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첩 면적비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storm effects on floods using runoff coefficient (유출계수를 이용한 호우가 홍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Nam Won;Shin, M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5-265
    • /
    • 2016
  • 호우가 홍수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은 수문현상을 이해하고 수공구조물을 설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다. 호우가 홍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독립된 소유역부터 비독립된 대유역까지 홍수량을 계산하고 그 상관성을 이해해야 하지만 상류쪽의 소유역의 경우 관측자료의 부재가 빈번하여 이러한 전반적인 분석이 쉽지 않다. 그리고 소유역과 대유역의 홍수특성을 연관지어 분석하기 위해서는 비교가능한 홍수특성을 추출해야 하며 이러한 일관된 잣대를 사용한 홍수분석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의 자료부재를 보완하기 위해 자료공간확장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하여 안동댐 유역내 총 50개 지점의 홍수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다. 자료공간확장 방법으로써, 안동댐유역의 1989년부터 2009년까지의 자료의 질이 좋은 20개의 사상을 추출하였고 안동댐유역 내에 위치한 안동댐, 도산, 소천의 수위관측지점의 관측유량자료에 대해 분포형 모형인 GRM 모형의 매개변수를 시행착오법으로 동시에 보정하여 한 개셋의 최적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이때 모의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ash-Sutcliffe (NS)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20갯 사상의 세군데 관측수위지점에 대해서 모의결과가 전반적으로 0.5 NS 계수 이상으로써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 추정된 매개변수는 47개의 추가적인 관심지점의 유출모의에 사용되었으며 이렇게 모의된 유출시계열 자료는 관측시계열 자료로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공간확장되어 생성된 시계열 자료는 이동평균방법을 사용하여 홍수강도-지속시간 곡선으로 변환되었고 50개 유역의 평균강우량 시계열 자료 또한 같은 밥법을 사용하여 강우강도-지속시간 곡선으로 변환되었다. 50개 유역의 비교가능한 일관된 홍수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비유량법의 유출계수를 계산하였다. 유출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유역별 도달시간을 계산하였으며 이 도달시간에 해당하는 강우강도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유역별 첨두 홍수강도를 유역별 도달시간에 해당하는 강우강도로 나눠줌으로써 유역별 유출계수를 계산하였고 이 유출계수를 유역면적에 대해 도시함으로써 그 경향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유역면적이 $100km^2$ 이상으로써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유역이 중첩되면서 증가하는 비독립적인 유역들의 경우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계수가 작아지거나 커지는 어떠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유역면적이 $100km^2$ 이하로써 독립적인 소유역의 경우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계수는 무작위로 분포되었다. 이것은 비독립적인 유역의 경우에는 호우가 홍수에 어떠한 일관된 영향을 미치나 각각 독립된 소유역의 경우에는 일관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지역화방법에 의한 독립된 인근 미계측유역의 유출추정은 그 신뢰성이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oarse-grained Bottom Sediment using Image processing (이미지분석을 이용한 조립질 하상 토사의 형상학적 특성 측정 연구)

  • Kim, Dong-Ho;Kim, Sun-Sin;Hong, Jae-Seok;Ryu, Hong-Ryul;Haw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9-279
    • /
    • 2022
  • 최근 이미지분석 기술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의학, 생물학, 지리학, 재료공학 등에서 수많은 연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미지분석은 다량의 토사에 대하여 입경을 포함한 형상학적 특성을 간편하게 정량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분석 방법으로 판단된다. 현재 모래의 입도분석 방법으로는 신뢰성 있는 체가름 시험법(KSF2302) 등이 있으나, 번거로운 처리과정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입자형상은 입경이 세립 할수록 직접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75㎛ 이상의 조립질 하상 토사 이미지를 취득하여, 입자들의 장·축단 길이, 면적, 둘레, 공칭직경 및 종횡비 등의 형상학적 특성인자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이미지 분석에 특화된 라이브러리인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를 적용하였다. 이미지 분석 절차는 크게 이미지 취득, 기하보정, 노이즈제거, 객체추출 및 형상인자 측정 단계로 구성되며, 이미지 취득시 패널의 하단에 Back light를 부착해 시료에 의해 발생되는 음영을 제거하였다. 기하보정은 원근변환(perspective transform)을 적용했으며, 노이즈 제거는 모폴로지 연산과 입자간의 중첩으로 인한 뭉침을 제거하기 위해 watershed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객체의 외곽선 추출하여 입자들의 다양한 정보(장축, 단축, 둘레, 면적, 공칭직경, 종횡비)를 산출하고, 분포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미지분석을 적용한 토사의 형상학적 특성 측정 방법은 시간과 비용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하상 토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össbauer] Spectroscopic Study of La1/3Sr2/3FeO2.96 under the External Magnetic Field (산소결핍 페롭스카이트 La1/3Sr2/3FeO2.96의 외부 자기장 하에서의 Mössbauer분광학적 연구)

