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과학의 혁명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세계과학기술사 (서양편) -코페르니쿠스혁명-

  • 송상용
    • 발명특허
    • /
    • v.5 no.10 s.56
    • /
    • pp.24-26
    • /
    • 1980
  • 스스로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한 일이 뜻밖에 엄청난 결과를 낸 경우를 역사에서 가끔 볼 수 있다. 과학혁명의 테이프를 끊은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 $1473\~1543$)가 그 좋은 예다. 그의 새로운 우주체계는 과학혁명의 불씨가 되었지만, 본의는 천문학의 조그만 개혁을 넘어서는 것이 아니었다. 만일 그가 150년뒤의 무서운 변화를 보았다면 공포에 질려 몸을 떨었으리라. 1400년동안 잘 내려온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우주체계가 새삼스럽게 문제된데는 두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프톨레마이오스체계를 토대로 해서 만든 력은 1년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크게 불편했다. 둘째,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은 많은 결함을 지니고 있었는데, 당시의 천문학자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멋대로 고쳐서 우주체계가 걷잡을 수 없이 복잡해졌다.

  • PDF

Proposal Strategy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a New Scientific Theory Examined through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대륙이동설을 통해 살펴본 새로운 과학이론의 제안전략과 확립과정)

  • Jun-Young Oh;Eun-Ju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7 no.1
    • /
    • pp.20-33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ientific activities of scientists justifying Wegener's continental drift in the 20th century, which is explained as a revolutionary process in earth science, and methodologically analyze the strategy of proposing new scientific theories and how the process of theory selection is carried out. Previously, the Earth was a static model and onl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rust was considered. However,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proposed horizontal movement of the crust as a dynamic model of the Earth, eliminating numerou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ational activities of numerous scientists until the current plate tectonics theory was formed. Additionally,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is in conflict with the theory of Earth shrinkage, which is an existing static model. In other words, it deviates from the existing mechanistic world view by presenting a dynamic model in which the Earth is created and changes, as opposed to a static model in which the Earth is already completed, fixed, and unchanged. As a result, old geology was weakened and new geophysics was born.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and continued exploration by subsequent generations of scholars brought about a revolution in earth science. This can be said to be a good subject of investigation as educational material for various methodologies for students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changing students' worldview.

Is GMO Safe? (A Perspective of Plant Biotechnology in Korea)

