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쥐치과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강원도 고성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과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Assemblage Structure of Fish Collected by Set Net at the Coastal Waters of Goseong in Gangwon-do, Korea)

  • 이수정;양재형;서영일;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5-1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남한측 동해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군에서 2년간(2018~2019년) 매월 정치망을 이용하여 어류 종조성을 확인하였으며, 과거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동해 해양환경과 어류상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7개 분류군이 어획되었으며, 이 중에서 75개 분류군이 종 수준까지 확인되었다. 우점하는 분류군은 참복과, 가자미과 등이었으며, 우점종은 도루묵, 전어, 쥐치, 말쥐치, 전갱이 등이었다. 표층수온은 과거에 비해 겨울철 및 봄철에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봄철 어류 종조성은 과거 한류성 어종에서 최근 난류성 어종으로 변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보다 참복과 어류의 종 다양성이 매우 높았는데, 이는 수온 상승과 함께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참복과 어류의 양적인 증가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류 종조성에서는 과거 남부해역(삼척, 강릉)의 종조성과 유사해졌으며, 월별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한류성 어종이 우점하는 1~4월 그룹과 방어, 고등어가 우점하는 7~10월 그룹, 그리고 난류성 어종이 우점하는 5~6월, 11~12월 그룹으로 나뉘어져서 1년 중 8개월이 동해안으로 회유하는 난류성 어종들이 우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간 난류성 어종들의 우점하는 경향은 북방한계선의 확장, 서식적수온대의 장기간 형성, 그리고 풍부한 먹이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동해안으로 회유하는 난류성 어종들의 상업적인 이용방법 모색과 동시에 효율적인 자원관리 정책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해 울진 연안의 어류 자치어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f Uljin, East Sea)

  • 박주면;김종훈;명세훈;정윤환;이대원;최동문;이희갑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6-163
    • /
    • 2024
  • 본 연구는 동해 울진 연안 10개 정점에서 계절별(2022년 4월, 7월, 10월, 2023년 2월)로 Ring net를 이용하여 채집한 자치어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총 27개 분류군에 속하는 자치어가 채집되었다. 어류 자치어 우점종은 참가자미(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 볼락(Sebastes inermis), 까나리(Ammodytes japonicus),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였고 상기 6종은 전체 자치어 현존량의 86.6%를 차지하였다. 자치어 출현종수, 현존량, 다양도지수는 계절에 따라 변하였는데, 출현종수와 현존량은 4월(춘계)에 가장 높았고, 다양도지수는 7월(하계)에 가장 높았다. 조사해역에서 자치어 군집의 계절별 출현양상에 따라 춘계, 하계, 동계 그룹을 구분할 수 있었다. 우점종 중 참가자미는 춘계에 우점하였고, 청베도라치와 그물코쥐치는 하계에 우점하였다. 그리고 볼락, 까나리, 문치가자미는 동계에 현존량이 높았다. 이러한 자치어 군집의 시간적 변동은 계절에 따른 수온 차이에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동해에서 어류 자치어 다양성을 밝히고 연안해역의 산란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남 통영 민양마을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 변동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of Minyang in Tongyeong, Korea)

  • 조광현;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7
    • /
    • 2024
  • 이 연구는 경남 통영 민양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한 어종을 알아보고 같은 지역 선행연구에서 동일한 조사도구로 수행한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을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8목 14과 20속 24종 8,670개체, 3,715.42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날망둑, 살망둑, 별망둑, 베도라치, 그물코쥐치로 전체 개체수의 95.9%를 차지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출현한 어류는 9년 전 수행된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망둑어류가 대부분이었고, 오염지표종인 주둥치가 처음 출현을 하였다.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 강필준;김종관;황선완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27-33
    • /
    • 2015
  •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동해안의 감포연안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종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1과 32종, 695마리, 180,012.0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망상어 (Ditrema temminckii)로서 채집 개체수의 52.4%, 생체량의 40.4%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 주요 종으로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탁자볼락 (Sebastes taczanowskii),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 등이었다. 이들 6종은 전체 개체수의 77.6%, 전체 생체량의 77.5%를 차지하였다.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종수는 2005년 6월에 가장 많았고 2006년 3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6월에 가장 낮았다.

