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성지방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36초

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료내 영양소

  • 여준모
    • 월간피드저널
    • /
    • 제2권9호통권13호
    • /
    • pp.100-103
    • /
    • 2004
  • 젖소의 우유내 지방은 95~98% 정도가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는 인지질,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성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들은 결합된 탄소의 수에 따라서 단쇄 지방산, 중쇄 지방산, 그리고 장쇄 지방산으로 구분된다. (중략)

  • PDF

한우 비육기간 중 중성지방 생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양상 (Expression Profiles of Triacylglycerol Biosynthesis Genes on Fattening Stages in Hanwoo)

  • 김남국;김성곤;허강녕;윤두학;이창수;임석기;박응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293-300
    • /
    • 2008
  • 비육 기간 중 근육 내 지방 축적 및 관련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등심 내 지방 및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고 중성지방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ACSS2, GPAT, MGAT 및 DGAT의 유전자 발현량을 real-time PCR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근육 내 중성지방 함량은 20개월령 이후 급속히 증가됨을 보였고, 중성지방 함량의 증가와 함께 ACSS2, GPAT 및 DGA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12개월령과 비교하여 ACSS2 유전자의 발현은 비육후기인 27개월령에서 7.3배, GPAT는 6.9배 증가되었다. 이러한 중성지방 함량의 증가와 중성지방 생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는 비육후기에 있어 고 에너지 사료 급여로 인한 지방산의 증가와, 증가된 지방산의 이용성 증대로 축적 형태인 중성지방 합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또한 중성지방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ACSS2, GPAT 및 DGAT 유전자의 발현증가는 근육 내 지방 축적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근내지방 축적과 관련되어 주요한 후보 유전자로 생각되어 진다.

메타분석에서 평균차를 이용한 마늘의 항-고지혈증 효과 (Hyperlipidemia effect of garlic using mean difference of meta analysis)

  • 윤아름;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413-421
    • /
    • 2011
  • 평균차를 이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마늘을 투여한 고지혈증 유발 쥐들의 체중과 각 기관의 무게, 혈액 내 혈당량,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의 평균비교를 통해 마늘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고정효과 모형에서는 체중과 간, 신장, 심장의 무게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혈액 내 혈당량과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동질성 검정을 통해 연구 간의 이질성을 보인 모든 변수에 대해 랜덤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간의 무게와 혈액 내 혈당량,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마늘의 투여기간이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장의 무게와 고환의 무게,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농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간의 콜레스테롤, 간의 중성지방에 대해 마늘의 투여기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Caspase-8의 양성 피드백 방식을 통한 중성지방-유도 THP-1 대식세포 사멸 증가 (Caspase-8 Potentiates Triglyceride (TG)-Induced Cell Death of THP-1 Macrophages via a Positive Feedback Loop)

  • 정병출;임재원;김성훈;김윤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8-164
    • /
    • 2021
  • 고중성지방혈증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주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중성지방은 대식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죽상동맥경화증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대식세포의 중성지방-유도 세포 사멸이 pannexin-1 활성화에 의한 세포 외 ATP 농도 증가, caspase-2와 caspase-1 활성화, caspase-8을 포함한 apoptotic caspase 활성화 경로로 일어나는 것을 보고하였다. 한편 다른 연구들에서는 세포 내 다른 여러 기전에서 caspase-8이 caspase-1과 -2의 상위 단백질이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상위단백지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진은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caspase-3 활성화 및 PARP 절단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중성지방이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caspase-8 억제 시, caspase-8의 상위 단백질로 보고한 caspase-1 및 -2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TP 처리 시 caspase-8 억제제 처리에 의해 감소된 caspase-2의 활성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caspase-8이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세포 외부 ATP 농도 증가에 관여하는 단백질 또는 그 상위 기전에 양성피드백 방식으로 영향을 미쳐 caspase-1과 -2를 활성화하여 중성지방-유도 대식세포 사멸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Cathepsin B의 영향 (Cathepsin B Is Implicated in Triglyceride (TG)-Induced Cell Death of Macrophage)

  • 정병출;임재원;김성훈;김윤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5-252
    • /
    • 2020
  • 대식세포사멸은 죽상판 형성에 영향을 미쳐 죽상동맥경화증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성지방 역시 죽상동맥경화 발병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최근 본 연구팀에서는 중성지방이 대식세포사멸을 유발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thepsin B가 중성지방에 의해 유발되는 대식세포사멸 과정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THP-1 대식세포에 중성지방 처리 시 cathepsin B의 발현량에는 변화가 없고 리소좀에 있던 cathepsin B가 세포질로 방출되어 세포질의 cathepsin B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cathepsin B 억제제인 CA-074 Me를 처리 시 중성지방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세포사멸이 일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서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사멸이 caspase-1, -2 및 apoptotic caspase 활성화를 매개로 일어남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caspase 활성 경로와 cathepsin B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cathepsin B 억제시 caspase-7, -8 및 -1의 활성은 억제되었으나, caspase-3, -9 및 -2는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 중성지방에 의해 세포질로 방출된 cathepsin B는 caspase-1 활성화에 기여하고, 활성화된 caspase-1은 외인성 apoptotic caspase 경로를 활성화하여 THP-1 대식세포 사멸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중성지방혈증에서 fenofibrate에 대한 acipimox의 효과 비교 (Efficacy of Acipimox in Comparison with Fenofibrate for Hypertriglyceridemia)

