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소기업연구

검색결과 4,202건 처리시간 0.044초

친환경공급망관리가 중소기업의 환경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SCEM's impact on environmental activities SMEs)

  • 김남규;황금주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1호
    • /
    • pp.83-120
    • /
    • 2008
  • 최근 경제와 산업 전반에서 중소기업의 환경성과와 환경활동은 지속가능 발전의 관점에서 특히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중소기업을 지속가능성 체계(stainability framework)에 포함시키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노력 중에서도 그 동안 대기업이 주도하던 친환경공급망관리(Supply Chain Environmental Management)는 중소기업의 환경활동을 촉진시키는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기전자산업에서 대기업 주도의 친환경공급망접근방법(SCEM approach)이 중소기업의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인자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분석 결과, 대기업 주도의 SCEM이 중소기업의 환경활동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친환경공급망접근방법 중에 시장거래(arm's length) 기법보다는 협력적(collaborative) 기법이 더 효과적으로 중소기업의 환경활동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친환경공급망접근방법 역시 중소기업의 환경활동촉진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도 도출하였다.

  • PDF

기계학습을 활용한 중소기업 맞춤형 지식서비스 진단 및 처방 기술 연구

  • 서주환;전승표;유형선;황지나;김상국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5-305
    • /
    • 2017
  • 많은 국가에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양한 직 간접적 지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한다. 이 연구는 R&D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간접 지원의 대표적인 사례 중에서 지식서비스, 특히 그중에서도 R&D 기획, 기술가치평가, 정보 지원 사업에 주목했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서비스의 일환으로 공공과 민간에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3가지 지원 사업을 대상으로 R&D 중소기업 중에서 수요 집단의 특징을 프로파일링 했다. 이런 프로파일링을 통해 기업의 해당 지식서비스 지원 적합성을 진단할 수 있는 계량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나아가 이를 통한 처방 방법을 논의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분석 방법으로 수요 집단을 프로파일링 했으며, 전통적인 통계 방법인 판별분석 방법을 활용해서 구체적인 지식서비스 적합성 진단 모형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식서비스 수요에 대한 중소기업의 특징을 프로파일링하기 위해서 설문정보를 활용했으며, 모형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새로운 설문을 활용하는 등 총 6,600 기업에 대한 대규모 설문을 활용했다는데도 차별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중소기업에 대한 지식서비스 또는 R&D 진단과 처방 서비스를 제시해 중소기업과 정부 R&D 투자 효율성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소기업 정보화 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최고경영자의 마인드 제고를 중심으로- (An Study on the Information Promotion Policie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Based upon CEO's Intention-)

  • 정석찬;김종원;문용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5-177
    • /
    • 2004
  • 최근 기업의 환경은 인터넷 및 네트워크의 보급에 의하여 개방화 및 기업간 연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산업 전체의 정보화가 필수적이다. 정보화 추진은 자본력과 인력을 보유한 대기업에서는 자율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99.7%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서는 적극적인 추진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정보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추진될 수 있지만, 이중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이 최고경영자의 의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 방안을 최고경영자 의지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 촉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하였으며,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와의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고 최고경영자의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촉진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중소기업연구」 40년 인적자원관리 연구 동향과 향후 방향성 (Research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 Comprehensive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박지성
    • 중소기업연구
    • /
    • 제42권3호
    • /
    • pp.27-42
    • /
    • 2020
  • 본 논문은 중소기업학회 창립 40년간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 중 인사관리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중소기업 내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필요한 연구 방향성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간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 중 인적자원관리 관련 논문들 33편(전체 게재논문의 3.1%)을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 구분 기준을 가지고 분류를 진행하였다. 먼저, 연도별로 게재빈도와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특정 연도에 인적자원관리 관련 논문들이 집중되었으며, 인적자원관리 관련 논문 게재가 전무한 기간들도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인사제도 주제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인적자원관리 제도 또는 정책과 세부 인적자원관리 관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연구의 대부분이 세부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관한 연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에 있어 문헌연구, 사례연구, 실증연구로 구분하였는데, 자료 수집을 통한 실증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동향 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후반부에서는 이슈들을 연구수, 주제, 방법론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고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보다 필요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goal priority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 이병욱;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1-78
    • /
    • 2018
  •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Export Promotion Programs on SMEs'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Promising SMEs in Export)

