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산속도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7초

CA저장 기체조성에 따른 사과 Fuji의 증산속도 (Effects of Storage Gas Concentrations on the Transpiration Rate of Fuji Apple during CA Storage)

  • 강준수;정헌식;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1-266
    • /
    • 2002
  • CA저장 중 저장기체 조성에 따른 사과 Fuji의 증산속도를 측정하고, 같은 조건에서 증산속도를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설정하여 증산속도를 예측하였다. 온도 $0^{\circ}C$, 상대습도 98%, 공기 유속 0.25m/s의 저장조건에서 6주 동안 CA저장하였을 때 사과 Fuji의 호흡속도는 일반저온저장에 비하여 50%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같은 저장조건에서 일반저온저장에서의 사과의 증산속도가 CA저장에 비하여 50~70 % 높았으며, 일정한 산소농도의 CA저장에서는 저장기체 중 이산화탄소농도가 높을수록 증산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모델로 예측한 증산속도는 실측치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채택한 모델로 CA 저장 중 저장기체 조성에 따른 사과 Fuji의 증산속도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 사과의 증산속도는 호흡열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증산속도의 증가폭은 호흡열량의 증가폭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호흡열량이 증가하면 사과의 증발표면의 온도가 높아져서 증산속도가 커질 수 있게 되지만, 증산속도의 증가에 따른 증발잠열의 증가가 증발표면의 온도를 미세하게 낮추어 주므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반사필름 멀칭이 토마토의 기공특성, 증산속도,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lective Film Mulching on the Stomatal Features, Transpiration Rate and Photosynthetic Rate of Tomato Plants in Greenhouse Cultivation)

  • 조일환;김완순;허노열;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2-29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반사필름 멀칭과 북측면의 반사판설치에 의한 보광이 토마토의 광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토양 및 수경재배를 통해 토마토의 엽온변화, 기공특성, 증산.광합성속도 등의 변화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보광 처리에 의해 토마토엽의 기공밀도는 증가하였으나 기공의 크기와 면적은 차이가 얼었다. 근권부의 삼투포텐셜이 낮으면 광반사에 의한 기공저항이 컸고 증산속도는 낮았으며 엽온은 40.62$^{\circ}C$까지 상승했다. 또한 보광에 의해 광합성속도도 저하했으나 엽록소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사필름 멀칭으로 온실가루이의 기피효과는 있었다 약광기 동절기에 반사필름 멀칭 등의 보광처리에 의한 증수나 품질향상은 엽의 기공밀도의 증가로 활발한 증산 .광합성작용으로 체내의 물질대사나 생장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간접적으로 무기성분의 흡수나 분배에 영향을 주어 생육 및 수량 둥이 양호했다고 생각된다.

  • PDF

열수지 해석에 의한 온실 수경재배 작물의 증산속도 추정에 관한 연구 (The Estimation of Transpiration Rate of Crops in Hydroponic Culture in the Plastic Greenhouse)

  • 남상운;김문기
    • 태양에너지
    • /
    • 제10권3호
    • /
    • pp.27-34
    • /
    • 1990
  • 온실 수경재배 작물의 증산속도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할 목적으로 플라스틱 온실 내부 작물의 엽면 열수지식을 해석하여 온실 내부의 환경요인에 따른 엽온 및 증산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컴퓨터 모형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개발된 모형은 실제 플라스틱 온실에서 실시한 상추의 수경재배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앞으로 다른 작물에 대한 연구가 보완된다면 이 모형을 이용하여 시설재배 작물의 물관리 연구 및 열환경 분석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참다래 착과 과실의 호흡과 증산속도의 일변화 (Change of Diurnal Respiration and Transpiration Rate of Fruits in Kiwifruit during Fruit Growth)

  • 한상헌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2-1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1995년의 과실과 1996년 참다래 과실에 있어 착과과실의 호흡과 증산속도의 일변화를 조사했다. 그 속도를 과실의 생육에 따라 약 2주마다 3시간 간격으로 조사했다. 1995년에 과실성숙기의 기온은 9월 19일${\sim}$24일과 10월 14일에 갑자기 $7{\sim}13^{\circ}C$로 떨어졌지만 1996년에는 이러한 이상저온은 없었다. 착과상태의 과실의 증산과 호흡속도는 과실의 생장에 따라 낮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과실의 수확기에 1995년 과실은 1996년 과실보다 높은 증산 및 호흡속도를 나타냈다. 1995년 과실의 수확기의 호흡상승은 그해 9월 중하순과 10월 중순경의 3차례의 초가을 저온 상태의 지속과 일교차 의한 저온 stress의 가중으로 호흡이 상승되었다고 생각이 되었다.