  • Song Pill-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Biotechnolog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5-38
    • /
    • 2004
  • 1950-1960 년대의 녹색혁명은 1970년 Nobel 평화상수 상자 Norman Borlaug가 주도했었다. 제1 녹색혁명은 지구상의 가장 큰 문제점중의 하나인 기아를 해결하는지 크게 일조하였다. 많은 사람들을 굶주림으로부터 해방시켰지만 굶주리는 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매일 태어나고 있고, 지구의 인구증가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언제까지 인구증가가 계속될 것인지,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자원의 증가도 비례할 것인지는 오래전부터 인류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고, 자연스럽게 지구의 기아를 해결하는 제2의 녹색혁명은 과학자들의 연구를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1980 년대에 미국 Monsanto 회사에서 유전공학적으로 개발한 Roundup-Ready 제초제저항성 및 Bt-살충 농작물을 선보이면서 제2의 녹색혁명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렇게 제2의 녹색혁명은 유전공학에 의한 CMO 식물$\cdot$작물에 의해 시작되었다. Monsanto 회사는 살충제 RoundUp 제초제 저항성 옥수수, 콩, 목화, Canola (유채꽃, rape seed) 등을 개발하여 이미 상업화하였다. 1960년대 쌀의 녹색혁명도 유전적으로 벼집이 짧은 품종에 의해 이루어졌다. 최근에 개발된 GMO "Golden Rice"는 비타민 A와 철분의 함량을 대폭 증대 시켜 세계 영양결핍 아동들의 건강과 시각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는데, "Golden Rice"는 제1회 금호국제과학상 수상자인 Potrykus (스위스공대) 교수가 개발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그 보급에 많은 장애물이 있다. 특히 GMO의 환경과 건강에 대한 안전성을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다. 제2의 녹색혁명의 또 다른 분야는 식물의약 분야이다. GMO 개발에 적용되는 기술을 이용하면 taxol 같은 항암제, carotene 같은 항산화 영양제 등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식물은 화학적 합성이 아주 까다로운 약제물질 등을 천연상태에서 합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식물은 lipoxygenase 효소계가 있어서 마치 천연물 석유제조공장과 같은 제조공정 capacity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식물/식품 GMO는 안전한 것인가? 아니, KBS의 한 사회자가 말했듯이, 그리고 많은 소비자들이 믿는 것처럼 GMO는 위험한가? GMO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공포감은 Green Peace 당원들뿐만 아니라 일부 과학자들에 의해서도 조장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GMO에 의한 제2 녹색혁명은 Africa 대륙에서의 제1 녹색혁명이 지금도 지연되는 것과 같다고도 볼 수 있다. GMO의 환경에 대한 악영향은 과대 선전되어있는 것이 아닌가? 마치 GMO가 화학비료, 농약제보다 더 위험하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다. 나는 이러한 GMO 공포증이 과학적으로 그리고 "Risk Assessment"의 견지에서 볼 때 그 근거가 희박하다고 보여주는 몇 몇 실험 및 경험 사실들을 인용하려 한다. 그리고 올바른 Risk Assessment야 말로 한국의 21세기 BT 산업을 경쟁력 있게 하고 국민 년 소득 2만불 달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농토가 적고 천연자원이 빈약하다. GMO는 21세기의 생존 경쟁 산업이다. 제2의 녹색혁명은 얼마든지 가능하며, 한국은 부족한 농토와 빈약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능력 있는 인적자원이 풍부하여 GMO 개발 연구에 국제적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GMO에 대한 논쟁만 하고 있으면 이미 때가 늦는다. 미국은 이미 GMO-BT 시장을 거의 완전 독점했으며, 타국에서의 논쟁과 불합리적으로 엄격한 GMO 관련 규정을 조장하고 환영한다.

  • PDF

석탄의 액화방법-석탄에 수소의 첨가로 액화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6 s.97
    • /
    • pp.47-52
    • /
    • 1977
  • 18세기 산업혁명이후부터 약 150여년동안 석탄이 인류의 주「에너지」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석유가 발견되고 산업화되면서는 석유가 금세기의 주「에너지」원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인류가 이용가능한 지구상의 「에너지원」(중수색을 제외)은 도합 석유환산 8.15 x 10¹²Kl에 달하고 있는데 이중 석탄이 절반을 넘는 57.7%이고 석유는 겨우 3.1%에 불과하여 석유의 가채년수가 30년이라는 한계에 도달하여, 세계각국은 석유에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에 힘쓰고 있다. <표 1참조> 그러나 지지부진한 상태이고 또한 제품화된다 하더라도 「코스트」가 석유보다 상당히 높으며, 1985년에 가서도 1차 「에너지」부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미만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근년에 와서 지구상의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인 석탄의 효율적 이용방법으로서, 석탄의 「개스」화 내지 야화에 대한 각국의 관심도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인 이유를 바탕으로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검토된 바 있는 석탄의 야화방법과 상대적 이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 PDF

Analysis of Earth Science Area among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역량중심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지구과학 영역 분석)

  • Kim, Ye-Bin;Kim, S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4 no.2
    • /
    • pp.136-145
    • /
    • 2021
  •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is re-constructured into core competency-based program in line with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alented people with comprehensive ability are required. Therefore,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is provided from Gifted Education Database(GED) i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2015 revised edition in science and 5 main core-abilities; 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This research, which is provided from GED, is focused on earth science area among competency-based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analy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ow science and core-ability is appeared in 3 programs developed in science area. This research can be another guideline when someone would like to use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suggesting a right direction for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 Firstly, in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fluence rate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and scientific thinking ability are highest, where influence rates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are relatively low. Secondly, in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single activity may includes several core-abilities. Following research is quite meaningful in aspect of giving out the information to choose topic in core-ability when using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lso by supplementing lowly-influenced ability in competency-based earth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t is expected for gifted students to build scientific core-ability.