  • 고제경;박철형;한창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95-107
    • /
    • 2023
  • 본 연구는 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출유망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수출지원프로그램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BK기업은행에서 제공한 중소기업DB를 기반으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6,814개 기업의 42,312개 관측치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원프로그램의 선정효과는 수출비중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가분석을 통해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되어 수출지원을 받는 기업들 중 유관기관(IBK기업은행) 금융지원을 이용하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수출증가율과 재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 있어 수출지원제도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원제도의 유사성, 중복성이 그간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으로 한정하고, IBK기업은행의 수출지원프로그램의 효과를 특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설문조사 및 횡단면분석 중심의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수출유망중소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제도가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 분석: 음식료품 제조업을 중심으로 (Designation of SMEs-Suitable Industry and SMEs' Performance: Evidence from Food Product and Beverages Industry)

  • 곽기호
    • 중소기업연구
    • /
    • 제41권2호
    • /
    • pp.25-50
    • /
    • 2019
  •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막고, 중소기업의 사업 활동을 보호·육성하기 위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제도가 2011년 말부터 시행되었으나, 그간 본 제도가 중소기업의 재무성과 및 자생적 혁신 활동에 미친 효과에 대한 논의는 극히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수가 가장 많은 음식료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본 제도가 중소기업의 매출, 수익성, 그리고 R&D 집약도에 미친 영향을 세부업종별로 고찰하였다. 이중차분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 본 제도의 효과는 세부업종별로 매우 이질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제도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세부업종중에서는 매출의 경우, 부정적 효과가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익성 개선이 확인된 세부업종은 2개에 불과하였다. 더불어 혁신 활동이 확대된 업종은 1개에 불과해 본 제도가 중소기업의 자구노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한 설득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찬반 대립이 가장 첨예한 업종인 음식료품 제조업에 미친 영향을 방대한 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고찰함으로써 그간 제기되었던 다양한 우려와 사회·경제적 갈등을 해소하고, 세부업종별 분석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정부는 본 제도의 효과 및 발생 원인이 세부업종 간에 다름을 이해하고, 정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더불어 적합업종 지정 기간 동안 중소기업의 자체혁신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책과 모니터링 수단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으로써의 디자인 매니지먼트 (Design Management as a Working Resource for the Activation of Small business)

  • 이수봉;홍철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153-167
    • /
    • 2000
  •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이 디자인을 경영레벨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구성과 도입 프로세스의 연구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범위는 소비재를 생산하는 국내 중소제조업의 디자인 매니지먼트에 관한 제 문제로 국한시켰다. 그리고 연군방법은 중소기업의 경영특성 및 경영환경과 관련시켜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과 디자인 매니지먼트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과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실태를 파악한 후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현황 및 해결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중소기업에 바람직한 것으로 사려되는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시스템을 사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중소기업은 경영적 특성을 살리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디자인개발의 활용이 요구된다. (2) 중소기업의 제품차별화 전략이나 틈새시장 전략에 디자인은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3) 중소기업이 디자인을 경영레벨에서 활용할 경우, 기업 커뮤니케이션.기업조직.사업 및 마케팅 둥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4) 국내 중소기업 대다수는 디자인 조직.인력.환경 등 모든 디자인 활동이 취약하여,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도입 및 구축이 요구된다. (5) 국내 중소기업이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경영자의 디자인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강력한 관심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의 최종 결론으로서는 국내 중소기업이 디자인 조직 및 인력을 베이스로 한 디자인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나,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까지 연구하지는 못하였다.

  • PDF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기반의 기업 간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The Business Model for the Sharing Economy between SMEs based on Business Model Canvas)

  • 우채련;조민제;최형림;이강배;김두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1-54
    • /
    • 2016
  • 세계 경제의 불황으로 인해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은 인력, 자본, 기술 확보 등의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중소기업이 처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원을 공유하는 공유경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공유경제를 실제로 도입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하지 않아 기업 간 공유경제를 도입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간 공유경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공유경제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업 간 공유경제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와 기업 간 공유경제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간 공유경제에 도입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은 중소기업들이 각 기업의 상황에 맞게 공유경제를 도입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중소기업 수출환경의 문제점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Export Environ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 이준호;김태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25-230
    • /
    • 2018
  • 정부의 지속적인 수출 지원정책 추진에 따른 다양한 지원으로 중소기업 수출의 양적확대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대기업 중심의 수출성장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수출기업이 내수기업보다 고용창출과 성장성면에서 우수하다는 조사결과를 감안하면 내수기업을 수출기업으로 전환하게 되면 고용창출과 수출 증가뿐만 아니라 해당 중소기업의 발전도 가능하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수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지속적인 수출기업으로 유지하기 위한 지원 정책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수출 중소기업의 수출 환경과 현황분석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촉진과 지속적인 수출 기업 유지를 위한 전략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