반사필름 멀칭이 토마토의 기공특성, 증산속도,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lective Film Mulching on the Stomatal Features, Transpiration Rate and Photosynthetic Rate of Tomato Plants in Greenhouse Cultivation)

  • 조일환;김완순;허노열;권영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1-6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반사필름 멀칭과 북측면의 반사판설치에 의한 보광이 토마토의 광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토양 및 수경재배를 통해 토마토의 엽온변화, 기공특성, 증산ㆍ광합성속도등의 변화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보광 처리에 의해 토마토엽의 기공밀도는 증가하였으나 기공의 크기와 면적은 차이가 없었다. (중략)

  • PDF

과실류(복숭아, 사과, 배, 단감, 감귤)의 호흡 및 증산작용이 중량 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piration and Transpiration Rates on the Weight Loss of Various Fruits(Peach, Apple, Pear, Persimon, Mandarin))

  • 김병삼;이호준;박형우;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2-146
    • /
    • 2003
  •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는 주요 과일류인 복숭아, 사과, 배, 단감, 글에 대하여 환경 조건별, 품종별 호흡속도와 증산속도를 분석함으로서 유통중 객관적인 포장 농산물의 감모율의 허용기준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신선 과일류의 호흡특성과 증산특성은 동일 품목이라도 품종과 수확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과일류의 호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작용의 과 발생되는 수증기 발생량은 3.55∼107.67mg/kg/h로 골판지 박스의 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높지는 않았다. 증산작용 결과 발생되는 수증기의양은 15kg 포장의 경우 5일후 24∼l,195g으로 호흡속도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 양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파프리카 생장에 따른 줄기의 정부와 하부 간 광량, 엽온, 증산속도 및 수증기압포차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Lighting Intensity, Leaf Temperature, Transpiration Rate, and Vapor Pressure Deficit between the Top and Branching Point of Stem during Growing Period of Paprika Plant)

  • 우승미;김호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097-1101
    • /
    • 2023
  • 2022년 11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유리온실에서 파프리카 식물체가 생육함에 따라 식물체 높이별 광량, 엽온, 증산속도, 수증기압포차를 측정하였다. 적산된 엽온은 식물체 정부에서 하부보다 높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전 11-13시경 측정된 엽온은 하부(pL)에서 26.55→23.21→22.80→26.67℃로 변화하였고, 상부(pAs)에서는 26.52→24.48→24.55→27.78℃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VPD는 pL에서 1.45→0.94→0.74→1.46kPa, pAs에서는 1.11→0.86→0.71→1.28kPa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른 증산속도는 pL에서는 4.25→0.17→4.08→0.52mmol·m-2·s-1, pAs에서 7.61→2.45→1.94→4.39→0.52mmol·m-2·s-1로 변화하였고, pAs에서 pL보다 상당히 높았다. 하부와 상부 차이(pL-pAs)는 엽온, 광량, 증산속도에서는 pL보다 pAs에서 더 높았으나 수증기압포차는 pL에서 더 높았다. 이와 같이 파프리카는 재배기간 중 상부와 하부 간 환경과 이에 따른 광합성 요소가 차이를 나타내어 향후의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관수에 의한 대두의 물질생산 관련형질의 상호연관성 (Correlation among Production Traits of Soybeans according to the Re-watering)

  • 이충열;원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57-562
    • /
    • 1998
  • 토양수분이 한발상태에서 적습상태로 변동되었을 때, 콩의 광합성속도, 증산작용, 기공전도도 및 엽내수분의 변화와 이들 형질간의 상호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발상태에서 적습상태로 토양수분 함량을 변동시켰을 때, 광합성속도, 증산작용, 기공전도도 및 잎의 함수량은 재관수후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광합성속도는 증산작용보다 빠른 회복을 보였고 품종간의 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광합성속도와 엽내수분, 기공전도도와 엽내수분 및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간에는 모두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는데, 특히 광합성속도와 엽내수분간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아 양자간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온실의 환경요인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수경 재배 파프리카의 증산량 추정 (Transpiration Prediction of Sweet Peppers Hydroponically-grown in Soilless Culture via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 Greenhouse)

  • 남두성;이준우;문태원;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1-417
    • /
    • 2017
  • 광도, 포차와 같은 환경요인과 엽면적 지수와 같은 생육요인은 증산 속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Penman-Monteith의 증산 모델과 인공신경망(ANN)에 학습에 의한 증산속도 추정값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 cv. Fiesta)의 증산속도 추정은 로드셀을 이용한 배지의 중량변화를 통해 계산하였다. 온도, 상대습도, 배지 중량 데이터는 1분 단위로 2개월간 수집하였다. 증산량은 일차식으로는 정확한 추정이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Penman-Monteith식에 보정 광도를 사용한 수정식 Shin 등(2014)을 사용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ANN을 사용하여 증산량을 추정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도, 온도, 습도, 엽면적지수, 시간을 사용한 입력층과 5개의 은닉층으로 구성된 ANN을 구축하였다. 각 은닉층의 퍼셉트론 개수는 가장 정확성이 높은 512개로 하였다. 검증 결과, 보정된 Penman-Monteith 모델식의 $R^2=0.82$이었고, ANN의 $R^2=0.94$로 나타났다. 따라서 ANN은 일반적인 모델식에 비해 정확한 증산량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후 수경재배의 효율적인 관수전략 수립에 있어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