환경성능을 고려한 환경 친화적 건축물의 전개방향

  • 이강희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0
    • /
    • pp.36-41
    • /
    • 2003
  •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 발전과 한께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인구 증가는 생활수준향상을 위한 개발중심의 경제사회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제$.$사회의 발전은 지구상의 유한한 자원 에너지 등의 소비증가를 요구되는 한편, 자원$.$에너지 소비로 인해 쓰레기, 산업$.$생활폐기물, 수질오염, 대기오염 등의 발생증가로 인해 환경을 오염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무절제한 자원$.$에너지 이응과 환경오염 등에서 벗어나 환경과 조차를 이루는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중략)

  • PDF

Geological Achievements of the 20th Century and Their Influence on Geological Thinking (20세기에 이룩된 지질과학 업적과 이것이 지질과학 사고방식에 끼친 영향)

  • Chang, Soon-Keun;Lee, Sang-M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5
    • /
    • pp.635-646
    • /
    • 2000
  • Geological achievements of the 20th century revolutionized our views about geological understanding and concept. A good example is the concept of continental drift suggested early in the 20th century and later explained in terms of seafloor spreading and plate tectonics. Our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ions of materials forming earth has also improved during the20th century. Radio and stable isotopes together with biostratigraphy and sequence stratigraphy allow us to interpret the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erms of plate movement and sedimentation processes. The Deep Sea Drilling Project initiated in 1960s and continued as the Ocean Drilling Project in 1980s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international research observations, and new developments in computational techniques have provided a wholly new view about the interior of the earth. Most of the geological features and phenomena observed in deep sea and around continental margins are now explained in terms of global tectonic processes such as superplumes flowing up from the interior of our planet and interacting with such as Rodinia Pannotia and Nena back in the Precambrian time. The space explorations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opened up a new path to astrogeology, astrobiology, and astropaleontology. The impact theory rooted in the discovery of iridium and associated phenomena in 1980s revived Cuvier's catastrophism as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extinctions of biotas found in the geological record of this planet. Due to the geological achievements made in the 20th century, we now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geologic times and processes that were too long to be grasped by human records.

  • PDF

Green Comput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Using Job Management Scheduling (작업관리를 이용한 그린 컴퓨팅 설계 및 구축)

  • Lee, Young-Joo;Sung, Jin-Woo;Jang, Ji-Hoon;Park, Chan-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171-1173
    • /
    • 2012
  • 이제는 하나뿐인 지구를 지키고 살리는 녹색혁명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의 환경도 그린 컴퓨팅 환경으로 바뀌어지고 있다. 그린 컴퓨팅은 컴퓨팅 작업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여보자는 것으로서 컴퓨터에 대한 전력을 절감함으로써 에너지 비용 절감, 저탄소 환경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린 컴퓨팅은 녹색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일환으로, 컴퓨터 자체를 움직이는 여러 에너지들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냉각과 구동 및 주변기가들을 작동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력 등을 줄이기 위해서 CPU나 GPU등 각종 프로세서들의 재설계, 대체에너지 등을 활용하는 방안 등 탄소배출을 최소화시키는 등의 환경을 보호하는 개념의 컴퓨팅이다. Christian Belady 2007년 2월, Electronics Cooling Magazine의 통계에 의하면 2001년에는 인프라 비용과 전력 비용의 합이 서버의 가격과 같았고, 2004년에는 인프라 비용이 서버 비용과 같아졌다. 그런데, 2008년에는 에너지 비용 하나만으로도 서버 비용과 같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그린 IT, 그린 컴퓨팅은 하면 좋고, 안하고 말고가 아닌 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필수적인 것으로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ISTI 슈퍼컴퓨터에서의 그린 컴퓨팅을 구현하기 위하여 먼저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을 설계 구축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테스트하였다.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Conservation of Mass on Carbon Cycle through Carbon Emission Scenario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질량 보존의 개념 분석)

