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a Location Compatibility of Forest Fire Detection Faciliti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Hazard Regions Types in Samcheok Area

삼척지역 산불위험지 구분에 따른 감시시설의 위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
  • 안상현 (충북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on the area of Samcheok, Kangwondo about forest fire alarming area and enlargement of the area. Then, visible area by unattended watching camera and watchtower for forest fire which were run by Samcheok was cross-check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 ould be whether effective on watching the area here the forest fire risk was high enough and also it could be expanded to larger forest fire. The result of study, the visible area by watching facilities only holds for 13.4% of the whole forest fire alarming area, but the forest fire can be observed even though it is occurred in small valley because of smoke and all the forest fire have been occurred in daytim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watching area will be extended around 50.3% while the observation radii of watching facilities raise by 4km. However, Samcheok has much greater area of mountain area in compared to any other cities or counties, watching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and run additionally for extinguishing the forest fire from the beginning.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지역을 대상으로 산불발생 위험지역과 대형화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현재 삼척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산불무인감시카메라 및 산불감시탑의 가시권역을 GIS 중첩분석을 통하여 산불발생위험이 높으면서도 대형 산불로 확대될 위험이 높은 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불위험지역 중 가시권 범위에 들어오는 지역은 13.4%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산불이 주로 낮에 발생하고, 연기가 나기 때문에 조그만 계곡부에서 발생하더라도 감시 할 수 있으므로 감시시설 반경을 4km까지 포함하면 전체면적 중 약 50.3%를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삼척시는 다른 시,군에 비해 넓은 면적의 산림을 가지고 있어 초동진화를 위해서는 감시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 운영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장혁, 이광원, "산불의 실태와 대책,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211pp(1996)
  2. 이시영, 이명욱, "숲가꾸기 실행 및 미실행지의 임분 특성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1, No.4, pp.52-58(2007)
  3. 산림청, "2006년 산불통계자료", 194pp(2007)
  4. Bradshaw, L.S., J.E. Deeming, R.E. Burgan, J.D. Cohen, "The 1978 National Fire-danger Rating System : Technical Documentation", USDA For. Serv. Gen. Tech. Rep. INT-169. 44pp(1983)
  5. Hirsch, K.G., "Canadian Forest Fire Behavior Prediction(FBP) System: user's guide. Canadian Forest Service", 121pp(1996)
  6. 정연하, 이시영, 염육철, 여운홍, "산화위험율예측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연구보고, Vol.38, pp.117- 123(1989)
  7. 신영철, 안상현,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불방재 방안: 청주시 우암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3, No.1, pp.23-34(2000).
  8. 조명희, 오정수, 이시영, 조윤원, 백승렬, "GIS를 이 용한 산불정보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4, No.3, pp.51-50(2001)
  9. 조명희, 김준범, 김현식, 조윤원, "웹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을 이용한 산불 현황정보 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5, No.4, pp.93-105(2002)
  10. 안상현, 원명수, 김동현, 강영호, 이명보, 이시영. "의 성군지역 산불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8, No.2, pp.117-124(2005)
  11. 이시영, 정일웅, 김상국, "산불방지를 위한 산악기상 관측시스템 구축방안",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8, No.1, pp.36-44(2006)
  12. 이시영, 강용석, 안상현, 오정수, "GIS를 이용한 산불 피해지역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5, No.1, pp.20-26(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