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감발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7초

증기터빈 발전소의 자동 부하 증감발 운전(AGC) 제어로직 구현 및 적용 (Application of Automatic Generation Control Logic for a Thermal Power Plant)

  • 우주희;김종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47-2149
    • /
    • 2001
  • 국내 한 증기터빈 발전소의 출력증감발 운전을 중앙급전 명령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로직을 구현하였다. 이는 중앙급전으로부터 증감발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발전기 출력 설정치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증감되는 양은 펄스의 지속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 운전상황에 대해 원활한 운전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어로직 및 운전원 조작 화면의 구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기계학습을 활용한 수출증감률 예측 (Predicting Export Change Rate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 안채린;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6-538
    • /
    • 2023
  •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대외환경의 변화에 따른 수출 여건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이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정확한 수출증감률 예측이 필요하며 이를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예측모델을 찾고자 한다. 수출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변수 선정 후, min-max 정규화를 시행하고 변수간 상관계수와 다중공선성 확인을 통해 변수를 축소했다. 그리고 머신러닝 예측모델로 많이 사용되는 Linear Regression, Decision Tree, Gradient Boost Regressor, Random Forest 4가지 모델에 대입하여 수출 증감률 예측 정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Linear Regression의 MSE가 0.087로 가장 낮아 제일 우수한 모델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가스터빈 발전기의 자동 출력제어 회로와 출력신호 피이드백 회로의 필터 사용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use of a lst order time delay in the MW control loop in a gas turbine generator and the simulation results)

  • 김종안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0-17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운전 중인 한 가스터빈 출력제어 회로의 구성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취득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가스터빈의 모델과 제어기의 조정, 그리고 MW 신호 피이드백 회로에 필터의 사용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았다. 전력계통의 주파수가 가스터빈 출력제어계의 시상수에 비해 상당히 빠르게 변하므로 자동 주파수 추종을 할 경우 제어계가 쉽게 불안정해진다. 이 출력제어계의 MW 피이드백 회로의 1차지연 요소를 사용하면 안정성 향상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이 지연요소의 시상수를 크게 할수록 안정도는 더 향상되며 Open Loop의 특성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주파수 추종운전이 아닌 운전원의 출력 증감발 요구에는 시간지연 없이 응답을 하여야 하므로 적절한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가스터빈의 연료제어 계통을 포함한 출력제어계에 순수 시간지연 요소가 없으면 피이드백 회로에 1차지연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은 출력제어 응답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 모들 가스터빈에는 다소 시간지연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피이드백 회로에 시간지연 요소를 사용하므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대두발아중(大豆發芽中)의 각기관단백질(各器官蛋白質) 및 자엽(子葉) RNA 변동(變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nges of protein contents in various organs of the germinating soybean and of RNA contents of cotyledon of it)

  • 배효원;유태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81-86
    • /
    • 1967
  • 대두발아시(大豆發芽時)의 각기관단백질(各器官蛋白質)의 변동(變動)과 자엽(子葉) KNA 함량(含量)의 증감(增減)이 X 선조사(線照射)로 어떤 변화(變化)를 일으키는가를 분석연구(分析硏究)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자엽(子葉)을 제외(除外)한 타발아기관(他發芽器官) 즉(卽) 배축(胚軸), 유엽(幼葉), 유근(幼根) 등(等)은 발아(發芽)와 더부러단백질(蛋白質)이 증가(增加)하나 자엽(子葉)에서는 감소(減少)함으로 발아(發芽)에 있어서 전자(前者)들은 합성적(合成的)인 후자(候者)에서는 분해적(分解的)인 대사(代謝)를 영위(營爲)한다. 2) 발아성장중(發芽成長中)의 대두자엽(大豆子葉) RNA는 발아시작후(發芽始作後) 6일(日)까지는 감소(減少)하고 기후(其後)는 증가(增加)하는바, $300{\gamma}$의 X 선조사(線照射)로서 이 변화(變化)는 촉진(促進)되는 반면(反面) $600{\gamma}$, $900{\gamma}$의 X 선조사(線照射)로서는 오히려 손상적(損傷的)으로 작용(作用)한다.

  • PDF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마늘의 저장 (Batch Scale Storage of Garlic by Irradiation Combined with Natural Low Temperature)

