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재프로그램

검색결과 1,619건 처리시간 0.028초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가 치매환자의 우울, 불안,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The Effect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Including Education Programs on Depression, Anxiety, and Participation of Activities in People With Dementia)

  • 함민주;김희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7-109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가 치매환자의 우울, 불안감,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환자 19명을 모집하였고 실험군 10명, 대조군 9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집단작업치료와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였고, 대조군은 집단작업치료만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은 8주간 주 2회, 하루 2시간씩 동일하였으나 실험군의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는 4가지 주제의 교육 프로그램을 하루 30분, 8회기 동안 추가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의 비교를 위하여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해밀톤 불안검사(Hamilton Anxiety Scale; HAM-A), 상태-특성 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였다. 결과 : 중재 전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시,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군의 우울과 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 :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는 치매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향후에는 치매환자의 심리 정서적 측면을 강화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보호자 교육에 중점을 둔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의미치료에 기반한 음악과 심상 프로그램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Logotherapy-Based Music and Imagery Program on the Self-Worth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 홍금나;김성찬;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2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미치료에 기반한 음악과 심상(Logotherapy Based Music and Imagery: LBMI) 프로그램이 장애인 활동 보조인의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다. 방법: LBMI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는 삶의 가치와 의미를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활동 보조인 28명을 무작위로 실험군(14명)을 대조군(14명)으로 배정하여 평가했다. 중재 프로그램은 실험군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60분씩 설정된 주제별로 총 6회기로 구분하여 수행했다. LBMI 프로그램의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중재 전과 후, 실험군 간의 자기가치감척도(Self-Worth Scale: SWS)를 비교분석했다. 결과:실험군의평균 KGDS 점수는 21.0점에서 16.9점으로 4.1점 (19.4%) 감소한반면, 대조군은 19.95점에서 21.11점으로 1.16점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의 감소는 사회적 관심 감소 (40%), 부정적 사고 및 불행 감 (20%), 정서적 불편 함 (16.3%),인지 기능 장애 (7.6%)의 4가지 우울증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습니다. 결론: LBMI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에서는 자기가치감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고 있으나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LBMI 프로그램이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장애청소년의 전환프로그램 : 연구 동향 분석과 체계적 고찰 (Transition Program for Youth With Disabilities: Research Trend 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 안수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23-36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전환프로그램 연구동향과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국내외 전환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 및 지역사회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여 성인생활의 모든 측면을 포함할 수 있는 중재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med, Web of Science(Wo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21년까지의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Disability' AND ('Adolescents' OR 'Young adult') AND ('Transition education' OR 'Transition program')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7편의 국내외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문을 검토하였다. 또한, WoS(Web of Science) 플랫폼과 VOSviewer(version 1.6.16, CWTS, Netherlands, 20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와 국가 관계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결과 : 7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ASD, ADHD, ID, DD, physical disability 총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재에 사용된 영역은 크게 직업(학업), 자기관리(시간), 상호작용(대인관계, 의사소통) 3가지 범주로 혼합되어 실시되었다. 중재 결과 7편 중 1편을 제외하고는 사회성 및 적응,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 세 가지 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환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면서 프로그램의 적용과 그 효과를 정리하여 다양한 전문가와의 교류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단편적인 측면이 아닌 성인생활의 모든 측면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비장애 형제간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협력적 악기연주 프로그램 적용 사례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ir Neurotypical Siblings Through a Cooperative Music Playing Intervention)

