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층

Search Result 53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istribut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 November 1994 (1994년 11월 동해 중층수의 분포)

  • CHOI Yong-Kyu;CHO Kyu-Dae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0 no.1
    • /
    • pp.119-127
    • /
    • 199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last Sea Intermediate Water (ESIW), CTD measurement was peformed in the last Sea of Korea during $8\~11$ November, 1994. ESIW was $2.0\~2.3^{\circ}C$ in potential temperature, $34.04\~34.06\%_{\circ}$ in salinity and $5.6\~6.1\;ml/l$ in of gen content on the isopycnic surface of 27.2 in potential density. The isopycnic surface of 27.2 which represented the layer of ESIW became shallower from about 200 m depth in the open sea to about 140 m depth near the coast. off the coast of Jukbyun, the 27.2 isopycnic surface was located at the depth of about 120 m and had a little higher potential temperature and salinity, lower oxygen content than those in the open sea. The ESIW on the continental shelf was higher about 0.8 ml/l in AOU, 0.02 in salinity than those of the ESIW in the open sea. These suggest that the ESIW on the continental shelf did not come from the North Korean Cold Water but originated from the open sea.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ntrusive gravity current in stratified fluid (성층화된 유체 내에서 침입중력류의 실험적 연구)

  • Paik, Joong-Cheol;Son, Shin-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3-173
    • /
    • 2012
  • 중력류는 두 유체 사이에서 물질의 종류 또는 온도차로 인한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의 흐름을 말하며, 자연환경에서는 저수지에서의 중층탁류, 사막에서의 모래 폭풍, 하구에서의 염수쐐기 등이 그 예이다.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는 홍수에 의한 범람, 침수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댐이나 하천, 호수 등에 흙탕물이 유입되어 중간층에 정체하는 중층탁류에 의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과거에 중층탁류는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인공적으로 형성된 정체성 호수나 하천에서 장기간 체류하여 생태계의 교란과 수질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중층탁류에 의한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본래 자연 상태의 하천이나 호수와 같이 온도분포가 비선형적으로 성층화 된 상태에서 탁수가 유입되어 중층탁류가 형성되는 과정과 흐름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류 흐름 해석을 위한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실험 장치 중 수조의 제원은 1200 $700{\times}300mm$이며, 수조 상부에는 가열장치를 설치하였고, 수조 하부에는 냉각장치를 설치하였다. 이들 장치들을 가동하여 깊이에 따른 자연현상에서의 비선형적인 온도 단면을 재현한다. 수리 실험방법은 깊이 방향으로 온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성층화 된 유체 내로 경사가 있는 판을 따라 수조내의 성층화된 유체의 중간 온도 혹은 밀도를 가진 유체를 침입시킨다. 침입유체는 성층화된 유체 내에서 초기에는 중력에 의해 운동량을 갖고 경사면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흘러내려 간다. 이후 바닥으로 하강 한 후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동일한 밀도층의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전파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비선형적으로 성층화된 유체 내에서의 침입 중력류의 흐름 특성을 실험적으로 관측하고 분석한다.

  • PDF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전개성능에 관한 모형실험 1. 아래끌줄 길이에 따른 전개성능

  • 유제범;이주희;권병국;김정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5-66
    • /
    • 2001
  • 쌍끌이 중층망은 대형으로 양망시 네트드럼으로 양망해야 하므로 드럼용량이 커야하고, 드럼에 감긴 그물을 투망 할 때에 뜸에 그물코가 얽혀서 파망이나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망구 깊이를 주로 끌줄길이와 예망속도로서 제어하고 있으나, 어구저항이 커서 속도의 조절에 한계가 있다. 중층망의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뜸 대신 카이트(kite)의 사용에 대한 연구(권, 1995)가 있고, 유럽에서는 뜸 없는 무부자(無浮子) 어구를 개발하여 어구저항의 획기적인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중략)

