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 환경

Search Result 4,60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Origin of Water on the Earth (지구상의 물의 기원)

  • 이민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 no.2
    • /
    • pp.73-79
    • /
    • 1994
  • 1957년 인류중 처음 외계로부터 지구를 바라본 소련의 우주비행사 가가린은"지구는 푸르다"라고 말했다. 이 우주에는 무수한 행성이 있지만 그중에서 단 하나 지구만이 그 표면에 가득히 물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지구를 물의 행성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어째서 지구에만 물이 존재하며, 그 물의 기원은 무엇인가. Table 1에 지구 수권에 있어서의 물의 분포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지구상의 물의 중요도는 해양, 만년빙 또는 빙하 그리고 지하수의 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들은 육지에 있어서 지하수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해야 할 것이다.식해야 할 것이다.

  • PDF

지구생명의 신비-습지와 개펄

  • Seo, Won-U
    • 공원문화
    • /
    • s.72
    • /
    • pp.86-88
    • /
    • 1998
  • 지구환경문제와 관련 역사이래 오랫동안 '가장 쓸모 없는 땅'으로 여겨져 왔던 습지와 개펄이 21세기 환경경제시대를 앞두고 '지구의 콩팥'으로 비유되며 재평가 되고 있다. 습지와 개펄의 경제적.문화적.경관적.환경생태학적 가치와 보존 방안 등을 기획 시리즈로 엮는다.

  • PDF

환경칼럼 - 지금 이 순간, 지구에서 곤충이 사라진다면?

  • Kim, Jin-Ma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4
    • /
    • pp.2-5
    • /
    • 2014
  • 지금 이 순간 인간이 사라진다면 지구의 생태계는 어떻게 될까? 아무 일 없이 잘 돌아갈 것이다. 생태계는 더 푸르고 짙어질 것이다. 만일 곤충이 사라진다면? 누가 식물의 수분을 도와주고 숲을 솎아주고 자연을 정화해줄 것인가? 아마도 곤충이 사라진 지구의 생태계는 조만간 사라져 버릴 것이다.

  • PDF

사회.환경 측면에서의 대체 에너지 정책 평가

  • 김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05a
    • /
    • pp.15-19
    • /
    • 1993
  • 지구의 환경 문제는 국제적으로 점차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구에 인류가 존재하는 한 환경은 오염될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 지구 생태계의 커다란 변화가 다가올 것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지구 환경의 보존을 위해 에너지 이용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며, 청정 에너지의 개발, 사용으로 온실 효과의 주범인 $CO_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화석 연료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대책과 화석 연소로부터 발생되는 NO$_{x}$ 나 SO$_{x}$ 등에 의한 산성비로 생태계의 파괴를 막을 수 있는 청정 에너지의 개발을 위한 사회, 환경적인 정책적 제도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환경.과학소식-지구를 살리는 "8가지기술"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9 s.369
    • /
    • pp.69-70
    • /
    • 2007
  • 올해 다보스포럼에서는 지구 온난화 문제가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지구를 살리는 8가지 신기술을 보도해 화제다. 미 경제 주간지 '비즈니스2.0' 은 최신호를 통해 '지구를 살리는 8가지 기술' 을 소개했다. 이 잡지가 소개한 기술을 살펴보면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연료, 오염물질 감지센서, 중금속을 흡수하는 나무, 멸종위기 위치 추적시스템 등이다.

