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추신경계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3초

생식현상에서의 세로토닌의 역할 (Role of Serotonin in Reproduc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9-16
    • /
    • 2001
  • Biogenic amine 류에는 catecholamine, indoleamine 그리고 histamine이 있으며, 동물의 다양한 생리 현상과 행동양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중 indoleamine 류인 세로토닌(serotonin혹은 5-hydroxytryptamine, 5-HT)의 경우 최근 들어 그 수용체 아형의 유전자 규명과 발현 조절, 중추신경계 및 표적 기관에서의 역할, 특히 항우울 효과와 같이 행동 및 심리적인 영향 등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5-HT의 합성 경로, 수용체 아형, 생식과 관련된 기능에 대해 서술하였다. 특히 생식과 관련된 5-HT의 신경내분비학적인 역할로 GnRH-LH-sex steroids 축 조절 기능과 이에 관여하는 수용체 아형들, 생식 조절에 있어서 5-HT 효과의 성적 이형 양상, 중추신경계 이외 기관에서의 역할, 성행동의 조절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였다. 5-HT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특히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삶의 질' 고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유망한 주제 가운데 하나로 판단된다.

  • PDF

모르핀의 내성 및 의존성 형성에 미치는 인삼의 효과(III) -인삼의 Protopanaxadiol 분획 및 Protopanaxatriol 분획의 영향- (Effects of Panax Ginseng on the Development of Morphine Induced Tolerance and Dependence(III) -Effects of Protopanaxadiol Fraction and Prtopanaxatriol Fraction in Mice-)

  • 김학성;오세관;최강주;이해빈
    • 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88-192
    • /
    • 1985
  • 김등은 한국산 인삼의 부탄올분획이 마우스의 모르핀 내성 및 의존성 형성을 억제하였고 rat의 모르핀에 의한 내성 형성 및 dopamine 수용체 초과민성 형성을 억제한다고 보고 하엿다. 저자들은 Takagi가 보고한 인삼의 중추신경계를 억제시키는 protopanaxadiol (PD) 분획과 중추신경계를 흥분시키는 protopanaxatriol (PT) 분획을 사용하여 모르핀의 내성형성에 미치는 활성 분획을 추적할 목적으로 진통작용에 대한 내성 형성 억제 체온 상승 또는 강하 억제작용 체중감소 억제작용 등을 실험하였다.

  • PDF

원발성 중추신경계 말초 T 세포성 림프종: 증례 보고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in Peripheral T-Cell Lymphoma: A Case Report)

  • 변승희;김다미;이인호;송창준;김경환;최송이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55-260
    • /
    • 2021
  • 원발성 중추신경계 T 세포 임파종은 모든 뇌종양 중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뇌종양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보고된 영상의학적인 소견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다수의 작은 결절 및 반점형으로 조영증강되는 병변으로 보였던 뇌실질에 발생한 원발성 기타 상세불명의 말초 T 세포 림프종을 경험하였기에 영상의학적인 소견을 중점으로 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척수손상 후 세포이식에 의한 운동기능의 회복증진 (Improvement of Functional Recovery by Cell Transplant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 이배환;이경희;성제경;황세진;김계성
    • 감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79-186
    • /
    • 2004
  • 중추신경계는 일단 손상이 되면 손상된 세포의 재생, 손상된 수초의 회복, 신경계의 정상적인 연결 등의 제한성 때문에 그 회복이 매우 힘들다. 이러한 중추신경계의 중요한 손상으로는 다발성 경화증, 뇌졸중, 척수손상, 외상, 축삭의 탈수초화 등이 있다. 이전 연구들은 많은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는 척수손상에서 실질적인 척수의 기능적인 회복을 위해 손상된 척수신경의 재생과 축삭의 재수초화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척수손상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서 세포이식 기술이 하나의 해결책을 열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척수손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척수손상에 의한 기능장애에 대해 세포이식이 기능의 회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소아 혈액종양 환자에서 중추신경계 예방적 치료 후 발생한 백질뇌병증 (Leukoencephalopathy after CNS Prophylactic Therapy in Pediatric Hematologic Malignancy)

  • 이준화;이선민;최은진;이건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66-571
    • /
    • 2003
  • 목 적 : 백질뇌병증은 중추신경계 예방 요법을 시행하는 혈액종양 환자들에게는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로, 이러한 백질뇌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방법의 변경이 중요하다 하겠다. 이 연구는 소아 혈액종양 환자에서 예방적 중추신경계 치료에 따른 백질뇌병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 방법 변경 후의 예후에 관해 조사하고, 백질뇌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기적 두부 자기공명영상 촬영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5년 10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B세포 림프종으로 진단받고 중추신경계 예방 치료 후 백질뇌병증이 발견된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와 MRI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 15명과 B세포 림프종 환자 1명의 백질뇌병증 진단 시 연령은 중앙값 5년 3개월이었고, 남녀비는 3 : 1이었다. 항암치료 시작 후 백질뇌병증 진단까지 걸린 시간은 2개월에서 17개월이었다. 백질뇌병증 발생 전 투여한 척수강 내 MTX 투여 횟수는 2회에서 15회로 16명에서 모두 시행하였고, 두부 방사선 치료는 10명에서만 시행하였고 용량은 1,800 rads였다. 백질뇌병증 진단 전 경련, 성격 변화, 두통, 정신 이상, 구음 장애, 의식 변화 등의 정신신경학적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10명 있었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가 6명이었다. 백질뇌병증이 진단되었던 16명의 환자 중 4명은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2명의 환아 중에서 현재 계속 항암치료 중인 경우가 8명, 항암치료를 종료한 환자가 3명, 그리고 보호자가 원하여 항암치료를 중지한 경우가 1명이었다. 백질뇌병증 진단 후 자기공명영상의 추적관찰을 시행한 경우가 12명, 시기상 아직 시행하지 못한 경우가 4명이었으며 추적관찰을 시행한 경우 중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이 호전된 경우가 4명, 지속되는 경우가 6명, 악화된 경우가 2명이었다. 병변이 호전된 4명 중 2명은 병변이 거의 사라져 정상에 가까운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중추신경계 예방 요법으로 사용하는 척수강 내 MTX 주입 요법과 두부 방사선 조사를 비롯하여 정맥으로 투여되는 MTX 또한 백질뇌병증을 유발하며, 이러한 백질뇌병증은 증상없이 발현되는 경우도 많아 병변의 조기발견을 위한 정기적인 자기공명영상의 촬영이 필요하며, 백질뇌병증의 발견 즉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신경학적 기능의 회복을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수술 후 발생한 중추성 항콜린성 증후군 1례보고 (Postcardiotomy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Report of A Case)

