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소유역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and Forecasting of Flood Stage in Small-Medium Urban Basin (중소도시유역의 홍수량산정 및 홍수위 예측)

  • Kim, min-jeong;Kim, byeong-chan;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32-436
    • /
    • 2009
  • Recently, damage of flood is increased because of a short of time of concentration by development and a rise in runoff discharge by frequently heavy rain. The increase of runoff discharge is resulted in not only rise of water level but also damage of lives and property around river. Therefore, it is should be the first to estimate the exact runoff discharge. And based on the estimated flood discharge, flood damage is prevented by estimating inundated area of flood. In this study, flood stage is forecasted using HEC-HMS and HEC-RAS for Namdae-stream. The peak discharges were determinated by probability rainfall with the return period. The peak discharges obtained from HEC-HMS were inputted boundary conditions for the channel routing. Flood stages were evaluated using HEC-RAS.

  • PDF

Determination of Design-Width for Medium Rivers of Central Area in Korea (우리나라 中部地方의 中小河川에 대한 計劃河幅의 算定)

  • 안상진;권봉희
    • Water for future
    • /
    • v.29 no.4
    • /
    • pp.139-147
    • /
    • 1996
  • The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ver basin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hydrological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river width formula for medium rivers of central area in Korea.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1) The model for the stream-width to be applied to the medium rivers of central area in Korea is developed as suggestion model-a function of the design flood discharge-of which the formula is $B=1.532A^{0.644.}$; (2) The model for the stream-sidth to be applied to the medium rivers of central area in Korea is developed as suggestion model-a function of the watershed Area-of which the formula is $B=12.392A^{0.511}$; (3) The model for the stream-width to be applied to the medium rivers of central area in Korea is developed as suggestion model-a function of the stream length of which the formual is $B=10.509l^{0.852}$.

  • PDF

Development of a conceptual rainfall-runoff ensemble model using hierarchical Bayesian method (계층적 베이지안을 활용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 앙상블 모델 구축)

  • Yu, Jae-Ung;Kim, Min-Ji;Oh, Se-Ch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1-181
    • /
    • 2021
  • 유역 내의 물순환 평가를 위하여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것은 수문학적 관점에서 주된 과제이다. 장기적인 관점의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계측을 통해 장기간의 유출자료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으나, 국내의 주요지점을 제외한 대다수의 중소규모의 지점에 계측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자료취득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기간 강우 자료를 강우-유출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으로의 모형을 확장하는 방안이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연속강우-유출모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적 신뢰성 있는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소양강댐 유역에 다수의 연속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였다. 모델링 결과로 산출된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을 소양강댐 유입량과 비교하여 각 모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유량에 따른 적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향후 미계측유역으로 모형을 확장하기 위하여 매개변수 개수 및 재현능력을 동시에 평가하였다. 다수의 모형 중 적합성이 높은 모형들을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모형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계층적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앙상블모형을 제시하였다. 앙상블모형을 단일 모형과 비교한 결과 단일 모형보다 개선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Runoff Analysis Using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 Kwak, Ki Seok;Kang, In Shik;Jeong, Yeon Tae;Kang, Ju B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4
    • /
    • pp.859-866
    • /
    • 1994
  • It is difficult to make an exact estimate of the peak discharge or the runoff depth of flood and establish the proper measure for the flood protection since the water stage or discharge has been nearly measured at most medium or small river basi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parameters of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for medium or small river basin. The On-Cheon River basin in Pusan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The runoff data used in the study has been observed since June 1993, and the effective rainfall was determined using the storage function method. The parameter sets of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were estimated using the least squares method and the correlation function method, respectively. The calculated hydrographs by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regenerated the observed outflow hydrographs well, and also the simulated flood hydrograph was comparable to the observed on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is simpler than other runoff analysis methods, and can be applied to a medium or small river basin.

  • PDF

Analysis of Regional-Scale Weather Model Applicabilities for the Enforcement of Flood Risk Reduction (홍수피해 감소를 위한 지역규모 기상모델의 적용성 분석)

  • Jung, Yong;Baek, JongJin;Choi, Minha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5B
    • /
    • pp.267-272
    • /
    • 2012
  • To reduce the flood risk caused by unexpected heavy rainfall, many prediction methods for flood have been developed. A major constituent of flood prediction is an accurate rainfall estimation which is an input of hydrologic models. In this study, a regional-scale weather model which can provide relatively longer lead time for flood mitigation compared to the Nowcasting based on radar system will be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Chongmi river basin located in central part of South Korea. The duration of application of a regional weather model is from July 11 to July 23 in 2006. The estimated rainfall amounts were compared with observations from rain gauges (Sangkeuk, Samjook, and Sulsung). For this rainfall event at Chongmi river basin, Thomson and Kain-Frisch Schemes for microphysics and cumulus parameterization,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optimal physical conditions to present rainfall fall amount in terms of Mean Absolute Relative Errors (MARE>0.45).