  • Seo, Jeong-Wook;Kim, Hyoungbum;Potvin, Patric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3
    • /
    • pp.192-20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 of conservation of mass through the scenario of carbon emission in terms of carbon cycle. Seventy six high school students of 11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two scenarios that showed a gradual increase and decrease of atmospheric $CO_2$ amount from the level recorded in 2013 up to 450 ppm and to 340 ppm by 2110, which is the changes of around 15%. We asked participants to explain the reason after having them draw the emissions trajectory of $CO_2$ according to scenario. Most participants thought that carbon emission would continue to increase despite the two scenarios of carbon emission making sense in terms of conservation of mass between emissions and the natural removal of carbon dioxide. This implies that participants came to think of pattern matching that carbon emission would continue to increase as they used correlation graphs of carbon emission: that is, the graphs of the evolution of anthropogenic emissions, of atmospheric $CO_2$, and of global mean temperat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up to date, all of which are shown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Revolutionary Evolution on the Hydrological Climatology using 4-dimensional Rain Indexes (4차원 강수지수를 이용한 강수기후연구의 혁명적 진화)

  • BYUN, Hi 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8-648
    • /
    • 2015
  • 이 연구는 수자원 환경을 전반적으로 객관화, 계량화하는 새로운 방법이 성공적임을 소개한다. 기존의 계량법이 일강수량, 월 강수량, 년 강수량 등등, 단순한 수학적 합계에 치중한 결과 가중 중요한 강수의 시간 분포를 간과하였다. 이 단점을 해결하여, 1) 구체적으로 매 시간, 매일 남아 있다고 추정되는 물의 양 만을 합산하는 방법을 택했다. 시간적 감소함수를 이용하여, 강수 후 유출과 증발 등으로 사라지는 물의 양을 고려한 것이다. 2) 합산기간을 객관화하였다. 기본 합산 기간을 365일로 하고, 물 부족 또는 물 과잉이 지속될 경우는 지속되는 기간만큼, 합산기간을 늘이는 방법을 택했다. 따라서 다른 지수들이 임의로 3개월 또는 12개월 등등으로 기간을 결정하는 단점을 해결했다. 이렇게 계산되는 4차원 강수지수(4-Dimensional Rain Index, 4RI)는 1) 일별유효강수지수 (AWRI), 2) 일별가뭄지수(EDI), 3) 일별 홍수지수(FI), 4) 시간별 장기 물지수(LWI), 5) 시간별 단기 물지수(SWI) 등 5개가 기본지수이다. AWRI는 매일 남아 있는 물의 양이다. 이로 인해, 전 지구의 수자원과 재해위험의 시공간적 분포의 정량화 분석이 정밀해졌다. 지구상에서 물 집중이 가장 강한 곳은 캄보디아 내의 한 지점이며 시기는 7월 말이고, 가장 약한 곳은 사하라 사막의 한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또 한국에서 발생하는 갈수기와 풍수기가 정의되었고, 이들의 각 지역별 특성과 차이가 정량적으로 드러났다. 시간적 분포 또한 명확하게 드러나, 각종 저수지의 물 관리나 농?임산물의 생산관리에 획기적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각 국가별로, 각 지역별로 이런 분석은 향후도 무수히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EDI는 매일의 AWRI를 그 날짜의 평균치와 비교한 값이다. 장기가뭄 및 단기가뭄의 강도를 모두 가장 정밀하게 표현한다. FI는 일별로 홍수, 산사태, 침수, 토사 (이하 홍수 등이라 칭함)의 위험을, LWI는 장기 누적된 강수량에 의한 돌발적 홍수 등의 위험을, SWI는 단기 누적된 강수량에 의한 돌발적 홍수 등의 위험을 잘 반영한다. 이들은 모두 시간적으로 산발적인 호우에 의한 홍수 등의 위험을 한 개의 지수로 표현해 주는 장점이 있다. 강수 후 홍수가 발생하기 까지는 시간차이가 있기 때문에, 특히 호우 경보에는 SWI가, 홍수 경보에는 LWI가 아주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5개의 4차원 강수지수는 물환경의 시공간적 분포진단과 예측, 그리고 조기경보에 혁명적 진화를 초래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추후 모든 강수기후와 연관된 연구는 연강수량 등의 단순 합산보다, 4차원 강수지수를 먼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임이 제안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