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첩 블록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영역에서의 MAD 분포 및 부표본화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Distribution of Mean Absolute Difference at The Search Region Overlapped with Neighbor Blocks and Subsampling)

  • 이법기;정원식;이경환;최정현;김경규;김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B호
    • /
    • pp.1506-151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움직임 탐색영역에서의 MAD 분포 및 블록내 화소의 부표본화를 이용한 두가지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두 가지 방법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영역에서 현재 블록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구하여 이용하였으며, 이때 사용되는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는 이웃 블록의 MAD와 현재 블록과 이웃 블록간의 MA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블록 정합은 블록내 화소를 부표본화한 뒤 행하였다. 제안한 첫 번째 방법에서는 블록 MAD의 최소 범위를 이용하여 이웃 블록과 움직임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 구한 기준 MAD가 블록 MAD의 최소 범위보다 큰 탐색점에 대하여서만 블록 정합을 행함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계산량을 크게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 블록 MAD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각 탐색점에서의 실제 MAD는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실제 MAD 분포의 확률적인 모델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컸뼜\ulcorner모의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접 블록의 중첩된 탐색 영역을 고려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즘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 Considering Overlapped Search Region of Neighboring Block)

  • 이법기;이경환;정원식;최정현;이건일;김덕규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5호
    • /
    • pp.48-5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추정시 인접된 블록간의 탐색 영역이 중첩됨을 이용하여 전역 탐색 기법과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계산량을 현저히 감소시킬수 있는 고속 움직임 추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현재 움직임 추정을 행하고자 하는 블록에 대한 탐색점 중에서 인접된 블록과 중첩되는 탐색점에 대하여는 먼저 평균 절대 오차 (mean absoulte difference; MAD)를 계산할 필요가 있을지에 대한 판별을 행한 뒤 MAD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 대하여서만 MAD를 구한다. MAD 계산 여부에 대한 판별에는 현재 블록과 인접 블록간의 MAD 와 인접 블록의 각 탐색점에 대한 MAD를 이용한다. 여기에 사용된 현재 블록과 인접 블록간의 MAD는 각 블록에 대하여 한번만 계산하면 되고, 인접 블록의 각 탐색점에 대한 MAD는 이미 구해져 있기 때문에 한번의 MAD 계산을 추가함으로써 탐색점 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컴퓨터 모의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전역 탐색 알고리즘과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많은 계산량의 감소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중첩 기반 연산과 Hanning Window를 이용한 블록 불연속 노이즈 방지 알고리즘 (Algorithm to prevent Block Discontinuity by Overlapped Block and Manning Window)

  • 김주현;장원우;박정환;양훈기;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650-1657
    • /
    • 2007
  • 본 논문은 블록 처리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링잉 노이즈 감소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블록 불연속 노이즈(Block Discontinuty)를 방지 할 수 있는 중첩 기 반(Overlapped Block) 연산과 Hanning Window에 관련된 것이다. 링잉 노이즈 감소 알고리즘은, 24bit RGB와 블록 기반 연산으로 하며, 수정된 K-means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다. 그래서 제안한 중첩 기반 연산은 입력 영상을 여러 단위 블록으로 조각낼 때, 단위 블록의 크기의 반을 중첩 시켜 선택하는 방법이다. $16{\times}16$ 픽셀 크기의 데이터 블록을 데이터 유닛(Data Unit)이 라고 정의하였다. 그 후 처리된 데이터 유닛들을 등방성 분포를 지닌 Hanning Window를 사용하여 중첩된 데이터에서 원 이미지 형태로 복원하였다. 최종적으로 언급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링잉 노이즈를 가진 이미지를 기존 방법(비 중첩 기반 연산)과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처리함으로써 각각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적응적 중첩 블록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프레임 율 향상 알고리즘 (Frame Rate up-conversion Algorithm using Adaptive 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ion)

  • 이강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85-79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중첩 블록 움직임 보상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양방향 프레임 율 향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참조 영역의 움직임 복잡도에 기반한 적응적 중첩 블록 음직임 보상 방법이 사용된다. 움직임 복잡도는 이전에 부호화된 움직임 추정과정에서 판단되므로 중첩 블록 움직임 보상 방법에 적응적 기법을 추가적인 계산 복잡도 없이 적용 가능하다. 실험결과는 제한한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객곽적, 주관적 화질에서 우수함을 보여준다.

서브블록 히스토그램 등화기법을 이용한 개선된 콘트래스트 강화 알고리즘 (An Advanced Contrast Enhancement Using Partially Overlapped Sub-Block Histogram Equalization)

  • 김정연;김이섭;황승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2호
    • /
    • pp.58-6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콘트래스트 (이하 대비)를 높이기 위한 개선된 히스토그램 등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글로벌 히스토그램 등화 기법은 간단하나 영상의 각 부분에 맞는 충분한 대비를 얻을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블록 중첩 서브블록 히스토그램 등화 기법은, 높은 대비를 얻을 수 있으나 그 계산량이 엄청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방법의 장점을 모두 얻기 위한 부분 중첩 서브블록 히스토그램 등화기법(Partially Overlapped Sub-block Histogram Equalization : POSHE)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는 서브블록들의 히스토그램 등화 함수를 저역 통과 필터 형태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얻음으로써 그 계산량을 블록 중첩 서브블록 히스토그램 등화에 비해 크게 줄여서 훨씬 빠른 시간에 블록 중첩 서브블록 히스토그램 등화 기법과 비슷한 정도의 높은 대비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 PDF

