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발량

Search Result 1,03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Cheongmichon Stream Using Soil Water and Evaporative (토양수분량과 증발산량을 활용한 청미천 유출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 Lee, Jae Il;Lee, Sin Jae;Kim, Se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2-322
    • /
    • 2020
  • 토양수분량과 증발산량은 물의 순환과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토양수분량과 증발산량 관측소가 많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자료를 활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유출특성 분석시에도 토양수분량과 증발산량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유역에 위치한 여주시(원부교) 수위관측소와 청미천 토양수분-증발산 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3개년 유출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여주시(원부교) 수위관측소는 청미천 유역의 대표 지점으로 2010년 이후 매년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이 개발 되었고 청미천에 위치한 토양수분-증발산 관측소는 2007년 관측이 개시되어 현재까지 자료가 확보되어 있다. 유출특성 분석시에는 상류에 위치한 장호원환경사업소의 방류량 자료를 확보하여 유출률을 산정하였다. 또한, 강수량 자료는 자료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면적평균강수량 자료를 산정하여 분석 활용하였다. 2017년은 강수량 1,183.3mm에 유출고는 495.4mm이며 손실고는 692.9mm로 산정되었고, 2018년은 강수량 1,433.8mm에 유출고는 647.5mm이며 손실고는 786.3mm로 산정되었다. 2019년은 강수량 962.3mm에 유출고는 265.2mm에 손실고는 697.1mm로 산정되었고 토양수분량과 증발산량에서 연평균 관측값으로는 토양수분량 2017년 23.0%, 2018년 24.5%, 2019년 23.8%이며 증발산량은 2017년 591.5mm, 2018년 415.8mm, 2019년 500.6mm로 관측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당지점에 대한 장기간 모니터링과 흐름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토양수분량 및 증발산량을 활용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적절성 검토를 하였으며, 이에 따른 유출특성을 검토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과 유출특성 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추적자를 이용한 논물 함양 산정법

  • 최병영;김강주;윤성택;김동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4-527
    • /
    • 2003
  • 논 농사 지역에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 추적자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물의 부피와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용질의 mass balance와 물수지 균형 식에서 도출한 수치 모델을 이용하여 증발량과 침투량을 계산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용하면 논물의 농도와 부피 변화를 측정함으로서 논 농사지역에서 지하수 함양량을 손쉽게 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vaporation Estimation of Tank Model (Tank 모형의 증발산량 산정에 관한 연구)

  • Jung, Il-Won;Koo, Bo-Young;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46-1750
    • /
    • 2006
  • 다양한 목적의 장기유출분석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4단 Tank 모형의 증발산관련 입력자료는 증발접시자료를 이용하거나 또는 장기간의 유량과 강수량의 차이로 정의되는 월별 손실량을 계산한 결과를 사용하고 있다. 증발접시자료는 자료 구득문제와 신뢰성 문제 등으로 인해 적용사례가 적고 통상 인근 관측지점의 손실량을 계산하고 이를 전이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증발산량 산정방법은 장기적인 유량 자료를 보유한 인근 관측지점이 있어야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관측지점의 자료 신뢰성에 따라 유출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Hamon 방법과 Jensen-Haise 방법 및 FAO Penman-Monteith 방법을 검토하여 Tank 모형 계산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유역별 실제손실량은 지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잠재증발산량을 실제증발산량으로 보정하는 월별보정계수를 지형인자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Evaluation of Urbanization Effects on Water Balance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상변화 I (도시화에 따른 물수지 변화 분석))

