게임을 위한 계층적 상태 기계 기반의 인공지능 LOD (HSM(Hierarchical State Machine) based LOD AI for Computer GamesS)

  • 서진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43-149
    • /
    • 2013
  •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좀 더 정교하고 복잡한 게임 인공지능을 기대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나 개발자들은 인공지능 LOD 기법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전통적인 기하 LOD와는 달리, 기존의 인공지능 LOD 기법은 제한된 범위밖에 활용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임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층적 상태 기계와 Lua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는 인공지능 LOD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접근 방식을 이용하면, LOD를 위한 다단계의 인공지능 모델을 쉽게 도출할 수 있으며 상태기계를 직접 하드 코딩하지 않고 다양한 객체를 설계할 수 있다. 더불어, 제안된 기법의 효용성을 보여주기 위해, 프로토타입 엔진을 이용하여 수행한 성능 시험 결과도 보여 주고 있다.

디코더를 활용한 기계독해 모델의 근거 추출 방법 (Evidence Extraction Method for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odel using Recursive Neural Network Decoder)

  • 한규빈;장영진;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09-614
    • /
    • 2023
  • 최근 인공지능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문 지식에 특화된 분야(질병 진단, 법률, 교육 등)에도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전문 지식 분야는 정확한 판단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인공지능 모델의 결정에 대한 근거나 해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연구인 XAI가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착안해 본 논문에서는 기계독해 프레임워크에 순환 신경망 디코더를 활용하여 정답 뿐만 아니라 예측에 대한 근거를 추출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모델의 예측 답변이 근거 문장 내 등장하는지에 대한 실험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이 추론 과정에서 예측 근거 문장을 기반으로 정답을 추론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법령과 고시 - '지능형건축물 인증제' 활성화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58호
    • /
    • pp.71-73
    • /
    • 2012
  • 국토해양부는 지능형 건축물 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시행규칙과 고시를 각각 제정하고, 지난해 12월 1일 공포했다. 이 제정안은 2006년부터 지침으로 운영 중인 '지능형 건축물 인증제도'가 지난해 5월 건축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고, 건축 기준 완화 인센티브가 확대됨에 따라 이번에 기존의 지능형 건축물 인증 세부시행 지침을 보완한 것이다. 이번 규칙 및 고시는 지능형 건축물 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업무시설 외에 공동주택, 판매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등으로 인증대상을 확대하고, 원활한 인증제도 운영을 위한 인증기관 지정, 인증절차 및 인증등급의 세분화, 인센티브 적용 방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 PDF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 러닝' 분야의 국내 논문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Korea Papers in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 박홍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83-292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인 인공지능은 2016년 알파고 이후에 인공지능 인식이 매우 높아져 있다. 본 논문은 학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국내 논문 중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 러닝'으로 검색된 국내 발표 논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약 1만여건이며 논문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토픽 모델링, 의미 연결망을 이용하였다. 추출된 논문을 분석한 결과, 2015년에 비해 2016년에는 인공지능 분야는 600%, 기계학습은 176%, 딥 러닝 분야는 316% 증가하여 알파고 이후에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18년 부터는 기계학습보다 딥 러닝 분야가 더 많이 연구 발표되고 있다. 기계학습에서는 서포트 벡터 머신 모델이, 딥 러닝에서는 텐서플로우를 이용한 컨볼루션 신경망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 러닝' 분야의 향후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인공지능

  • 정석우;심현철
    • 기계저널
    • /
    • 제57권3호
    • /
    • pp.42-45
    • /
    • 2017
  • 이 글에서는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율주행기술에 적용된 인공지능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사람 수준 또는 그 이상의 인공지능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자동차업계뿐만 아니라 많은 IT업계 또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석유 분야의 전문가 시스템 활용 현황과 향후 전망 분석 (Applications for Expert Systems in the Petroleum World : Present and Perspective)

  • 장승룡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지능형 정보기술과 미래조직 Information Technology and Future Organization
    • /
    • pp.99-107
    • /
    • 1999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AI)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지각, 인식, 이해, 기억, 판단, 학습, 사고, 발견, 창조 등과 같은 지적인 능력을 기계에 실현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즉 기계에 인간이 가진 지능을 복제하여 우리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추론과 학습 메커니즘 등을 이용하여 신속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의 실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인공지능 분야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왔으며 수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석유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석유 지질, 탐사, 매장량 평가, 시추, 생산, 수송, 정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인공지능 분야가 활용되어 많은 문제 해결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석유 분야별로 활용되고 있는 인공 지능 분야들을 정리하고 그 후 인공지능 분야별로 실제 해결하고 있는 석유 분야의 문제들을 다시 한번 정리하였다. 그 후 특히 석유 분야가 있어서 실제 개발되어 사용중인 전문가 시스템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석유 분야의 전문가 시스템 발전 방향을 간략히 분석하였다.

  • PDF

유전 탄성체기반의 액추에이터와 소프트 로봇으로의 응용

  • 오일권;최준호
    • 기계저널
    • /
    • 제56권6호
    • /
    • pp.41-45
    • /
    • 2016
  • 로봇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로봇은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판단하고 행동하도록 지능화되고 있으며, 소프트 지능재료를 활용하여 생체 근육을 모사한 다양한 소프트 로봇에 대한 연구들이 소개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소프트 지능재료 중에서, 특히 유전탄성체 기반의 소프트 로봇에 대한 현재 국내외 연구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전망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지능형 로봇 산업의 현황과 전망

  • 이호길
    • 기계저널
    • /
    • 제46권5호
    • /
    • pp.37-43
    • /
    • 2006
  • 이 글에서는 차세대 성장동력 기술인 지능형 로봇 산업의 구체적인 현황, 그리고 이 분야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 산업자원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발전 계획과 비전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의 지능 로봇 기술

  • 김문상
    • 기계저널
    • /
    • 제46권5호
    • /
    • pp.50-55
    • /
    • 2006
  • 이 글에서는 세계적인 로봇공학의 발전 추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지능로봇이 어떤 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예측해본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로봇기술 발전 방향을 짚어보고, 구체적인 연구 기술 개발분야를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