  • PDF

EOS 자료를 이용한 지구고층대기 연구

  • 최기혁;임효숙;이주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91-91
    • /
    • 2001
  • 현재 진행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지구변화 (Global Change)의 연구는 환경/지구과학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의 분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는 지구환경에 부정적인 효과가 초래될 것으로 우려되는바, 여러 지구환경 인자들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대기온도이고 아울러 해수온도/해류, 바람속도/방향, 대기화학 조성, 식생분포, 구름량, 얼음분포 등이 간접적인 인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EOS 위성군 중 고층대기 연구를 위한 UARS 위성의 HRDI 센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HRDI는 대기성분 중 산소 $O_2$ 발광선의 도플러 변이를 측정하여 바람속도를 측정한다.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50~100 km 상공의 바람속도 변화를 지상에서의 OH 발광선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서 정략적이고 보편적인 결과 도출보다는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지구온난화는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대기 중 에너지의 증가를 불러와 필연적으로 고층대기의 교란 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지구전체 대기의 풍속/풍향의 고도변화가 분석되면 지구온난화에 의한 고층대기 변화가 탐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저 우주를 향하여(6)

  • Gu, Sang-Hoe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300
    • /
    • pp.64-75
    • /
    • 2004
  • 지구의 환경파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따.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따른 지구의 온난화, 이로 인한 기상이변과 해수면의 상승,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공기, 물 및 토양의 오염, 녹지의 감소와 가속되는 사막화 및 오존층의 파괴 등 날로 황폐화 되고 있는 지구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인류전체가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인류생존과 직결된 지구환경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를 해석학 연구할 수 있도록 지구적인 관측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상적인 관측 장소는 우주공간이라 할 수 있다.

  • PDF

Calculations of the Single-Scattering Properties of Non-Spherical Ice Crystals: Toward Physically Consistent Cloud Microphysics and Radiation (비구형 빙정의 단일산란 특성 계산: 물리적으로 일관된 구름 미세물리와 복사를 향하여)

  • Um, Junshik;Jang, Seonghyeon;Kim, Jeonggyu;Park, Sungmin;Jung, Heejung;Han, Suji;Lee, Yunseo
    • Atmosphere
    • /
    • v.31 no.1
    • /
    • pp.113-141
    • /
    • 2021
  • The impacts of ice clouds on the energy budget of the Earth and their representation in climat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as important and unsolved problems. Ice clouds consist almost exclusively of non-spherical ice crystals with various shapes and sizes.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ice clouds on solar and infrared radiation as required for remote sensing retrievals and numerical models, knowledge of scattering an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ice crystals is required. A conventional method for representing the radiative properties of ice clouds in satellite retrieval algorithms and numerical models is to combine measured microphysical properties of ice crystals from field campaigns and pre-calculated single-scattering librarie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of ice crystals, which depend heavily on microphysical and scattering properties of ice crystals. However, large discrepancies between theoretical calculations and observations of the radiative properties of ice clouds have been reported. Electron microscopy images of ice crystals grown in laboratories and captured by balloons show varying degrees of complex morphologies in sub-micron (e.g., surface roughness) and super-micron (e.g., inhomogeneous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scales that may cause these discrepancies. In this study, the current idealized models representing morphologies of ice crystals and the corresponding numerical methods (e.g., geometric optics, discrete dipole approximation, T-matrix, etc.) to calculate the single-scattering properties of ice crystals are reviewed. Current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calculations of the single-scattering properties of atmospheric ice crystals are addressed in terms of cloud microphysics. Future directions to develop physically consistent ice-crystal models are also discussed.

Remote Sensing and GIS for Earth & Environmental Disasters: The Current and Future in Monitor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2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지구환경재해 관측과 관리 기술 현황 2)

  • Yang, Minjune;Kim, Jae-Jin;Ryu, Jong-Sik;Han, Kyung-soo;Kim, Jinso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5_3
    • /
    • pp.811-818
    • /
    • 2022
  • Recently, the number of natural and environmental disaster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extreme weather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scale of economic losses and damage to human life is increasing accordingly. In addition, wi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scale of extreme weather appearance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large in different ways from the past, and need for 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responding and managing global environmental disasters. This special issue investigates environmental disaster observation and management research using 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ntroduces the results of disaster-related studies such as drought, flood, air pollution, and marine pollution, etc. in South Korea performed by the i-SEED (School of Integrated Science for Sustainable Earth and Environmental Disaster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pecial issue, we expect that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management technologies that may prevent environmental disasters and reduce damage in adv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