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추원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초

Special Issues - 345kV 100MVA STATCOM 국산화 개발

  • 정정주;장병훈;윤종수;한영성;박용희;김준성;유현호;최종윤;서인업
    • 전기저널
    • /
    • 통권394호
    • /
    • pp.46-51
    • /
    • 2009
  • 국내 수도권 전력망의 전압 안정도 향상과 융통전력 증대로 인한 혼잡비용 저감을 위하여 한전 전력연구원과 (주)효성은 2005년부터 345kV 100MVA STATCOM을 국산화 개발하고 수도권 중추 변전소중 하나인 미금 변전소에 설치하여 실증운전을 수행하였다. 본 설비는 IGCT 전력소자를 이용하여 전압원 인버터의 고성능화, 소형화를 이룩하였으며, 설계, 제작, 설치, 운영 및 IT 기술을 이용한 운영방안의 고도화 등 제반사항을 국내 기술로 개발한데 큰 의의가 있다. 본 STATCOM은 2010년말까지 실증운전을 통한 신뢰성 검증후 2011년 본격적인 상용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 PDF

신 증후군 환아에서 Cyclosporin A 치료 중 발생한 급성 백색질 뇌증 1례 (Acute Leukoencephalopathy During Cyclosporin A Therapy in a Pediatric Patient with Nephrotic Syndrome)

  • 정석원;이경화;권영세;김순기;손병관;이지은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91-96
    • /
    • 2005
  • CsA 유발성 중추 신경독성은 신증후군 환자에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 증후군환아에서 CsA 치료 중에 뇌 자기공명 영상으로 확진한 급성 백색질 뇌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으로 항암화학요법 후 발생한 자한, 심계정충을 호소하는 소음인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Sweating and Palpitation due to Chemotherapy for Cancer in a Soeumin Patient with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 이슬;이용재;이정윤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40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report improvements of a Soeumin patient with sweating and palpitation after chemotherapy for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by diagnosing and treating as Yang Depletion Symptomatology. Methods The Soeumin patient was administered Bojungikgi-tang and treated with acupuncture. Global assessment scale (GAS) was used to assess the improvements of symptoms. Results Sweating was improved to GAS 20 and palpitation was gone away after using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an be effective treatment for side effects caused by chemotherapy for cancer.

소아 종양 환아의 중추 신경계 합병증 (CNS Complications in Childhood Cancer)

  • 정유진;서연경;홍승아;김흥식;김준식;이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112-1117
    • /
    • 2003
  • 목 적 : 소아의 악성 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로 환아의 생존 기간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이로 인한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도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항암 치료를 시행한 소아 종양 환아에서 나타난 중추 신경계 합병증에 대한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동산병원 소아과에서 항암치료를 시행한 환아 중 신경계 합병증이 동반되었던 15례의 환아를 대상으로 그 임상상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 전체 15례 중에서 방사선학적 검사로 원인 질환을 밝힌 경우는 모두 13례로 백질뇌병증이 7례, 무기질화 미세혈관병증이 4례, 뇌경색이 3례, 뇌출혈이 1례,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1례, 2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함께 나타낸 경우는 2례였으며, 혈액학적 방사선학적 검사상에서 이상 소견이 없이 MTX의 부작용으로 생각되는 경련성 질환이 2례였다. 뇌출혈과 뇌경색이 나타낸 경우는 예후가 나빴으며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에서는 원인 교정 후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 론 : 소아 종양 환아에서 치료 중 발생한 신경계 합병증은 질환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신경인지 발달에 장애를 남기므로 이들 합병증에 대한 예방, 진단 및 즉각적인 치료와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중추성 요붕증을 동반한 원발성 폐 조직구종 X 1예 (A Case of Primary Pulmonary Histiocytosis-X Associated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 김영민;박융인;최영근;이재승;이우철;홍진희;이수봉;류기찬;이민기;이창훈;이형렬;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110-115
    • /
    • 1999
  • 저자들은 호흡곤란과 다음, 다뇨로 내원한 23세 남자에서 임상소견, 흉부 X-선 검사, 고해상도 흉부단층 촬영, 수분제한검사, 개흉 폐생검으로 확진된 흔치 않은 중추성 요붕증을 통반한 원발성 폐 조직구증 X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두와 선량 및 전중추신경계 치료방법을 중심으로 한 수아세포종의 방사선치료 성적 (Medulloblastoma: Radiotherapy Result with Emphasis on Radiation Dose and Methods of Craniospinal Treatment)