항공기 데이터블록의 효율적 비중첩 재배치 알고리즘 (Efficient Non-overlapping Aircraft Datablock Relocation Algorithm)

  • 정재협;원인수;양훈준;정동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117-1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데이터블록이 중첩되었을 때 효율적으로 재배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관제화면에서 항공기 정보를 의미하는 데이터블록이 중첩되면 관제하는데 어려움을 주므로 중첩되지 않게 재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재배치 알고리즘에서는 데이터블록의 특성을 고려한 최소이동을 이용한다. 최소이동의 이동거리는 중첩 시 생기는 직사각형의 높이 또는 너비를 사용하여 계산되며, 최소이동의 이동방향은 데이터블록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또한 항적심벌과 데이터블록의 사이가 멀어진 특정한 상황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을 사용한 재배치가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데이터블록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였으므로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중첩 블록 단위 종단간 이미지 압축 방법 (Overlapped Block-wise End-to-End Image Compression Method)

  • 김민섭;이종석;심동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5-157
    • /
    • 2020
  • 본 논문은 딥러닝 기반의 중첩 블록 단위 이미지 압축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미지를 블록 단위로 나누어 압축을 진행하며,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블록의 주변부를 압축에 이용한다. 이로 인한 추가적인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복호화에 필요한 부하 영역을 제거한 뒤, 복호화기에서 특징맵들을 병합하여, 제거한 영역에 대해 주변 블록의 정보를 사용하여 복호화를 진행한다. 압축을 진행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요구 메모리를 이미지의 크기에 상관 없이 고정된 작은 메모리로 이미지 압축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 결과로써 4K 이미지를 통해서 복원된 화질과 메모리의 사용량을 측정한 결과, 동일한 화질을 유지함과 동시에, 기존 방법대비 약 500배 적은 메모리 사용량을 보인다.

  • PDF

중첩 블록 기반 움직임 추정에 의한 중간 영상 합성 기법 (New Efficient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Method by Overlapped Block Motion Estimation)

  • 하태현;이성주;김성식;성준호;김재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4-63
    • /
    • 2004
  • 서로 다른 프레임 율을 가진 영상매체 사이의 프레임 호환을 위해, 움직임 추정 (motion estimation, ME)과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중간 영상 삽입 (합성) 기법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 MCI)이 활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MCI에 적합한 움직임 추정기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움직임 추정 기법을 종래의 MCI에 적용한다. 종래의 방법에선 움직임 추정 블록과 MCI 블록의 크기가 동일하나, 본 논문에서 사용된 움직임 추정 블록은 MCI 블록과 같은 중심 축을 가지고, MCI 블록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인접 블록과 중첩된 특성을 가진다. 제안한 움직임 추정 블록에 의한 계산량 증가를 줄이기 위해, 제안한 움직임 추정 블록내의 화소를 샘플링 하여 움직임 추정을 실행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검증하기 위해, 움직임 추정 블록을 다양한 샘플 계수로 샘플링 한 후 움직임 추정을 실행하였다. 제안한 방식으로 추정된 움직임 벡터 (motion vector, MV)를 활용하여 MCI를 수행하였으며, 수행된 결과를 종래의 방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블록 평균 절대치 오차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 (Fast Black Matching Algorithm Using The Lower and Upper Bound of Mean Absolute Difference)

  • 이법기;정원식;이경환;최정현;김경규;김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A호
    • /
    • pp.1401-141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영역에서 현재 블록 평균 절대치 오차 (mean absolute difference;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이용한 고속 블록 정합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먼저, 이웃 블록과 중첩된 탐색 영역에서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를 이웃 블록의 MAD와 현재 블록과 이웃 블록간의 MAD를 이용하여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블록 정합을 행하여야 할 탐색점 수를 줄임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전역 탐색 블록 정합 알고리듬 (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 FSBMA)에 매우 근접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블록 MAD의 최소 및 최대 범위뿐만 아니라 블록 내 화소의 부표본화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움직임을 추정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움직임 추정에 필요한 계산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모의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움직임 추정 오차 측면에서 FSBMA에 근접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변형된 블록 정합을 이용한 이미지 모자이킹 (Image Mosaicing using Modified Block Matching Algorithm)

  • 김대현;윤용인;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3-39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화소값으로부터 추출된 유사 특징점(quasi-feature point)을 이용한 이미지 모자이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유사 특징점의 선택은 전역 정합(global matching)의 결과로부터 중첩된 영역을 4개의 부영역(sub-area)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부 영역에서 국부 분산(local variance)의 크기가 큰 블록을 선정, 이 블록의 중심 화소를 유사 특징점으로 선택한다. 유사 특징점에 대한 정합은 카메라 이동에 따른 왜곡(distortion)과 조명의 변화를 고려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block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