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심 홈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8초

Zigbee 기반 원격 영상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Zigbee based Remote Motion Monitoring and Ligiting Control System)

  • 김정현;유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9-101
    • /
    • 2009
  •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어 가면서 홈 네트워크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응용 분야들이 제안되어왔고 그 중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분야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VA 확장 API인 JMF(Java Media Framework)를 사용하여 웹 상에서 홈페이지 접속을 통한 실시간 원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원격제어를 위하여 홈 네트워킹의 대표적 무선 기술인 Zigbee를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Zigbee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구현 (Realtime Video Monitoring and Zigbee based Remote Lighting Control System)

  • 김정현;유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107
    • /
    • 2009
  •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어 가면서 홈 네트워크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다.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응용 분야들이 제안되어왔고 그 중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분야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VA 확장 API인 JMF(Java Media Framework)를 사용하여 웹 상에서 홈페이지 접속을 통한 실시간 원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과 홈 네트워킹의 대표적 무선 기술인 Zigbee를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 PDF

영상전화기(비디오폰) 판매 활성화방안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ale revitalization Video Phone Market - The Case of Seoul City -)

  • 김대윤;이상윤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35-53
    • /
    • 2009
  • 본고는 홈네트워크 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미 건축된 주택(기축시장)을 대상으로 영상전화기(비디오폰)의 판매활성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가전, 네트워크장비, 통신서비스업체들은 새로운 시장을 보며 홈 네트워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홈네트워크 시장은 신축 고급아파트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신축시장의 경우 최종고객의 선택권이 없기 때문에 건설 회사를 통해 영업.마케팅을 해야 한다. 그래서 신축시장은 개별적인 수요파악이 어려워 판매활성화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데 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기축시장을 대상으로 향후 수요가 서민주택으로까지 확대될 것에 대비해 기능이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 비디오폰 시장개척에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비디오폰의 개념과 시장동향을 분석하고, 유통경로형태와 A/S 처리시스템을 파악하며 기축시장에 적합한 비디오폰 판매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IoT 게이트웨이 기반의 이벤트 중심 접근 방식 응용프로그램 설계 (Design of IoT Gateway based Event-Driven Approach for IoT related Applications)

  • 라이오넬;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19-2124
    • /
    • 2016
  • 사물 인터넷(IoT)은 효율적인 시간 응답 및 처리를 위해 이벤트 중심으로 접근 할 필요가 있다. IoT에서 모바일 기기의 성장은 IoT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지능형 건물로 연결이 된다. 예를 들어, 홈 오토메이션 제어 시스템은 홈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해 스마트 폰이나 웹 서비스에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같은 웹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 합니다. 홈 서버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명령을 수신 받은 후 조명 시스템을 제어 한다. 게이트웨이 기반의 클라이언트 처리 담당인 RESTful 기술은 '인터넷상에 숨어있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증명'을 요청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성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IoT 게이트웨이의 설계 작업을 제안한다. NodeJS의 통신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인 XMPP는 중앙 허브를 통해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지능형 빌딩 제어 장치의 통신 부분을 처리한다.

스마트 홈 환경 내 상황인지 시스템을 위한 프로파일 개발 및 적용 방법 (Development of Profiles for Context-Aware System in Smart Home Environment and Its Usage)

  • 장준환;신원용;구본재;로비율;양성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01-904
    • /
    • 2014
  • 센싱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도메인에서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진 상황인지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실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특정한 공간을 도메인으로 둔 서비스는 미흡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 시도들이 있어왔으며 실제로 성과를 거둔 연구도 많이 있었다. 이 중, 온톨로지 기반 추론을 이용한 방법들이 상황인지 시스템에 비교적 신뢰성 있고 적합하였으나, 복잡한 규칙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사용자 별로 상황을 인지하지는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용자 중심의 상황 모델링에 기반 한 추론에서 벗어나 개체 중심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또한, 사용자 및 홈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사용자 별 상황을 인지 할 뿐만 아니라 각 개체 별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더욱 구체적인 상황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맞춤형 홈 케어 뷰티 디바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ome Care Beauty Device)

  • 김태원;김현웅;이천희;민혜진;김다두;김동훈;박상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3-34
    • /
    • 2022
  • COVID-19 발병과 장기화로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발생으로 셀프 스킨케어에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맞춤형 홈 뷰티 케어 디바이스의 제품디자인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중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발견, 정의, 발전, 전달 단계 순으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1단계 발견에서는 사전 조사를 통해 도출된 3가지 제품 컨셉 평가와 함께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집단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2단계 정의에서는 제품 컨셉과 디자인 방향성을 설정하였고, 적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3단계 발전에서는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피부 상태 측정 간소화 및 케어 솔루션을 제시하여 제품 컨셉을 정교화 하였다. 그리고, 유니버설 스케일 적용을 위해 한국인 인체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된 대표 치수를 적용하여 디자인 시안을 제시하였다. 4단계 전달에서는 시안들에 대해 소비자 평가를 시행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 시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타일링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가 아닌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융합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측정 데이터 기반으로 한 정보들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OSGi 서비스 플랫폼에서 RBAC 기반의 사용자 접근제어 프레임워크 (A RBAC-based Access Control Framework in OSGi Service Platform)