  • PDF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전개성능에 관한 모형실험 2. 추(Front weight)와 날개끝 추(Wing-eng weight)의 무게에 따른 전개성능

  • 권병국;유제범;이주희;김정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7-68
    • /
    • 2001
  •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은 유속에 관계없이 뜸줄이 거의 일직선으로 유지되고 뜸줄의 깊이 변화가 없으므로 부력은 작용하지 않지만 아래 끌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망고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은 발줄의 침자 외에도 추(Front weight)와 날개끝 추(Wing-end weght)의 무게를 증가시키면, 아래쪽으로의 침강력이 작용하여 망고를 더 크게 할 수 있어 기존어구보다 전개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중략)

  • PDF

중층트롤어구 설계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중층트롤 개발도구)

  • 이춘우;차봉진;김현영;원성재;이주희;김영봉;권병국;김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1-32
    • /
    • 2001
  • 현재 중층트롤어구의 설계는 CA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리거나, 수작업으로 직접 그리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렇게 설계되는 어구도 새로이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어구의 설계도를 조금 수정하여 어구제작에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되는 어구는 설계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이 든다. 또한 설계된 어구의 성능이나 수중에서의 어구 형상을 알 수 없으므로 어구설계과정의 오류를 수정할 수 없다. (중략)

  • PDF

In Summer, the Origin of Tsushima Warm Current Water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2 on the Water in the Middle Layer (하계 대한해협 서수도에 유입되는 Tsushima난류수의 기원-2 중층수에 대한 고찰)

  • 윤종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14 no.2
    • /
    • pp.61-76
    • /
    • 1990
  • It was found that three different water masses were vertically situated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in summer. Of these water masses , the origin and inflow path of the middle water were discussed and estimated by comparing with water characteristics of neighbouring sea. As a result, (1) the middle water is formed on the continental shelf in the East China Sea by the mixing of the Kuroshio Water and Chinese Continental Coastal Water, (2) the middle water seems intruded through the sea around 127 E west off Kyushu Island and east off Cheju the Island.

  • PDF

Stratification Effects in a Reservoir on Turbidity Distribution (저수지의 성층현상이 탁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 Yi Yong-Kon;Kim Woo Gu;Kim Young Do;Kim Dae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59-463
    • /
    • 2005
  • 몬순지역에 속한 우리나라의 대부분 저수지에서는 여름철 집중호우시 탁수가 유입되므로,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해 고탁수층의 진행경로, 시공간적 분포, 그리고 방류량조절 등에 의한 탁수저감효과를 예측할 필요성이 있다. 저수지의 성층현상이 임하호의 탁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월별 수온분포가 검토되었고 또한 수리 및 수질모형 CE-QUAL-W2를 이용하여 2차원 수치모의가 수행되었다. 임하호의 6월 수온분포는 표층은 $24^{\circ}C$이고 심층은 $6^{\circ}C$이고 중층은 비교적 선형으로 변화한다. 8월달 수온 분포는 표층의 수온은 $30^{\circ}C$정도이고 심층은 심층은 $6^{\circ}C$이고중층은 $22^{\circ}C$에서 $18^{\circ}C$이고 2개의 수온약층이 존재한다. 6월과 8월의 중층수온분포를 비교해보면 6월은 상대적으로 수온변화가 크고 8월은 수온변화가 작으므로 중층에서의 이송확산이 8월에 보다 활발할 것으로 판단된다. 임하호 성층현상이 탁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6월과 8월의 수온분포의 경우에 대하여 임하호 유역에 80 mm와 120 mm의 총강우량이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초기 저수위는 El. 148 m와 El. 152 m의 조건을 적용하였다. 수치모의결과는 2002년 태풍루사의 경우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수치모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탁수층 선단이 댐체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기 저수위가 높고 중층의 수온분포가 상대적으로 균일한 8월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유입수가 저수지로 유입되면서 초기수위가 높은 경우에 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멸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탁수층의 두께도 8월 성층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층의 8월 수온분포 또는 밀도분포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연직방향 이송$\cdot$확산이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ause of Metalimnetic DO Minima in Andong Reservoir, Korea (안동호에서 중층 저산소층 형성의 요인 분석)