  • 이재원;김정원;박승일;송명근;최인철;심지연;권순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34-639
    • /
    • 2001
  • 중추성 항콜린성 증후군(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은 중추신경계에서 콜린성 신경전달 활성도의 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이 증후군은 주로 마취시에 사용되는 약제와 연관되며 Physostigmine의 투여 후 증상이 반전되는 것으로 확진된다. 저자들은 뇌혈관 질환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난원공 개존증에 대해 개심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중추성 항콜린성 증후군을 Physostigmine의 투여로 확진한 1례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Sucrose-Gap Apparatus를 이용한 말초신경계의 Opiate수용체 검색법

  • 이종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0-40
    • /
    • 1992
  • opiate receptor들의 중추신경계에서의 분포 및 작용에 관한 실험물은 널리 알려져 있어 그 웅용 방법도 많이 있으나, 말초에 있는 opiate receptor의 존재 및 약물작용을 관찰하는 실험은 별로 알려진 것은 없다. 저자는 214mM의 sucrose 용역을 이용하여 전기적 자극에 따른 말초신경 및 말초조직(근육)에서의 opiate receptor애 대한 작용을 관찰하였다. 실험은 3분류의 약물을 이용하였다. 1) Pure agonists: morphine, meperidine, methadone, 2) Agonist-antagonist: buprenorphine 3) Pure antagonist: naloxone 위의 약물들을 이용하여 excitable cell membrane(좌골신경 및 근육)에서 일어나는 potential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 pure agonists들은 좌골신경 및 근육절편에서 action potentials을 의의있게 억제시켰으며 meperidine이 가장 강한 작용을 보였다. b. 이들의 작용은 naloxone 투여로 억제되었다. c. Agonist-antagonist인 buprenorphine은 투여용량 및 동시 투여한 pure agonist의 종류에 따라 biphasic pattern을 나타내었다. d. opiates 작용기전 및 약물작용장소를 알고자 두 종류, 즉 single 및 double technique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 PDF

흰쥐의 실험적 건망모델에 있어 항치매 효과물질의 약효검색에 관한연구(I)

  • 이영근;류항목;양지선;김옥희;최병천;이숙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3-43
    • /
    • 1992
  • 최근 수년 전부터 학습(learning), 기억(memory)의 분자약리학적 기전과 치매(dementia)의 신경생리학적 원인 규명에 대한 연구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횐쥐를 이용하여 실험실적 건망모델을 설정하여 항치매 물질의 효력 screening을 시도하였다. 실험실적 건망모델은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Acetylcholine 길항제인 Scopolamine을 사용하여 중추신경계중 기억, 학습기전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cholinergic신경계률 차단하여 유발한 실험적 건망모델과, 둘째, 단백질합성 저해제인 cycloheximide를 사용하여 기억, 학습경로에 관여하는 수종의 중추 단백질듈을 비선택적으로 저해하여 유발한 실험적 건망모델을 이용하여 인삼, 오미자등의 항치매 효과를 검색하고자 수동적 회피학습능, 능동적 회피학습능, 자발운동량을 측정하여 기억, 학습, 행동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였다.

  • PDF

ATP-Induced Apoptosis of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a Role of Mitochondria

  • 김미란;박동욱;김영아;조태섭;황경주;민철기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
    • pp.32-36
    • /
    • 2001
  • 난소의 재형성 과정은 난소 내 여러 조절인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성장 및 퇴행 과정을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황체는 주기적 성장과 퇴행을 보이며 과립세포의 세포자멸사 (apoptosis)를 통해 황체의 퇴행이 일어나게 된다지. 이러한 세포자멸사 과정은 난소의 정상 생리에 매우 중요하다. ATP 는 자율신경으로부터 세포외 유출을 통해 분비되어 근육 수축, 신경전달체계, 외분비 및 내분비 호르몬의 분비, 면역반응, 염증, 혈소판 응집, 동통 및 심장기능의 조절 등 매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작용은 세포 표변에 존재하는 purinoceptor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TP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작용하나 세포외부에 존재하는 ATP의 경우에는 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어떤 세포에 있어서는 세포용해를 일으키기도 하며, 어떤 세포에서는 세포자멸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ATP는 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세포 외에 존재하는 ATP는 말초신경계 혹은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