  • 조한옥;권중오;변명우;윤형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6-70
    • /
    • 1984
  •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마늘의 상업적(商業的) 저장법(貯藏法) 개발(開發)을 목표(目標)로 수확후(收穫後) 1개월(個月)된 시료(試料)에 $^{60}Co\;{\gamma}-$선(線)을 50, 100 및 150Gy 조사(照射)시킨 뒤 자연저온(自然低溫) 저장고(貯藏庫) $(12{\pm}6^{\circ}C,\;75{\sim}85%RH)$에 10개월(個月) 동안 저장(貯藏)하면서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하였다. 비조사구(非照射區)는 저장(貯藏) 8개월(個月) 후(後)에 대부분 발아(發芽)되었으나 조사구(照射구區)는 저장(貯藏) 10개월(個月) 까지도 전혀 외부 발아(發芽)되지 않았다. 저장(貯藏) 10개월(個月) 후(後) 부패율(腐敗率)은 비조사구(非照射區)가 83.56%, 조사구(照射區)가 약(約) 29%로 ${\gamma}-$선(線) 조사(照射)로서 54%의 부패율(腐敗率)을 감소(減少)시킬 수 있었고, 중량변화(重量變化)에 있어서도 ${\gamma}-$선(線) 조사(照射)에 의하여 약(約) 25%의 감량(減量)을 막을 수 있었다. 저장중(貯藏中) 수분함량(水分含量)은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발아(發芽)와 더불어 다소 감소(減少)되었고, 전당(全糖)과 환원당(還元糖)은 저장기간(貯藏期間)의 경과로 각각 증감현상(增減現象)이 나타났으며, 특(特)히 발아(發芽)가 왕성(旺盛)한 이듬해 3월(月)부터는 그 변화(變化)가 두드러졌다. 또한 ascorbic acid 함량(含量)은 기간(期間)의 경과로 점차 감소(減少)하다가 발아(發芽)와 더불어 증가(增加)되었다. 따라서 수확후(收穫後) 마늘에 100Gy 정도의 ${\gamma}$-선(線)을 조사(照射)하여 $10^{\circ}C$ 내외(內外)의 자연저온(自然低溫) 저장고(貯藏庫)에 저장(貯藏)함으로써 그 품질(品質)을 비교적(比較的) 우수(優秀)하게 10개월(個月) 이상(以上) 보존(保存)할 수 있었다.

  • PDF

달리기 시 속도 증감에 따른 지지국면에서 발 분절 움직임 분석 (Effects of Running Speed on the Foot Segments Motion at the Stance Phase)

  • 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2
    • /
    • 2012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running speed conditions on the kinematic pattern of the metatarsus, mid-foot, calcaneus. Twenty-two healthy young adults were made to run on treadmill at three different running speeds(normal speed, 9.2; slow speed, 7.4; fast speed, 11.1km/hr.) and the trajectories of the 10 reflective markers for each subject were recorded by an eight-camera motion capture system at 200 Hz. Three-dimensional angles for the foot segment in the support phase during running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Euler's technique. Results showed that running speed did not affect the peak of the dorsi/plantar flexion, inversion/eversion, and adduction/abduction or their range of motion for each foot segment. However, when the running speed was fa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eak of the plantar flexion, eversion, and adduction and ROM(range of motion) of the dorsi/plantar flexion, inversion/eversion, and adduction/abduction between the foot segments, metatarsus, mid-foot, and calcaneus. It was proposed that the foot segment should be analyzed from a multi-segment system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anatomical reference during locomotion.

HepG2 세포에서 아마란스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포도당 흡수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maranth seed extracts on glycemic control in HepG2 cells)

  • 박소진;박종군;황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03-617
    • /
    • 2021
  • 혈당 조절에 유익한 천연 식품을 발굴하고 그 효과를 밝혀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종자에 주목하여 몇 가지 혈당조절 연관 지표의 증감 정도를 알아보았다. 아마란스 종자의 색과 발아 여부에 따라 효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발아 흑색 아마란스는 germinated black amaranth (GBA), 비발아 흑색 아마란스는 black amaranth (BA), 발아 황색 아마란스는 germinated yellow amaranth (GYA), 비발아 황색 아마란스는 yellow amaranth (YA)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시료는 80% 에탄올 추출물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GBA, BA, GYA, YA 순으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α-amyl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GBA는 양성 대조물질인 acarbose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어 높은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HepG2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BA > BA > GYA > Y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50 ㎍/mL 농도에서 GBA는 인슐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GBA를 농도별로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ACC, GLUT-2, GLUT-4, IRS-1, IRS-2 mRNA 발현 정도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아마란스 종자는 혈당 조절 및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평가되며 특히 발아한 흑색 종자가 혈당 조절 효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혈당 조절에 유익한 효능을 가지는 식품 소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늘의 발아억제(發芽抑制) 및 성분변화(成分變化)에 미치는 ${\gamma}$선(線)의 영향(影響) (Effects of gamma-radiation on sprout-inhibition of garlic bulbs and the changes of their chemical contents)

