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점관리요소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관련법개정 -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Korea Meat Industries Association
    • the MEAT Journal
    • /
    • s.22 fall
    • /
    • pp.37-68
    • /
    • 2000
  •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 그동안 4차례에 걸쳐 개정되었습니다. 개정된 고시 내용을 편집하여 수록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주>

  • PDF

일본의 가축사육위생관리 지침서(I)

  • 문진산;김덕원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1 no.5
    • /
    • pp.433-438
    • /
    • 2005
  • 최근 농림부에서는 축산물 위생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축장, 우유 ${\cdot}$ 육가공장, 배합사료공장에 이어 사육단계에서도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도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사육농장에서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하는데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위해요소를 파악, 이를 사전에 차단하거나 중점 관리하는 사육단계의 HACCP를 2006년 돼지농장을 시작으로 2007년 젖소, 2008년 한육우, 2009년 산란계, 2010년 육계공장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도입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제정한 가축의 생산단계인 농장에서의 위생관리지침서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Major Factors of Window Work in Construction Phase Considering Recurrence of Defects in the Maintenance Phase (유지관리단계의 하자 재발생을 고려한 창호공사 시공단계의 중점관리요소 분석)

  • Jeong, U Jin;Kim, Dae Young;Lim, Jeeyoung;Park, Hyun J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6
    • /
    • pp.653-664
    • /
    • 2021
  • As the construction standards for energy-saving eco-friendly housing have recently been strengthened, the proportion of window work has increased with the demand for high-efficiency housing. Windows have high frequency of use, and there is the potential for many defects to occu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According to a government agency's survey of defects in public rental apartment housing, defects in the windows work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of complaints received. Accordingly,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considered, and it was found that the existing studies in Korea lacked research that reflected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window work and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In addition, existing overseas studies considered both the constructor and the resident's position, considering the cost aspect together, and showed a trend of struc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cts and causes.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auses of defects that can occur in the construction phase of the windows work, reflect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derive major factors that consider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after repairing defects. Ultimatel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defects in the construction phase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by presenting a highly effective defect management plan through selecting the major factors for each defect type that can be intuitively judged b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fect types and causes.

인물 포커스 - 조규담 원장(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Kim, Dong-Ji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4 no.10
    • /
    • pp.88-89
    • /
    • 2012
  • 지난 8월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장(이하 기준원)에 조규담 전 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선임되었다. 기준원은 "Farm to the table"을 기치로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축산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료공장을 시작으로 공장에 이르기까지 HACCP를 적용시키며 국내 축산물 위생 및 안전수준 향상시켜 축산업의 위상을 높여 왔다. 본고는 34년 공직생활을 통해 쌓아온 경험과 역량, 신념을 바탕으로 기준원을 최고의 기관으로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는 조규담 신임 원장을 만나 향후 계획을 들어보았다.

위해요소 중점 관리기법(HACCP)에 의한 신선 편의식품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

  • Hong, Seok-In;Lee, Eun-Sil;Kim, Dong-M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3 no.3
    • /
    • pp.3-16
    • /
    • 2000
  • 신선 채소류 편의식품에 관련된 병원성 세균으로는 Listeria monocy togenes, Yersinia enterocolytica,A eromonas hydrophila 등이 포함된다. 이들 제품은 미생물(병원성 및 비병원성)을 감소시키거나 사멸시키기 위해 별도의 살균 또는 항균제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 원료에 존재하거나 혹은 가공 및 유통 과정에서 오염된 미생물이 제품에 그대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품에서는 병원성 세균이 발견될 수도 있으며, 특히 냉장유통 중 온도조절이 불완전할 경우 그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므로 신선 편의식 채소류 제품에 대해서는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위해 요소 중점관리기법(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을 적용하면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수 있다. HACCP이란 특정 제품의 수확에서 소비까지 전 공정에 대해 위해 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규정하는 관리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HACCP의 7가지 기본 원칙을 정리하여 실제 대파(green onion)의 최소가공 과정에 적용함으로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한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