  • Rim, Chang-Soo;Chae, Hy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34-1938
    • /
    • 2007
  • 도시화에 따른 기상변화가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56개 연구지역에서 연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고, 도시화에 따른 연 유출량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연 물수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증발산 산정을 위하여 수문기상자료와 토지이용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지역별 반경 10km지역의 실제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여기서 연 실제증발량은 Zhang 등에 의해서 전 세계 250개 유역에서 장기간의 물수지분석으로부터 유도된 경험공식을 적용하였다. 도시화정도가 큰 연구 지역의 경우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잠재증발산량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에 따른 기상변화가 실제증발산량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거지면적이 증가하여 실제증발산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화지역에서 유출량은 강수량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고, 실제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강수량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강수량에 비하여 그 편차가 크지 않다. 도시화에 따른 실제증발산량의 변화는 유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undamental Study on the Evapo- transaration Requirements of Patty rice Plant (벼 용수량계획상의 엽면증발량 및 주간수면 증발량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 김철기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11 no.2
    • /
    • pp.1651-1660
    • /
    • 196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asonabl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required for the paddy rice plant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 So.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data concerning the evapo-transpiration form 1966 to 1968,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 results. 1) The leaf area index in the densely planted plo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ly planted one during the first half of growing season So, the coefficient of transpiration in the former plot is somewaht higher than in the latter, and the coefficient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under the plant cover has the inverse relation between both plots. 2) It is unreasonable that coefficient of evapo-transpiration i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evapo-transpiration requirements of each growing stage, because a degree of variation in meteorological factors and in the thickness of the plant growth is involved in it. 3) It is most reasonable that the rate of transpiration and of the water surface evapoation i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transpirated amount and evaporated one in each growing stage, because it shows almost constant value in spite of any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so far as the variety of rice, planted density and control of applying fertilizer are sanme and the disease and blight are negligible. 4) The ratio of the amount of transpiration to the weight of the whole air dried yields has the tendency of decreasing as that of the yields increases having almost constant value despite the amount of pan evaporation; and the value is about 210 when the weight of root parts is included to that the yields. 5) Although the required amount of transpiration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 can be calculated with the above ratio, Fig. 7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nspiration and the weight of the yields is more reasonable and will be convinient to find it. And the requirements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during the same season can also be directly found witht theweight air dried straw refering to Fig. 8.

  • PDF

Simul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Macroscale Basins Using SLURP Model (SLURP 모형을 이용한 대규모 유역에서의 증발산량 모의)

  • Hong, Seung-Jin;Kim, Byung-Sik;Baeck, Seung-Hy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3-383
    • /
    • 2011
  • 증발산은 유출량과 같은 다른 수문순환 요소들에 비해 가장 만족스럽지 못하게 설명되는 부분이다. 왜냐하면 증발산은 직접 측정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물 수지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추정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증발산량 산정 모형들은 너무나 많은 종류의 기상자료를 입력자료로 요구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수문학적 모형에 적용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 수문모형인 SLURP 모형을 이용하여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증발산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SLURP 모형은 유역 내에서의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해 기상요소뿐만 아니라 토양습윤량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으며 토지피복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대상유역으로는 우리나라의 5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LURP 모형에 탑재되어 있는 Morton CRA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real Evapotranpiration) 모형을 이용하여 토지피복별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5대강유역을 대상으로 토지피복변화분석 및 그에 따른 증발산량 변화를 모의하여 증발 및 증산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 PDF

Valid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Hypothesis Using In-situ Measurements (관측자료 기반의 용담댐 유역 증발산 보완관계 가설 검증)

  • Eunji Kim;Boosi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4-264
    • /
    • 2023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자원 계획 수립 시 중요한 요소이다. 증발산은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등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표면, 식생분포 등 다양한 인자의 복합작용에 의해 일어나므로, 유역 단위에서 발생한 실제증발산(Actual evapotranspiration, AET)을 측정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증발산 보완관계(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CRE) 가설을 활용하면, 수문요소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모델링을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하게 AET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증발산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역 단위에서의 CRE를 검증하고자 하며, 플럭스 타워 등 다양한 관측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용담댐 유역 내 산지에 위치한 덕유산 플럭스 타워에서 측정된 증발산을 AET로 보았으며, 유역 인근에 위치한 전주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되는 팬 증발량(Epan)을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으로 보았다. Epan 계측시, 증발팬의 가열 등 주변환경 변화로 인해 과다하게 추정되는 값을 보완하기 위해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해 팬 증발량 보정계수(Coefficient of pan evaporation, kp)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습윤증발산량(Wet evapotranspiration, WET)은 대기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발산량으로, 댐 수표면에서 계측되는 수면증발량을 WET로 보았다. CRE 검증을 위해 AET와 PET를 각각 WET로 나누어 AET+와 PET+로 무차원화하였으며,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AET를 PET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CRE 가설은 MI에 따른 AET+와 PET+가 서로 보완관계를 갖는다는 것인데, 용담댐 유역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CRE를 검증한 결과 AET+와 PET+ 간의 비대칭계수(b)가 1.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평균제곱오차(MSE)는 0.599, 결정계수(R2)는 0.631로 나타나 CRE의 b가 적합하게 추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와 같이 검증된 CRE를 통해 증발산 관측지점이 없거나, 조밀하지 않은 유역의 AET를 간접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댐의 장기유출 모의와 용수공급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fluence of Micrometeorological Elements on Evapotranspiration in Rice (Oryza sativa L.) Crop Canopy (포장(圃場)에서 벼 군락(群落)의 미기상(微氣象) 요소(要素)들이 증발산량(蒸發散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Jong-Wook;Kang, Byeung-Hoa;Lee, Jeong-Taek;Yun, Seong-Ho;Im, Jeong-Na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5 no.3
    • /
    • pp.231-241
    • /
    • 1992
  •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major micrometeorological elements and their influences on evapotranspiration(ET) in the canopy of two rice cultivars, Daecheongbyo and Samgangbyo, synoptic meteorological factors, micrometeorological elements and ET from the canopy and biomass production were observed at various growth stages in the paddy field of Suwon Weather Forcast Office in 1989. ET from the rice commun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following factors in order of pan evaporation>air temperature>leaf temperature>solar radiation>sunshine duration>difference in vapor pressure depicit(VPD)>water temperature. ET observed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the evaporation from small pan than that from Class A pan. Varietal difference would be not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T in Samgangbyo canopy and the evaporations observed from the pans, with which closer a correlation was found in Samgangbyo than in Daecheongbyo. The ratio of canopy ET to the evaporation from Class A pan was maintained over 1.0 through the growth stages with the maximum of 1.9 at the late August. The evaporation observed from Class A pan was amounted to 71.9% of that from small pan. ET was better correlated with solar radiation than with net radiation which reached about 66% of solar radiation. Maximum temperatur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ET than mean air temperature, and also wind speed of 1m above ground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ve humidity, however, had no correlation with the exception of ET in rainy days. A regression model developed to estimate ET as a function of meteorological elements being described with $R^2$ of 0.607 as : $ET=-5.3594+0.7005Pan\;A+0.1926T_{mean}+0.0878_{sol}+0.025RH$.

