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이용

Search Result 35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pecification of Onboard Multimedia Systems for Railways (철도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규격 연구)

  • An, Tae-Ki;Shin, Jeong-Ryul;Kim, Gyu-Jin;Chung, Jong-D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204-2205
    • /
    • 2011
  • IC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철도 차량에 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철도 차량에서 제공하기 위해서는 표준규격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시급하다. 철도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기반 기술은 국내외 적으로 부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IEC에서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제공을 위한 표준규격 제정을 서두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C TC9에서 추진하고 있는 철도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규격을 살펴보고, 향후 철도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표준규격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New Paradigm of Rubber Dam (가동보의 새로운 Paradigm 연구)

  • Kim, Phil-S.;Kim, Sun-Joo;Jee, Yo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60-1564
    • /
    • 2009
  • 우리나라 농업용수의 주수원공인 저수지는 2004년 말 현재 총 17,732개소에 달하지만 1972년 이후 설치된 저수지는 11%인 2,051개소 정도로서 나머지 89%의 저수지는 노후화 되거나 기능이 저하되어 현재의 설계기준을 충족시키기 못하고 있다. 또한 총 3,328개소의 저수지 중에서 홍수조절용 게이트가 설치된 저수지는 28개소에 불과하여 거의 모든 농업용 저수지는 자연유하식 물넘이를 통하여 홍수량을 배제할 수밖에 없으므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집중호우나 폭우를 감당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 저수지 유역의 특성상 많은 토사가 퇴적되어 저류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새로운 수원공의 설치는 어려운 실정이므로 한발과 홍수에 대처하기 위한 유지보수 방안들이 연구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자연유하식 물넘이에 가동보를 설치하므로 자연재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구조적 경제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for releasing environmental water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환경용수 방류를 위한 운영기준 설정)

  • Yoo, Seung-Hwan;Choi, Jin-Yong;Lee, Sang-Hyun;Cho, Young-Hyun;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7-447
    • /
    • 2012
  •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은 기존 농업용저수지의 둑을 높여 저수량을 추가확보하여 갈수기에 본류 및 지류에 환경용수 공급을 하기 위하여 시행 중이다. 기존의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라고 하는 단일 목적 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로서 용수공급은 대상작물의 재배시기에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다. 둑높이기 대상 농업용저수지는 농업용수 및 환경용수 공급이라는 다중목적을 수행하여 한다. 따라서 기존의 농업용저수지 운영기준과는 차별되는 운영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농업용수 공급 능력을 유지하며, 하류하천에 유지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운영기준을 설정하였는데, 농업용 저수지의 규모에 따라서 운영기준을 제안하였다. 먼저 중소규모 저수지의 운영기준은 운영기준곡선의 개념을 활용하여 현저수량을 운영기준곡선에 대입하여 적정 방류가능량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저수지 유입량을 고려하여 연중 방류 가능한 기준방류량을 선정하고, 기준방류량의 연중 방류에 따른 최대, 최소 방류기준곡선과, 사업 전 저수량을 고려하여 방류제한 곡선을 설정하였다. 한편 대규모 저수지의 경우 기준방류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과거 30년 이상의 저수량 모의를 통하여 비관개시 시점의 각 초기저수량에 따라 관개기 시점의 목표 저수량을 만족할 수 있는 초기저수량별 기준방류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 기준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운영기준을 적용하여 일별 저수량을 모의하고, 운영기준 적용에 따른 환경용수 공급 능력 및 이수안전도의 분석하였다.

  • PDF

An Image forgery protection for real-time vehicle black box using PingPong-256MAC (PingPong-256MAC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실시간 영상 위변조 방지 기술)

  • Kim, HyunHo;Kim, Min-Kyu;Lee, Hoo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241-244
    • /
    • 2018
  • Domestic vehicle registr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every year, traffic accidents are also increasing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should be judged and handled appropriately. When judging the accident situation, the black box is what evidence can be except for witness who is at the accident scene. The black box becomes an essential role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However, there is no way to prove integrity by evidence corruption, fabrication and etc. For this reason, we propose a method to guarantee the integrity of image through hash value generated by using PingPong 256 encryption algorithm for integrity verification in this paper.

  • PDF

The operating system of a new high-power LED module with back-boost mode (Back-Boost 방식에 의한 새로운 고출력 LED 구동시스템)

  • Chung, J.H.;Lim, J.M.;Yang, S.C.;Song, S.G.;Park, S.J.;Moon, C.J.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17-122
    • /
    • 2005
  • 최근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광원보다 효율이 좋은 광원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 것이 고출력(high-power) LED이다. 고효율 LED의 개발로 인해 일부에서는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야간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명용 광원으로 직류 전원을 이용한 고출력 LED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며 기존 방식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이 좋은 새로운 LED 전원구동장치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방식에 리액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으며 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TTA와 함께하는 ICT표준자문서비스 - 화승엑스윌, 4차 산업혁명으로 내딛는 첫걸음