Estimation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Using Geospatial Shape Factors and Nash Model in Mid-size Watershed (중소규모유역의 지형공간적 형상계수를 이용한 Nash 모형기반의 합성단위도 산정)

  • Kim, Jin Gyeom;Kim, Jong Min;Kang, Boo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5
    • /
    • pp.547-558
    • /
    • 2013
  • Improved methodology of Synthetic Unit Hydrograph (SUH) utilized generally in hydrologic design work was suggested.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eak hydrological data and geospatial data was applied to estimate specific peak flow and peak time for determining shape of SUH. Regression formulas for specific peak flow with respect to shape factors show highe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0.73~0.81) than the ones with geospatial components only (0.52~0.69). The areal limitation of unit hydrograph application is regarded as 500~700 $km^2$. The validation through rainfall-runoff simulation shows encouraging results that relative error is 1.7~29.0%(Avg. 11.6%) for the case of using SUH developed in this study and 35.0~ 64.9% (Avg. 46.7%) for the SUH in the previous study except for the extraordinary cases.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Urban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Water Quality Index (수질지수를 활용한 도시 하천의 수질 평가 적합성 연구)

  • Lee, Sang Ung;Jo, Bu Geon;Kim, Chan Hui;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0-17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변화로 하천 오염원의 다양화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OD, T-P 항목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중·소하천에서는 다양한 오염원의 영향이 나타나 BOD, T-P 항목의 관리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오염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평가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강 유역의 경기도 지역은 인구밀도 및 불투수면적이 높고 중소하천의 분포가 넓은 유역으로 다항목 수질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평가 목적 및 계산 방법, 평가되는 수질 항목, 등급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의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통계분석과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천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대해 연구 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주요 오염원 및 영향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는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지수를 활용한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유역 특성을 반영한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분석으로 도시하천의 수질 인자별 관계성을 도출하여 유역의 도시 현황별 영향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CCME WQI, NSFWQI 등 기존 국내·외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를 도시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로 산정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정된 수질지수의 점수 및 등급과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여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관리 및 대응의 의사결정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Conceptual Models for Rainfall-Runoff Relationship in Small to Medium Sized Watershed -Application to Wi Stream Basin- (중수 하천유역에서 강우-유출관계의개념적 모형 비교연구 -위천유역을 중심으로-)

  • Lee, Jeong-Sik;Lee, Jae-Jun;Son, Gwang-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3
    • /
    • pp.279-291
    • /
    • 1997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practicality of the existing four conceptual models, two linear models of Clark and Nash model and two nonlinear models of Laruenson and WBN model,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model to simulate the rainfall-runoff process in a given catchment. The variability of parameters for linear models is generally larger than that of nonlinear models. The errors in peak discharge are similar among the four conceptual models buy the errors in time to peak are quite different. Nonlinear models produce better results for time distribution than linear models. A comparison of the conceptual models to predict overall hydrograph using Friedman two-way analysis of variance by rank test indicates that nonlinear models are slightly better than linear models.

  • PDF

Evaluation of Land Use Change Impact on Stream Drying Phenomena Using a Grid-Based Continuous Hydrologic Model (격자기반 수문 모델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하천건천화 영향 평가)

  • Jung, Chung Gil;Lee, Yong Gwan;Jang, Sun Soo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2-102
    • /
    • 2015
  • 최근 중소규모 하천은 하천수 및 하천변 지하수 이용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 등 유역 내 수문인자의 특성 변화로 인해 하천의 건천화가 점증하고 있어 하천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장기수문 모델(PGA-CC)을 이용하여 과거 수십년동안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하천 건천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제 건천화가 진행되고 있는 삽교천 상류유역($358.8km^2$)을 선정하였고 토지이용변화분석을 위해 과거 1975년 토지이용도(Past), 현재 2008년 토지이용도(Present)를 구축하였다. 각각의 토지이용 항목 중 변화율이 가장 높은 도시비율은 과거 토지이용도에서는 2.6 %였으며 현재 토지이용도에서는 11.3 %로 8.7 %가 증가하였다. 모델 검보정은 최근 7년(2005-2011)동안 최종유역출구지점에서 유출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NS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은 평균 0.71로 유출량의 모의값과 실측값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천화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유역에서의 5 WPs (Watching Points)를 선정하여 과거 및 현재 토지이용조건을 모의하고 유황분석을 통한 갈수 변화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천화 빈도분석을 위해 GEV (Generalized Extreme Value) 갈수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과거 토지이용 모의결과 산정된 평균 갈수량($m^3/s$) 이하로 낮아지는 유출량 일수를 계산하였다. 최종유역출구에서 과거 및 현재 토지이용도에서 모의된 평균갈수량은 각각 $3.27m^3/s$$3.11m^3/s$로 나타났다. GEV 갈수빈도분석결과 과거 토지이용조건에서의 평균갈수량은 $3.20m^3/s$(재현기간 2.33년)으로 나타났다. 도시증가에 따른 인구증가는 지하수 사용량에 증가를 가져온다. 이는, 건천화에 영향을 미치며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이용량 자료(1998-2011)를 이용하여 도시면적과 지하수이용량의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과거 22년 지하수 사용량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지하수사용량 증가는 토지이용변화와 복합적으로 상류유역에 하천의 변화를 가속시키는 것으로 나타냈다.

  • PDF

The estimation of Flood and Inundation risk index based on Rainfall Radar (강우레이더 기반 홍수 및 침수 위험 지수 산정)

  • Kang, Narae;Yoon, Jungsoo;Hwang, Seokhwan;Lee, Keon-Haeng;Won, W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1-28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재해와 홍수 발생에 대한 대응성을 높이고자 강우레이더 격자 기반으로 홍수 및 침수 위험도 정도를 산정하고자 한다. 홍수 위험 지수는 중소하천 상류 지역에 내린 비로 인해 하류 지점의 홍수 위험도가 얼마나 변화하는지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며, 침수 위험 지수는 내수침수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기간 강한 비에 의한 상대적인 침수 위험도의 증가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를 말한다. 강우레이더 기반 전국 단위 홍수 및 침수 위험 지수 개발을 통해 기존 하천홍수예보에 국한된 홍수예보의 제공 범위를 중소하천유역 및 도시지역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