  • 김일한;하성환;박찬일;조병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83-194
    • /
    • 1988
  • 1979년부터 1984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수아세포종으로 전중추신경계 방사선치료를 받은 25예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수술시 종양절제는 조직생검이 2예, 부분절제가 18예, 완전절제가 5예였다. 전중추신경계 방사선치료는 15예가 orthogonal에 의하여 원발병소 및 후두와에 55Gy, 전뇌에 40Gy, 전척수에 30Gy를 주로 조사 받았으며, 10예는 AP:PA법으로 원발병소 및 후두와에 50Gy, 전뇌에 $40\~45Gy$, 전척수에 30Gy를 주로 조사받았다. 치료직후 $84\%(21/25)$의 완전관해 상태가 관찰되었으나 완전관해 21예중 10예가 재발하여 $56\%$의 치료실패율을 얻었다. 치료실제 14예 중 13예는 후두와에 종양잔존 또는 재발 소견이 있어 11예는 후두와의 단독 실패, 1예는 후두와 실패와 광범위의 뇌실벽 침윤, 다른 1예는 후두와 실패와 경부 임파절 전이 양상을 보였다. 척수강만에서의 재발이 1예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25예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75\%$였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58\%$$36\%$였다 후두와 선량이 55Gy인 예가 50Gy인 예보다 5년 무병 생존율이 월등하였고$(62\%:17\%,\;p<0.05)$, orthogonal법으로 치료받은 예가 AP: PA법으로 치료받은 예보다 양호하였으며 $(87\%:12\%,\;p<0.05)$, 종양이 완전절제 된 예가 부분절제 된 예보다 양호하였다. $(56\%:30\%,\;p>0.05)$. 재차 방사선치료의 성적은 불량하였다. 치료후 중증의 후유증은 관찰되지 많았다. 따라서 최대의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하여는, 수술적으로 종양을 가능한 완전히 절제한 후 orthogonal법으로 후두와에 55Gy를 조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뇌 및 전척수에 대한 방사선량을 30Gy이하로 감소시켜도 무방할 것인가는 단정할 수 없다. 이는 앞으로 관찰기간이 더 경과한 이후에 판단할 수 있겠고 또한 방사선치료전에 전지주막하의 종양범위를 명확히 확인할 것이 요구된다.

  • PDF

약물효과의 약동학/약력학 분석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Modeling of Drug Effect)

  • 장인진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5-79
    • /
    • 1997
  • 적절한 약물요법의 목적은 효과적인 약리반응을 얻는 것이며 이를 위한 적정용법은 결국 \circled1 원하는 약물농도를 얻기 위한 용량과 투약법을 결정하는 약동학적 특성과 \circled2 용량-반응의 관계로부터 구하여진다. 그러나 약동학적 과정에 의해 결정되는 용량-농도 관계의 개체내 변이, 개체간 변이 등과 같은 약동학적 변이를 제거한 약물의 농도-반응의 관계가 용량-반응관계 보다는 더 직접적이며 이러한 농도-반응의 관계인 약력학적인 특성이 유효한 약물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약물투여 방법을 결정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볼 때 Brodie(1967)의 항말라리아 제재의 농도와 효과관계에 관한 연구와 같은 초기의 연구이래 많은 연구가 주로 약동학적 특성 즉 용량-농도의 관계에 관해 이루어져 최근 20여년 사이에 큰 발전을 보였으며 이는 약물농도의 분석에 필요한 분석화학적 기기와 방법의 발전에 힘입은 바가 크다 하겠다. 이에 비해 생체에서의 약력학적 연구의 발전은 최근까지도 미미하였으며 그 이유는 많은 약물에서 약리효과와 치료효과의 관계가 불명확하다는 것과 약리효과의 재현성 있는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 그리고 측정된 약리효과와 약물농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론의 난점 때문이었다. 최근에는 제산제의 위내 pH의 변화나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의 뇌파에 대한 변화와 같이 비침습적으로 재현성 있는 약물효과 측정법이 개발되고 있어 앞으로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 PDF