효소를 이용한 말쥐치의 탈피 (Removal of Skin from Filefish Using Enzymes)

  • 김세권;변희국;최광덕;노호석;이원희;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72
    • /
    • 1993
  • Collagenase existed in the internal organs of filefish Novoden modestrus was isolated with ammonium sulfate and was purified by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with DEAE-Sephadex A-50 and gel filtration with Sephadex G-150. The activity of the purified enzyme was increased 92.4 folds than that of the crude one and the yield of the purified one was $10.9\%$. The optimum conditions showing the maximum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to digest insoluble collagen(Type I) were $55^{\circ}C$ and pH 8.0, while those showing the maximum activity of the purified one were $55^{\circ}C$ and pH 7.75. However, the use of the crude enzyme for skinning of filefish was more profitable because the yield was 800 folds higher than that of the purified one and the cost was also able to economy. When hydrolysis for skinning of filefish was conducted with $0.3\%$(w/w) crude collagenase at $50^{\circ}C$ and pH 8.0 for 3hrs, there was some problem to cause a damage on muscle of the fish by heat. To solve such problem for the skinning, the hydrolysis at $18^{\circ}C$ for 4hrs with $0.3\%$ (w/w) crude enzyme after pretreated with 0.5M acetic acid for 10 min provided a good result for skinning of filefish.

  • PDF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 이대희;김태진;최병언;이소정;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5
    • /
    • 2010
  • 경남 거제시 거제만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인력을 이용하는 surf net으로 어류를 매월 사리때 간조시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5목 12과 26종, 1,825 개체, 4,483.1 g이 채집되었다. 줄망둑이 290개체 (15.9%)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실비늘치, 살망둑, 그물코쥐치, 점망둑, 꾹저구, 실고기, 일곱동갈망둑, 민베도라치, 복섬, 우베도라치가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10종은 총 개체수의 74.7%를 차지하였다. 생체량 면에서는 전체 생체량의 76.2%를 차지하였다. 잘피밭 어류 군집은 수온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여 3월부터 어종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9월에는 채집된 종수와 개체수 모두 최대를 기록하였고 생체량은 3월부터 증가하여 5월에 절정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가장 높았다.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7-35
    • /
    • 2020
  •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has seen a sharp decline in their catch, we must strive for continuous resource management. We investigated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T. modestus by trawl net and set net from January 2018 to November 2019, off Jeju Is. and in coastal waters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 Korea. We analyzed monthly change total length (cm), gonadosomatic index (GSI) and maturity stages, egg diameter (mm), the relations fecundity and total length. GSI for Jeju Is. was the highest in April (3.17, 2.43), and decreased from July to 1.73 in August and GyeongBuk's GSI was the highest in Apri l (1.86, 2.58), followed by the high in May and the sharp decline in September, which is 0.23. Using a histological method,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 modestus can be divided into 5stage in females; the early growing stage (Jan.-Mar.), late growing stage (Apr.-May), Mature stage, spent stage (Oct.), Recover and resting stage (Nov.-Jan.).We estimate the TL at 50% maturity as 24.1cm for female, fecundity ranged from 560,044 eggs at 23.4cm total length to 1,580,387 eggs at 36.6.cm TL.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 농축물의 가공조건 및 저장중의 품질변화 -제 2 보 : 저장중의 품질변화-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II.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and Utilization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e from Filefish and Sandfish-)

  • 이응호;조덕제;전중균;차용준;김세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48
    • /
    • 1982
  • 말쥐치 및 도루묵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농축물 저장 중의 품질 안정성 및 이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품은 함기포장하여 상온에 저장하여도 복수성, TBA값 및 갈변도 등에 큰 변화없이 90일간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햄버어그 및 튀김어단을 만들때 쇠고기 대신에 축육과 유사한 텍스쳐를 가진 어육단백질농축물을 50%까지 섞어도 맛, 냄새 및 텍스쳐 등에 별다른 손색이 없었다.

  • PDF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 이승환;이용득;신민규;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9-259
    • /
    • 2016
  •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 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말쥐치 농축(濃縮) 단백질(蛋白質)의 제조(製造) 및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 3 보 : FPC-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Filefish Protein Concentrate (FPC) -III.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using FPC - Wheat Composite Flour-)

  • 양한철;양반호;임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2-268
    • /
    • 1983
  • 본 실험은 밀가루에 FPC를 첨가한 복합분(複合粉)을 사용(使用)하여 제면적성(製麵適性)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대하여 검토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Farinograph에 의한 각(各) 복합분(複合粉)의 수분(水分) 흡수율(吸收率) 및 반죽형성시간(時間)은 FPC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2. Amylograph에 의한 최고점도(最高粘度)는 FPC를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 3. 3% 및 5%의 FPC를 첨가한 면(麵)에 있어서 texture특성(特性)인 hardness, cohesiveness 및 gumminess등은 밀가루만의 면(麵)에 비해 서로 차이점이 거의 없었다. 4. 삶은 면(麵)의 중량(重量)과 부피는 3% 및 5% 첨가시 밀가루면(麵)과 유사하였으나, FPC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중량(重量)과 부피는 감소하였고, 국물의 탁도(濁度)는 증가하였다. 5. 각(各) 면(麵)의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 3% 첨가시 가장 양호하였으며, 5% 및 7% 첨가시 밀가루만으로 제조한 면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