  • 정진원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61-88
    • /
    • 2023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를 대상으로 협력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형제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만 7-12세 ASD 아동 3명과 만 6-11세 비장애 형제 3명으로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로 구성된 각 그룹이 40분씩, 주 2회, 총 8회기의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동시적 행동 수행의 단계, 상호보완적 행동 수행의 단계, 협력을 통한 공동의 목표 성취의 단계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매회기 중재 시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시작·반응행동, 연쇄적 상호작용 행동 및 협력적 연주 행동을 관찰하여 측정하였으며 중재 전후 비장애 형제는 형제관계척도를 보호자는 보호자가 지각한 형제관계척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시작·반응행동, 연쇄적 상호작용 행동, 협력적 연주 행동이 중재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보호자와 비장애 형제가 평정한 형제관계척도의 평정 점수 또한 프로그램 후 증가하였으나 형제 갈등 및 경쟁의식 하위 영역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형제간 접촉이 증가하면서 갈등과 경쟁의식을 경험하는 기회 역시 증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SD 아동과 비장애 형제가 함께 참여하는 중재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협력적으로 연주하는 중재가 형제간 상호작용 시도 및 친밀감 증가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복강경담낭절제술 후 가온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 적용 효과 (Study on Effect of Warmth Therap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이중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50-356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수술 후 회복실에 입실한 환자에게 가온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중재방안 개발 및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가온요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31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온요법은 가온기를 통해 회복실에서 38~43℃ 범위 내 가온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𝑥2-test와 In-dependent t-test로 파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체온, 통증, 전율의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파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온도 편안감의 차이는 t-test로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수술 직후 반복 측정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온, 통증, 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온도 편안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이 수술 후 가온요법 중재 시 환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에 관련 메타분석 2000년부터 2023년까지 - (Meta-Analysis of Self-Advocac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Research from 2000 to 2023)

  • 진수미;김화수;이지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01-21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 크기,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자기옹호 관련 논문 총 2153 편 중 발달장애인을 키워드로 한 연구 41편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관련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청소년 및 성인, 또는 전환기 시기에 20-30명이 있는 학습상황에서 10-19회기수를 기준으로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권고하며, 특수교육, 통합교육 등 교육적 차원에서만 국한된 연구가 많은데 이를 적용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자기주장, 자기권리를 효과적이고 세련되게 주장할 수 있는 언어재활 차원에서의 자기옹호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국내 비만아동의 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Children)

  • 성경숙;윤영미;김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62-269
    • /
    • 2013
  • 목적 국내에서 연구된 비만 아동의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종류별, 종속변수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효과적인 아동의 비만관리프로그램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0년에서 2010년까지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및 다양한 중재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주요 대상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연구는 대조군이 있는 실험연구, 비만 아동에게 중재를 제공한 연구, 서술 통계치와 추론 통계치가 사용가능한 연구들이 포함되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연구들은 신뢰구간 95%, 통계적 유의수준 5%로 정하며 이용된 프로그램은 STATA 10.0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61편의 연구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개별연구들의 결과를 결합한 효과크기는 -0.23 (95% CI, -0.32 ~ -0.15)로 중간 이하의 효과를 보였다. 중재별 결합추정치 중에서는 운동요법과 영양교육을 포함한 중재 방법이 중간 이상의 효과를 보였으며 종속변수 중에서는 혈중 렙틴, 인슐린이 큰 효과가 있었으며 중성지방, 혈당, 체지방률, 자아존중감이 중간크기의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분석에 이용된 논문들은 출판상의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확인된 비만 아동의 관리프로그램을 각 지역사회기반을 둔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비만아동의 지속적인 체중 및 건강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Fall 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종민;김동희;송승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총 4주 동안 가상현실 프로그램 중재를 받는 실험군 10명과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 후 낙상 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하여 낙상 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능적 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 중재 전 후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p<.05). 결론 : 작업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작업치료와 더불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착시현상이 반영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연구 (The Effect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involve Visual Illus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Study)

  • 최성열;김수경;이재홍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3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착시현상이 반영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 중재 적용 시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거울치료 시 착시현상을 반영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과 착시현상을 반영하지 않는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 각각 3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상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와 수직선 그리기 검사를 매회기 반복 측정 하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거울치료를 적용한 결과 모든 대상자는 중재기에서 마비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으며, 기초선 회귀에서 그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착시현상이 반영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받은 그룹이 중재기에서 더욱 상향된 경향선을 보였고, 기초선 회귀에서 더 높은 상지기능이 지속되었다. 결론 : 과제 지향적 거울치료 운동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과제 지향적 운동프로그램 구성 시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편측 움직임을 포함하는 과제를 활용하여 좀 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