  • PDF

The Temporal Disaggregation Model for Nonlinear Pan Evaporation Estimation (비선형 증발접시 증발량 산정을 위한 시간적 분해모형)

  • Kim, Sungwon;Kim, Jung-Hun;Park, Ki-Bum;Kim, H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4B
    • /
    • pp.399-412
    • /
    • 2010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neural networks models for the temporal disaggregation of the yearly pan evaporation (PE) data, Republic of Korea. The neural networks models consist of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s model (MLP-NNM) and generalized regression neural networks model (GRNNM), respectively. And, for the performances evaluation of the neural networks models, they are composed of training and test performances, respectively. The three types of data such as the historic, the generated, and the mixed data are used for the training performance. The only historic data, however, is used for the testing performance. From this research, we evaluate the application of MLP-NNM and GRNNM for the temporal disaggregation of nonlinear time series data. We should, furthermore, construct the credible monthly PE data from the temporal disaggregation of the yearly PE data, and can suggest the available data for the evaluati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networks system.

Assessment of evapotranspiration for Chungju dam watershed using SWAT-K simulation (SWAT-K 모의치를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증발산량 평가)

  • Kim, Nam-W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5-385
    • /
    • 2011
  • 유역 스케일의 실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관측 강우량과 유출량의 관계로부터 증발산량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물수지(water balance)법, 증발력과 토양수분량의 변화량 (soil moisture accounting)을 고려한 유역 수문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 잠재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간 보완관계식(complementary relationship)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물수지법은 관측치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유역 저류량의 변화를 무시하기 때문에 연 단위와 같이 긴 시간 스케일에 적용 가능하고 작은 시간 스케일에는 적용성이 떨어진다. 유역 수문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은 기상, 토양 및 식물 조건을 모두 고려하는 방법으로 유역의 불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고 일 단위 등의 비교적 작은 시간 스케일에 대해서도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많은 입력자료가 필요하며 간접적인 추정 방식이기 때문에 모형의 정확한 검증과 상당한 숙련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잠재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간 보완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토양이나 식물 등의 지표면 조건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기상자료만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잠재 및 실제 증발산량간의 보완피드벡 매카니즘이 존재한다는 가정이 수반되어 있어 적용시 이를 입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처럼 각기 장단점을 가진 여러 방법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있지만, 각 방법 간의 연결고리를 맺는 연구는 심도 있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증발산량 산정 방법 중 보완관계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유역수문모형에 의한 방법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충주댐 상류유역에 대해서 SWAT-K에 의한 증발산량 모의치가 보완관계식을 따르는 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모의기간동안 계산된 잠재 및 실제 증발산량을 습윤지수(humidity index)에 따라 함께 도시해본 결과, 연 단위의 경우에는 건조할수록 잠재 증발산량은 점차 커지고 실제 증발산량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보완관계가 성립하였고, 월 단위 경우에는 강우에 비해서 비교적 증발산량이 큰 5, 6월에 가장 명확한 관계가 보여 늦은 봄과 초여름에 보완적 관계가 뚜렷하게 발생하는 반면에 동절기에는 보완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분석 단위기간별로 보완관계의 성립여부를 판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