  • 조은애;문창주;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5호
    • /
    • pp.405-422
    • /
    • 2007
  • 최근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홈 네트워크에서는 각 디바이스별로 ACL을 이용하여 접근 제어 정책을 관리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EAM(Extranet access management)이 솔루션 형태로 응용되고 있으며, 보안 운영체제에 대한 연구가 공개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흠 서버 중심의 흠 네트워크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등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접속기술의 전송범위가 넓어 인증되지 않은 외부 단말기의 접속이 가능하고, 둘째, 사용자가 별도의 필요 정보를 일일이 디바이스에 설정할 필요가 있어 불편하다. 셋째, 사용자 프라이버시나 편의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질적인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OSGi는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접근제어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서는 안되는 홈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분야 중에 하나지만 아직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SGi 서비스 플랫폼이 운영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접근제어를 위한 RBAC 기반의 권한부여 정책 관리 프레임워크와 접근제어 운영방법을 제안한다. 제시된 접근제어 프레임워크는 OSGi 표준에서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았던 부분들을 고려사항으로 나열하고,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들을 프레임워크로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에서는 홈 게이트웨이의 제한된 자원에 대해 RBAC의 개념을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제어에 대한 정책변경의 횟수를 줄이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영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정책은 사용자역할정책과 권한할당정책을 개별적으로 정의한 후 사용자 정보를 댁내에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여주고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도록 방안을 제시한다.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청년기 발달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노승현;김정석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69-91
    • /
    • 2018
  • 본 연구는 그룹홈 거주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그룹홈 종사자들의 대리응답조사와 발달장애인 당사자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7명의 자료가 확보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년기 발달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는 직원 직무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고령 발달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는 활동피로감 수준이 낮을수록, 이용자 선택 수준이 높을수록, 직원 직무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활동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룹홈의 직원직무수행은 청년기와 중고령기에 공통적으로 유의하지만, 활동피로감, 이용자 선택, 사회활동 참여 등은 중고령기에만 유의한 것으로 정리된다. 이상의 결과는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다른 연령층에 대비되는 이들의 차별적 욕구를 고려한 특화 건강지원, 사회활동지원, 서비스 공급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그룹홈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견해에 기초한 생활만족도를 증진하려는 노력과 그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는 향후 조기노화의 위험이 높은 다운증후군장애인, 뇌성마비 및 지적 중복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이들의 차별적 욕구와 현황을 살피려는 연구로 확장되기를 제언한다.

유비쿼터스 흠 환경에서의 사용자 중심 멀티미디어 서비스 (User-Oriented Multimedia Service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 박종혁;이상진;고병수;이상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531-1542
    • /
    • 2005
  • 유비쿼터스 홈 환경(U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 없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지능화된 서비스 와 각각의 사용자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사용자 편의성 및 투명성, 이종 디바이스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호 호환성 등의 요구사항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이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보호 관리 및 인증 권한관리 방식 등이 필요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UHE에 적합한 인증방식을 제안$\cdot$적용하며, 이종 기기간 멀티미디어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며, 센서모듈과 홈서버를 이용한 상황정보(사용자 취향 정보, 디바이스정보 등)를 지능적으로 처리하고, 투명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 멀티미디어서비스(UHMS: Ubiquitous Home Multimedia Service)를 제안한다.

  • PDF

그룹 홈과 공유주택 개념을 중심으로 본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주거대안 개발을 위한 연구 - 부산광역시 단독주택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Developing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for Aging in Place - Focused on the Elderly Lived in Detached Housing, Busan -)

  • 오찬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9-70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elderly from the viewpoint of aging in place. The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alternatives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In order to achieve it,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were examined. Then,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the home sharing related needs of them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201 older persons whose age was more than 65 years and lived in detached houses.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identified that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were acceptable to the subject aged. 2) The modified group home which consisted of less than 10 individual detached houses and common area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the elderly. The individual ones were existing ones which the elderly lived in. The common area included of common kitchen, dining room, bathroom, and living room for about 10 old persons. The common area can be provided by building a new one and remodeling the existing building for other purpose or community center for the elderly. The detached houses which had spare bedrooms can be shared by another old persons. This alternative would be economic and useful to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