  • 박노풍;최언호;김영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83-88
    • /
    • 1969
  • 바늘(Allium Sativum L.)의 저장중(貯藏中), 발아(發芽)로 인(因)한 손실(損失)을 억제(抑制)하고 저장기간(貯藏期間)을 연장(延長)할 목적(目的)으로 한국산(韓國産) 마늘에 $^{60}Co-{\gamma}$선(線)을 조사(照射)하여 실온(室溫)에 저장(貯藏)하고 발아억제(發芽抑制), 성분변화(成分變化) 및 부패균(腐敗菌)에 미치는 ${\gamma}$선(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1. 무안산(茂安産) 마늘의 후면기간(休眠期間)은 당진산(唐津産)에 비(比)하여 짧고, 발아기(發芽期)가 발랐다. 2. 양품종간(兩品種間)의 ${\gamma}$선(線)에 대(對)한 저항성(低抗性)에는 차이(差異)가 있음을 인정(認定)하였다. 3. 10Kard에서 양품종(兩品種) 다같이 종전(宗全) 발아억제(發芽抑制)가 가능(可能)하여, 당진산(唐津産)은 5krad에서도 그 효과(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4. 조사구(照射區)에서 수분(水分) 및 중량(重量)의 감소율(減少率)이 낮았다. 5. 300Krad까지의 선량내(線量內)이서는 당함량(糖含量)의 증감(增感)에 큰 영향(影響)이 없었다. 6. Aspergillus niger와 Aspergillus aliaceus는 300Krad 조사(照射)에서 거의 발아(發芽)가 없었다.

  • PDF

상악 제2대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성장기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 특성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treated by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

  • 김재형;김정일;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82-19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el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 제2대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증례와 비발거로 치료한 증례 중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은 증례들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두 군간의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상에서 골격성 치성, 연조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II급 구치 및 견치관계를 보이고 7mm 이하의 수평피개. 중등도 이하의 총생을 갖는 51명의 환자를 18명의 상악 제2대구치 발거 치료군과 33명의 비발거 치료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는 t-검정법으로 시행하였고 판별분석을 통해 두 군을 판별해 주는 주요 항목들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골격성 특성 중, 전후방적인 계측 항목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으며 $AB-MP(^{\circ)$ $Na-Me(^{\circ})$, AVD (anterior vertical dimension, mm) 와 같은 수직적 계측 항목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치성 특성 중에서는 상하악 제1대구치의 위치 및 경사도와 관련된 항목 및 상악 제3대구치의 경사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발거군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평면 및 FH 평면에 대한 근심경사도가 더 컸다. 두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계측 항목들(U8-FH$(^{\circ})$는 제외)을 이용하여 발거군과 상악 제3대구치가 양호했던 비발거 증례군에 대해 증감 판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양 군을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항목은 U6-VRL(mm), $AB-MP(^{\circ)$으로 나타났다. 이 두 항목으로 이루어진 판별식을 도출한 바 본 연구에 이용된 발거군과 비발거군 증례들의 $78.4\%$를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계측 항목들(U8-FH$(^{\circ})$는 제외)을 이용하여 발거군과 비발거군에 대해 증감 판별 분석을 시행한 결과 U8-VRL(mm). $AB-MP(^{\circ)$, 그리고 $U7-FH (^{\circ})$가 양 군을 분별하는데 유의성이 있었고 이 세 항목들을 이용한 판별식을 통해서 $89.2\%$를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었다.

대두발아(大豆發芽)중 지질대사(脂質代謝)에 관한 연구-제2보(第2報) Lipoxygenase activity 및 지방산(脂肪酸)의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ipid Metabolism of Soybean during its Germination-(Part 2) Changes on lipoxygenase activ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 during germination-)

  • 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4호
    • /
    • pp.247-256
    • /
    • 1974
  • 한국산의 대두를 $21{\sim}25^{\circ}C$의 암소(暗所)에서 10일동안 발아(發芽)시키면서 2일 간격으로 두아(豆芽)를 채취하여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2부분으로 분리한 후 이 두 lipoxygenase activity와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및 조지방(粗脂肪)의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각각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lipoxygenase activity는 2일 후부터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2일 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와같은 lipoxygenase activity의 변화는 자엽부(子葉部)에서 linoleic 및 linolenic acid의 감소경향과 배축부(胚軸部)에서 이들 지 방산의 증가경향과 동일하였다. (2)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에서 추출한 triglyceride fraction의 요오드값은 계속 감소 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큰 변화없이 일정하였으며 배축부(胚軸部)의 요오드값은 자엽부(子葉部)의 것보다 낮았다. (3)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의 구성지방산중 palmitic acid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stearic acid는 계속 증가하였고 oleic acid는 증감의 변화가 불규칙적이며 linoleic 및 linolenic acid는 계속 감소하였다. 그러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palmitic acid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linoleic 및 linolenie acid의 함량은 계속 약간씩 증가하였고 stearic 및 oleic acid는 불규칙적으로 함량의 변화가 심하였다. (4) 발아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에서 추출한 free fatty acid fraction의 모든 구성지방산은 불규칙하게 그 증감의 변화가 심하였다. 이와같은 현상은 lipase의 분해로 생성된 각종 지방산은 생합성(生合成)과정이나 에너지 발생과정에 무작위(無作爲)하게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5) 발아증 기수(奇數)탄소수의 지방산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는바 이는 대두발아중 지방산은 $C_2$-unit로 분해 및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6)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에서 추출한 phospholipid 및 배축부(胚軸部)의 모든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triglyceride fraction의 지방산의 변화경향과 비슷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