  • Yoon, Sung-Hyun;Jung, Jo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5 no.2
    • /
    • pp.81-84
    • /
    • 2005
  • The origin for the charge disproportionation (CD) transition in polycrystalline $La_{1/3}Sr_{2/3}FeO_{2.96}$ was examined using X-ray diffraction and the external field $M\ddot{o}ssbauer$ssbauer spectroscopy. In order to see how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ffects the CD state above its transition temperature, an external magnetic field of up to 6 T was applied either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gamma-ray$ direction with the sample temperature fixed at 225 K, which was above the CD transition temperature. Without an external magnetic field, a completely paramagnetic singlet was obtain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averaged valence state above the transition temperature, which was interpreted as coming from the average valence $Fe^{3.6+}$. In the longitudinal geometry, a magnetic Zeeman with its intensity ratio 3:0:1:1:0:3 is superimposed to the central singlet. In the transverse geometry, however, the central singlet disappears and only a magnetic component with its intensity ratio 3:4:1:1:4:3 emerges. The existence of a singlet is understood as an evidence of the fast electron-transfer among Fe ions. Since the singlet still exists under the magnetic field,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field has little effect on the conduction mechanism of hopping electrons.

Usefulness of Posture Change to Prevent Overlapping of Heart and Other Organs in Myocardial Perfusion SPECT using $^{99m}Tc$ Labeled Compound ($^{99m}Tc$ 표지화합물을 사용한 심근 관류 SPECT 검사에서 심장과 타 장기와의 중첩 방지를 위한 자세 변화의 유용성)

  • Lee, Dong-Hyuk;Oh, Shin-Hyun;Jeong, Seok;Jo, Seok-Won;NamKoong, Hyuk;Kim, Jae-Sam;Lee,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6 no.1
    • /
    • pp.62-69
    • /
    • 2012
  • Purpose: The present study has an objective of effectively separating and making observations on a portion of radiopharmaceutical excreted via digestive organ to remain in the organ and invade a heart shadow. Materials and methods: When heart shadow is blocked by the organ in tests during a resting phase and a loaded phase, additional images were obtained using immobilization device. The immobilization devices were used to tilt the upper body forward from supine position. Results: In the reconstructed image for the separated cas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art of organ is overlapped with heart, in terms of an overall mean value for each parameter, the end-diastolic volume increased by 2.75 mL, the end-systolic volume decreased by 3.16 mL, the left ventricle cardiac coefficient increased by 3.58%, and the area of defect region decreased by 3.58 and 3.92 cm for loading and resting phase,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e present study with myocardial perfusion SPECT, overlapped areas of heart and other organs could be effectively separated and visualization by the use of an immobilization device.

  • PDF

The Compensation Cost Analysis of Parcels for Land Alternation according to Occupation Ratio to Road (도로 편입률에 따른 토지이동 대상필지 보상비 분석)

  • Lee, Geun Sang;Park, Jong Ahn;Cho, Mi Su;Cho, Gi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1
    • /
    • pp.13-22
    • /
    • 2014
  • Recently, many civil appeals have been occurred in land management work because of discord between cadastral records and actual land use pattern. it is important to select parcels for land alternation exactly using land information and to evaluate compensation cost according to scenarios for advancing this problem. This study operated GIS spatial overlay based on serial cadastral maps and actual-width of the road and analyzed the number and area of the parcels for land alternation by the land classification and ownership applying fuzzy membership function according to occupation ratio to road. Also compensation cos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scenarios using individual public land price information of the parcels for land alternation and was arranged by district as Eup and Myeon according to land classification and ownership. This study can efficiently support the work of the parcels for land alternation complying with the financial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 by supplying compensation cost according to scenarios to the parcels of land alternation by district as Eup and Myeon.

Estimation of Support Working Expenses for Dam Area using GIS Spatial Analysis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비 산정)

  • Hwang, Eui-Ho;Lee, Geun-Sang;Chae, Hyuo-Suck;Koh, Deuk-K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4
    • /
    • pp.24-32
    • /
    • 2005
  • Budget distribution system suporting dam area was changed largely in 2005, and thus, population survey and area calculation for dam and needed to be performed based upon the new criteria. According to the former regulations, dam area was confined to inside of 5km from the H.W.L-line. However, new regulations divide it into two categories : inside and outside of catchment area within 2km from the H. W. L-line and those belong to 2~5km from the same line. In this study, topography, DEM, TIN and Hydrological Unit Map were build for the analysis of the Namgang Dam area. It shows that analysis of dam area using GIS methods produces a good results to be used for rational distribution of budget.