  • Park, Jung-Won;Shin, Jae-Ki;Park, Jae-Ch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1 s.115
    • /
    • pp.1-12
    • /
    • 2006
  •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DO profiles were investigated in Andong Reservoir from 1992 to 2004. Thermal stratification began to form from May of every year.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of epilimnion,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epilimnion and hypolimnion increased until August. Lower oxygen layer was formed at metalimnion from June or July of every year and there were 2 layers depending on each year. The two lower oxygen layers were affected by rainfall and inflow between July and September when thermal stratification was formed. The metalimnetic oxygen minima strongly formed at 2 layers, upper and lower part, when the average rainfall and inflow were ${\geqq}$ 170 mm, ${\geqq}$ 50 $m^3\;sec^{-1}$, respectively. It formed weakly when they were > 400 mm and > 200 $m^3\;sec^{-1}$ for one month. The upper part of low oxygen layers formed on the interface of epilimnion and metalimnion showed larger decreasing rate of DO than temperature and it disappeared around November. The lower part of those farmed on interface of metalimnion and hypolimnion existed until December and disappeared in January, this layer showed larger decreasing rate of temperature than DO. DO increa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low oxygen layers. DO on hypolimnion increased under metalimnion and dramatically decreased near the bottom of the reservoir. Temperature of the inflow during rainy seas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reservoir's metalimnion, DO was similar or higher and BOD, COD and SS increased. Density layer caused by turbidity was formed in metalimnion, and turbidity increased under the upper part (oxygen increasing layer) of metalimnetic DO minima layers reaching the maximum at the direct upper part of the lower DO minima layer. The upper part of DO minima layers formed on the interface of epilimnion and metalimnion is related to organic activity on the surface, and the lower part of those wa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urbid water inflow to metalimnion during rainy season.

해외어선정보

  • 선박검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4
    • /
    • pp.69-71
    • /
    • 2004
  • 이번 호에서는 노르웨이에서 건조된 어선을 3척 소개하기로 한다. 영국 선전 중층트롤 RESEARCH호, RESOLUTE호 그리고 노르웨이 선적 선망 겸 중층트롤 RAV호이다. 이러한 어선을 건조하는 노르웨이의 조선소에서는 약 10년 전부터 선체를 외주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노르웨이 조선소는 전체 신체를 만들지 않고 의장부분만을 제작하는 조선소로 되고 있다.<중략>

  • PDF

Model Test on the High Performance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쌍끌이중층망의 전개성능 향상을 위한 모형실험)

  • 권병국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1 no.4
    • /
    • pp.340-349
    • /
    • 1995
  •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a fishing by the midwater pair trawl net which is used in Denmark; steeply decreasing of the net height with the towing speed increasing, the larger volume of the fishing gear in comparison with the size of the trawler, and catching of a float in a mesh, etc. To prevent steeply decreasing of the net height with the towing speed increasing and catching of a float in a mesh, it is sometimes more useful to use the kite instead of floats. This paper describes the hydrodynamic drag and the opening efficiency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and the midwater kite pair trawl net obtained by the model test in the circulation water channe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ydrodynamic drag of the midwater kite pair trawl net is about 0.7 times smaller than that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2. The net height, mouth area and filtering volume of the midwater kite pair trawl net are smaller then those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when the towing speed is below 2.5knots, almost the same at 2.7knots, and are larger over 3.0knots. The net width of the midwater kite pair trawl net is same as that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3. The shapes of net mouth of both net are an oval steeply flatted with the towing speed increasing. The filtering volume of the midwater kite pair trawl net is larger then that of the midwater pair trawl net by 3% at 3.0knots, 11% at 4.0knots, and 16% at 5.0knot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