뇌 손상 후 편부전마비 환자에서의 억제-유도 치료의 적용 (An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sis After Brain Injury)

  • 박지원;김종만;김연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1-99
    • /
    • 2001
  • 뇌 손상 후 급성기에 기능의 자발적인 회복이 일어나지만 환자들은 환측의 상지를 잘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원하는 움직임을 억제하는 상황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을 학습 무사용 증후군(learned nonu se syndrome)이라 한다. 이러한 학습 무사용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억제-유도 치료(constraint-induced therapy)가 고안되었다. 억제-유도 치료는 연속되는 몇 주간에 걸쳐 매일 많은 시간 동안 건측의 상지를 묶어두고 환측 상지를 사용하게 하여 기능을 반복 학습하게 함으로써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이미 여러 연구자들이 경두개 자기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움직임 관련 피질전위(movement-related cortical potential),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기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을 통하여 억제-유도 치료 후 운동피질영역에서의 재조직화를 보고함으로써 기능 증진과 관련된 회복 기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억제-유도 치료의 영역은 확대되어 뇌졸중, 척수손상, 고관절 치환술 후로 하지에서의 기능증진을 위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에서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억제-유도 치료는 신경학적인 손상 후 움직임의 재활에 있어서 치료-유도를 통한 중추신경계의 회복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PDF

단삼보혈탕(丹蔘補血湯)이 혈청(血淸) gastrin, secretin 및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ansambohyultang on serum gastrin, secretin release and CNS)

  • 여은경;윤상협;류봉하;박동원;류기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3-248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ansambohyultang on serum gastrin, secretin release and CNS in rats and mice. One group of seven rats was intactly in normal condition, the other group of seven rats was respectively heated, starved, and stressfully immobilized. The third group of seven rats was provided with Dansambohyultang before the stress, and the forth one after the stress. And, gastrin concentration and secretin concentration were measured. Mice were studied with regard to convulsion time, total sleep time and analegic effects on cental nerve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astr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ecret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2. Analegic effect by acetic acid method was recognizably observed. 3. Effect of total sleep time done by pentobarbital-Na was recognizably observed. 4. Anti-convulsion effects induced by strychnine, picrotoxin and caffeine were recognizable. It is inferred from above results that Dansambohyultang inhibits gastin release, stimulates secretin release and palliate the pain.

  • PDF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의 한의학적 임상 연구

  • 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3
    • /
    • 2003
  • 1. 도입 및 배경 Lou Gehrig 병이라고 알려져 있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중추신경계 중 운동신경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진행성 질환이다. 이 병은 근육의 마비와 약화, 강직의 진행과 더불어 언어장애, 연화장애, 호흡장애가 동반된다. ALS는 환자나 가족들에게 엄청난 고통을 주는 질환으로 이병은 발병 후 3-5년 내에 약 $75\%$가 사망한다. 그리고 연하장애가 주된 증상이거나 고령에서 발병하였을 때에는 생존기간이 더욱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치명적인 호흡장애로 인해 대부분 사망하게 된다. 현재 의학계에서는 이 병의 원인도 알고 있지 못하고, 증상에 대한 아무런 치료방법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 역학 원발성 운동신경원성 질환의 발생률은 100,000당 약 7명이고, ALS는 이 중 약 $65-85\%$를 차지한다. 전 세계적으로 1년에 약 2-4명/100,000이 발생하고 있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3. 연구방법 EMG나 Biopsy 등을 통해 신경과 전문의가 ALS로 진단한 환자 중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에서 3개월 이상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는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설문에 응답한 환자 28명을 포함한 총 4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방법은 침, 약침, 봉약침, 한약 등을 환자의 체질을 고려하여 변증에 따라 적용하였고, 환자의 상태 변화는 ALSFRS(ALS Functional Rate Scale)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4. 결과 본 연구결과 ALS의 치료에 한의학적 치료방법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질환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100\%$ 악화되는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약 $40\%$의 환자에서 몸의 상태나 언어장애, 만성적 피로 등이 호전되었고, 근력도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