  • PDF

Analysis on a Location Compatibility of Forest Fire Detection Faciliti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Hazard Regions Types in Samcheok Area (삼척지역 산불위험지 구분에 따른 감시시설의 위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Lee, Si-Young;An, Sang-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3
    • /
    • pp.265-271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on the area of Samcheok, Kangwondo about forest fire alarming area and enlargement of the area. Then, visible area by unattended watching camera and watchtower for forest fire which were run by Samcheok was cross-check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 ould be whether effective on watching the area here the forest fire risk was high enough and also it could be expanded to larger forest fire. The result of study, the visible area by watching facilities only holds for 13.4% of the whole forest fire alarming area, but the forest fire can be observed even though it is occurred in small valley because of smoke and all the forest fire have been occurred in daytim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watching area will be extended around 50.3% while the observation radii of watching facilities raise by 4km. However, Samcheok has much greater area of mountain area in compared to any other cities or counties, watching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and run additionally for extinguishing the forest fire from the beginni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to Cadastral Resurvey (지적재조사를 위한 고해상도위성영상 적용방안 연구)

  • Song Seok-Jin;Jang Yong-Gu;Kwak Jae-Ha;Kang I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96-100
    • /
    • 2006
  • 지적 측량분야에서의 위성영상의 활용사례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며, 그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무엇보다 위성영상의 해상도가 낮음이 가장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넓은 지역을 단시간에 분석,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큰 장점 등으로 인하여 앞으로의 그 활용가치는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KONOS영상을 이용하여 지적재조사 측량에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얻었다. 먼저, 수치지적도와 IKONOS 영상을 중첩하여 도심지의 건물들을 검사점으로 오차를 측정한 결과 X방향으로 평균 2.77m, Y방향으로 평균 1.58m가 발생하였고 본 연구에서 활용한 영상이 나타내는 면적을 기준으로 개략적인 비용을 산출해 본 결과 위성영상 $6km{\times}5km$의 소요비용이 260,117,000원 정도로 나타났고, 총 소요비용 중 영상의 재료비 비용이 상당히 낮게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위성영상 기술은 앞으로 많은 발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정확도는 더욱더 향상될 것이다. 현재로서는 위성영상을 지적재조사 측량 방법으로 정립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다만, 지상측량 방법으로 측량이 곤란한 지역 즉, 접근이 제한되는 지역의 사전 정보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이나 현황을 참고하는 수준정도로서는 충분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rophic Level and Ecological Niche Assessment of Two Sympatric Freshwater Fish, Microphysogobio rapidus and Microphysogobio yaluensis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활용한 멸종위기종 여울마자와 동서종 돌마자의 영양단계 및 생태적 지위 평가)

  • Dae-Hee Lee;Hye-Ji Oh;Yerim Choi;Geun-Hyeok Hong;InHyuck Baek;Keun-Sik Kim;Kwang-Hyeon Chang;Ju-Duk Y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7 no.1
    • /
    • pp.39-50
    • /
    • 2024
  • In ecosystems within limited resources, interspecific competition is inevitable, often leading to the competitive exclusion of inferior spec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anagement of Microphysogobio rapidus by evaluating species' ecological response to biological factors within its habitat. To understand this relationship, we collected food web organisms from site where M. rapidus coexist with Microphysogobio yaluensis, a specie ecologically similar to M. rapidus, and evaluated the trophic levels (TL), isotopic niche space (INS), and the overlap of INS among fishes within the habitat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M. rapidus exhibited a higher TL than M. yaluensis, with TL of 2.6 and 2.4, respectively. M. yaluensis exhibited a broad IN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feeding characteristics of most fish. Conversely, M. rapidus showed a narrow INS and asymmetric feeding relationships with other species, in habitats with high competition levels. This feeding characteristics of M. rapidus indicate that the increase in competitors sharing the similar resources lead to a decrease in available resources and, consequently, is expected to result in a decrease in their density.

Farmland Use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Images and Land Use Change Analysis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농경지 지도 작성 및 토지이용 변화 분석)

  • Lee, Kyungdo;Hong, Sukyoung;Kim, Yihyu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6
    • /
    • pp.1164-117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make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to analyze the land use change for about 8 year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We have made a new numerical map named as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taken mostly in 2007 and digital topographical map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near metropolitan areas to classify farmland use of paddy, upland, plastic film house, and orchard. We also made a land use map by overlaying the farmland use map and the land registration map of each city made in 2007, and compared the land use map made by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1999. Paddy areas decreased at a range of 3,000 to 5,000 ha during 8 years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in the cities. Upland and orchard areas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areas of the plastic film houses in the cities showed an increase or same in size. It is suggested that farmland use map can be broadly used as a base map for various survey projects including soil survey, statistics, and farmland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