  • TTA 표준화본부 표준진흥단
    • TTA Journal
    • /
    • s.177
    • /
    • pp.116-119
    • /
    • 2018
  • 2007년 화승그룹, R&A에서 분사한 (주)화승엑스윌은 컨베이어 벨트, 산업용 유압 호스, 특수물, 시트 등의 산업용 고무제품과 철도 장비 등을 제조 도매한다. 특히 해양 방현재의 설계 및 제작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포스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해양수산부 등을 해외에서는 SUMITOMO, TEXCEL, TRELLEBORG 등을 주요 거래처로 하는 중견기업이다. (주)화승엑스윌은 세계적 대세를 따라 기존의 컨베이어용 벨트를 IoT 융합형 스마트 컨베이어로 업그레이드하고자 했고, 개발 기술의 표준화도 염두에 두었다. 그러나 제조업 기반 기업으로서 표준 IoT 관련 전문성은 외부에서 구할 수밖에 없었다. 주변의 추천으로 TTA 자문서비스를 신청한 (주)화승엑스윌은 현재 IoT 표준 제품의 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부 과제 참여를 검토 중이다.

  • PDF

Development of A Web Server For Embedded Systems (내장형 시스템용 웹 서버 개발)

  • Kang, Sun-Rye;Shin,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1-404
    • /
    • 2003
  • 내장형 시스템용 웹 서버는 일반 웹 서버와는 매우 다른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작은 메모리의 사용, 특수 목적으로 정의된 정적 및 동적 페이지의 제공, 웹 서버 내부에 기본 시스템 및 네트워크 관리 기능의 내장, 내장형 응용 프로그램과 웹 서버와의 유연한 연결 그리고 다양한 내장형 프로세서의 지원 등의 요구 사항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장형 시스템용 웹 서버의 요구 사항을 기술하고, 이들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우리 고유의 내장형 웹 서버인 "웹박스(Webox)"를 설계하고 내장형 리눅스 개발 환경에서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현재 내장형 웹 서버 웹박스의 알파 버전이 개발되어 시험 중이며 최종 결과물이 완성되면 공개 소프트웨어로 오픈할 예정이다.

  • PDF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

  • Byeon, Gyeong-Jae;Hong, Eun-Ju;Park, Hyeong-Won;Lee, H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27.2-27.2
    • /
    • 2009
  • 현재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는 액정소자의 백라이트유닛, 모바일폰, 차량용램프, 교통신호등 등 다양한 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응용분야는 앞으로도 크게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는 발광다이오드의 저전력, 장수명, 친환경적인 장점에 의한 것으로, 일반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를 미래의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출력이 보다 향상되어야 한다. 발광다이오드의 광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다양한 문제점이 있지만 특히 낮은 광추출특성으로인한 광출력저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을 도입하였다. UV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서 p형 질화갈륨 및 인듐주석산화물 투명전극 층에 sub-micron 급 광결정패턴을 형성하였으며, 광루미네선스와 전기루미네선스 측정을 통하여 광결정패턴으로 인한 광출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DUPIC 핵연료 보장조치용 중성자측정장치 개발

  • 이영길;차홍렬;나원우;홍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769-774
    • /
    • 1996
  • DUPIC 공정은 재처리공정과는 달리 공정의 전ㆍ후를 통하여 사용후핵연료의 양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시설이 원활히 운전되기 위해서는 사용후핵연료가 결손 또는 전용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핵투명성(nuclear transparency)을 보장할 수 있는 DUPIC 핵연료 보장조치용 비파괴측정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3$He tube, 폴리에칠렌(CH$_2$)감속재, 텅스텐 차폐체 그리고 PSR(portable shift register) 등으로 구성된 측정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본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후핵연료에서 검출되는 중성자중에서, $^{244}$ Cm의 자발핵분열중성자 수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후핵연료를 계량관리 할 수 있다. 현재 측정시스템에 대한 성능시험등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며 향후 DUPIC 연구용 고준위방사성물질취급시설(hot-cell)에 설치할 예정이다.

  • PDF

하나로 표준형 계장 캡슐의 열적성능 평가

  • 주기남;박종만;맹완영;강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415-420
    • /
    • 1997
  • 하나로 재료 조사시험용 표준형 계장캡슐 개발의 일환으로 캡슐 mock-up (96M-01K)을 제작하여 노외에서 승온 성능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실제 하나로내 장입시의 거동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표준형 계장캡슐의 설계/제작기술, 열적조절성능, 그리고 열설계용 컴퓨터 code (GENGTC) 둥을 평가할 수 있었다. 캡슐의 진공 및 micro-heater system은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였으며, 캡슐의 공기중 승은거동은 계산치와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이는 가공/조립상의 내부 gap 변화, 캡슐표면에서의 온도측정상의 오류, 그리고 상하부로의 열손실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을 통하여 표준형 계장캡슐의 하나로내 건전성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 하나로 장입시의 승온 및 하강절차 등을 설정할 수 있었다. 현재 본 실험 결과들을 토대로 하나로 조사시험공의 (CT, IR1, IR2) 핵적특성 평가용 표준형 계장캡슐을 (97M-01K) 설계ㆍ제작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