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 Comprehensive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중소기업연구」 40년 인적자원관리 연구 동향과 향후 방향성

  • Park Ji-Sung (School of Busines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0.06.01
  • Accepted : 2020.07.03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mmarize the past studies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ublished in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to propose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selected 33 HRM papers (3.1 % of all published papers) and classified them depending three yardstick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the trend of each year and, as a result, it demonstrated the variations in published papers depending on the publication year. Nex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theme, this study divided 33 papers into two parts; a general HRM vs. a specific HRM practice. The result showed that most studies focused on the specific HRM practice. Lastly, with regard to methodology, this study classified them into a conceptual paper, a case-study,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 result showed that most studies are empirical-based papers. Based on the trends, this study proposed three issues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HRM in small-medium enterprises.

본 논문은 중소기업학회 창립 40년간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 중 인사관리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중소기업 내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필요한 연구 방향성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간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들 중 인적자원관리 관련 논문들 33편(전체 게재논문의 3.1%)을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 구분 기준을 가지고 분류를 진행하였다. 먼저, 연도별로 게재빈도와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특정 연도에 인적자원관리 관련 논문들이 집중되었으며, 인적자원관리 관련 논문 게재가 전무한 기간들도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인사제도 주제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인적자원관리 제도 또는 정책과 세부 인적자원관리 관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연구의 대부분이 세부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관한 연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에 있어 문헌연구, 사례연구, 실증연구로 구분하였는데, 자료 수집을 통한 실증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동향 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후반부에서는 이슈들을 연구수, 주제, 방법론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고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보다 필요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한균.채두병(2005),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남지역 중소기업 인력난의 원인과 대응책," 「중소기업연구」, 제27권, 제2호, pp. 89-108.
  2. 고성삼.이창수(2002), "중소제조기업의 균형성과표에 의한 경영성과측정," 「중소기업연구」, 제24권, 제4호, pp. 99-129.
  3. 김동배.노용진(2009), "무노조.소기업의 노무관리지원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4. 김선영.이병헌.차종석(2009), "출연연 기술협력과 고몰입 HRM 시스템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4호, pp. 93-111.
  5. 김영생(2011), "청년고용 및 인적자원 개발기업에 대한 기업평가모형의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4호, pp. 19-41.
  6. 김정덕(2002), "중소기업유형에 따른 인적자원시스템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4권, 제4호, pp. 225-253.
  7. 노세리.노용진.김하나.김미희(2019), "혁신형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8. 노세리.노용진.임운택.옥지호(2018), "중소 제조기업 일터혁신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 노용진(2012), "중소기업의 비공식적 인사관행 영향요인에 관하여," 「산업관계연구」, 제22권, 제4호, pp. 31-63.
  10. 노용진(2017), "소기업 내 혁신적 인사관행의 재무효과," 「산업노동연구」, 제23권, 제3호, pp. 253-279.
  11. 류옥현.이충석(2010), "중소기업 구인 해결을 위한 구직자 중심의 기업평가모형 개발," 「중소기업연구」, 제32권, 제1호, pp. 89-105.
  12. 문선정(2017), "중소기업 취업에 관한 대학생들의 신념, 태도 및 취업의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9권, 제3호, pp. 57-76.
  13. 박계홍.권혁수(2002),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 실적과 성과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4권, 제3호, pp. 159-197.
  14. 박광태.윤교섭(1996), "품질관리 분임조 활성화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중소기업연구」, 제18권, 제1호, pp. 69-87.
  15. 손병기(2000), "중소기업의 업적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2권, 제1호, pp. 195-227.
  16. 오인수.김민수.권나영.윤현주(2016), "직무자율성과 급진적/점진적 창의성간의 관계: 팀 몰입의 조절효과에 관한 다수준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4호, pp. 1-25.
  17. 유관희.허광복(2009), "한.미 육군장교의 근무평정시스템 비교: 중소기업 인사평정에의 적용 시사점과 함께,"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4호, pp. 157-183.
  18. 윤영삼.서재홍(2002), "부산지역의 정보통신벤처기업 인적자원관리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4권, 제2호, pp. 137-161.
  19. 이광희.이철기.위규태.이웅희(2002), "공정성요인과 임금만족차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4권, 제4호, pp. 307-331.
  20. 이덕로.이지만.김승호(2005), "고몰입 평가시스템이 평가유효성과 조직구성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7권, 제2호, pp. 31-64.
  21. 이윤재(2011), "중소기업과 고용에 관한 기존 연구와 새로운 연구방향에 관한 소고,"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4호, pp. 43-53.
  22. 이재관(1995), "중소기업의 작업관리환경과 종업원 만족도," 「중소기업연구」, 제17권, 제2호, pp. 83-99.
  23. 이정현(2013), "중소기업 고용노사관계 실태와 문제점," 「노동법학」, 제47권, 제1호, pp. 211-253.
  24. 이찬.박윤희.여수경.이재은(2012), "강소기업 R&D 인력 교육훈련의 핵심성공 요인," 「중소기업연구」, 제34권, 제3호, pp. 43-66.
  25. 이춘우.노민선(2013), "한국 중소기업 인력 정책의 전개과정과 정책적 개선방향 및 과제,"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3호, pp. 325-350.
  26. 이충석.류옥현(2011), "구직자 유형별 직장 선택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4호, pp. 5-18.
  27. 장욱희(2014), "아웃플레이스먼트는 효과적인가? 한국의 중소기업 퇴직자 사례," 「중소기업연구」, 제36권, 제3호, pp. 37-60.
  28. 전은지.송영선.이희수(2011),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프로그램 특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33권, 제4호, pp. 177-199.
  29. 조영호(1991), "중소기업의 인적자원 유지전략의 업종별 비교-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연구」, 제14권, 제1호, pp. 77-98.
  30. 조영호.이태진(1991), "중소기업의 인적자원 유지전략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13권, 제2호, pp. 23-45.
  31. 조윤성.홍아정(2016), "국내 중소기업 인적 자원개발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3호, pp. 97-118.
  32. 지성구.허남수.정종범(2005), "리더십, 직무특성 및 개인특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제27권, 제3호, pp. 51-75.
  33. 최강식.이수원.박지영(2013), "정년연장이 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4호, pp. 293-313.
  34. 최병우(2004), "중소기업에 있어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3가지 제안모델의 평가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26권, 제4호, pp. 1-19.
  35. 최유환.이희수(2013), "중소기업 영업직근로자들의 직무향상프로그램과 업무환경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의 학습전이의 매개효과,"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4호, pp. 165-191.
  36. 최종태(1979),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인력개발을 통한 기술 축적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1권, 제1호, pp. 57-91.
  37. 홍영복(1979), "종신고용제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1권, 제1호, pp. 236-255.
  38. 황의택.이춘우.류준열(2016), "중소기업 인력채용 방안으로서의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국내외 운영사례의 시사점과 정책적 과제"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1호, pp. 49-85.
  39. Barney, J. and P. M. Wright(1998), "On becoming a strategic partner: The role of human resources i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7, No.1, pp. 31-46. https://doi.org/10.1002/(SICI)1099-050X(199821)37:1<31::AID-HRM4>3.0.CO;2-W
  40. Ryu, H. D.(1987), "Incentives and leadership in business management,"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Vol.9, No.1, pp. 177-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