  • 김승미;지은희;김현아;한나영;심미경;신완균;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5-201
    • /
    • 2012
  • 목적: 이상지방혈증 환자의 치료는 우선적으로 저밀도지단백을 감소시키고, 저밀도지단백이 목표수치에 도달한 이후에도 혈중 중성지방이 높을 경우 nicotinic acid 또는 fibrate를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지방혈증이 있는 환자에서 acipimox의 효과를 fenofibrate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한 3차 대학병원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시행되었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200 mg/dL 이상으로써 acipimox 또는 fenofibrate를 신규처방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약물이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을 36주간 추적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Acipimox를 투여 받은 환자 41명, fenofibrate를 투여 받은 환자 62명이 모집되었으며, 각각의 약물을 복용한 환자군의 기본적인 인구학적인 특성은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 3개월 간의 약물투여 후 두 약물군 환자 모두에서 총콜레스테롤(p < 0.05) 및 저밀도지단백(p < 0.001)이 약물투여 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고밀도지단백은 모든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한편 중성지방 감소율은 acipimox군이 fenofibrate군에서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p < 0.05). 약물유해반응의 빈도는 두 약물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키거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acipimox와 fenofibrate가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으며,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acipimox가 fenofibrate보다 우월하였다.

쌀의 tocol 획분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 한송이;하태열;김성란;김인환;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5.2-2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현미로부터 tocoles 획분을 분리하여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SD계 숫컷 5주령을 구입하여 정상군, 대조군 (1% cholesterol), rice oil 첨가군, tocoles 첨가군의 4군으로 나누어 AIN-76 diet 조성에 의거하여 식이를 조제하여 4주 동안 섭취시켰다. 실험기간이 끝난 후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고 각 조직을 적출하여 간, 신장, 비장 및 부고환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lipid profile과 TBARS 함량 및 ALT, AST 및 ALP 활성을 분석하였고 간장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TBARS 함량과 G6PDH 및 malic enzyme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가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tocoles 첨가군은 정상군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내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조직 내 지질함량은 대조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tocoles 군에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및 총 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혈청과 간장 조직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운동요법: 당뇨인의 맞춤식 등산법 경사 따라 쑥쑥 내려가는 혈당

  • 김선주
    • 월간당뇨
    • /
    • 통권257호
    • /
    • pp.38-39
    • /
    • 2011
  • 호주 연구진이 산맥을 따라 걷기 운동을 연구한 결과, 아래 경사를 따라 결으면 혈당 수치가 감소하고, 위 경사를 따라 결으면 콜레스테롤의 주요 성분인 중성 지방의 수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아래 경사를 따라 운동을 하면 당뇨의 발현 가능성도 감소할 수 있다고 한다. 당뇨병환자에게는 혈당관리가 당뇨병관리의 기본이다. 또한, 고혈압에 걸릴 확률이 일반인의 2~3배 더 높으며 심장질환이나 혈관계통질환은 당뇨병환자 증세를 나쁘게 만들므로 중성지방의 수치도 중요하다. 올봄 위, 이래 경사를 걷는 등산으로 혈당과 중성 지방 수치,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당뇨인의 등산법을 알아보자.

  • PDF

비만 여대생들의 12주간 복합운동 순서 차이가 복부지방구성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rder for 12 Weeks of Obese College Females on the Composition of Abdominal Fat and Blood Lipid Profiles)

  • 신혜선;서수연;이종민;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5-243
    • /
    • 2014
  • 비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유산소(걷기운동) 운동, 무산소(저항운동) 운동의 순서를 다르게 적용하여 복부지방 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하였다.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유산소운동 후 저항운동 집단 12명으로 분류하여 측정변인으로 복부지방검사는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 비, 혈중지질 분석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방단백질, 저밀도지방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첫째, 복부 피하지방에서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복부 피하지방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 지질은 중성지방 요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 결과,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 집단이 중성지방 감소에 효과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비만 감소와 예방을 목적으로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 운동이 복부 피하지방 및 중성지방에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식이 지방의 P/S비율이 흰쥐의 혈장 및 조직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S Ratio on Lipid Content of Plasma and Tissues in Rats)

  • 김명희;임현숙;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2-89
    • /
    • 1986
  • 식이 지방의 P/S비율을 0.05, 0.5, 1.0, 2.0, 3.0, 4.0으로 조절한 실험식이로 Wistar계 흰쥐를 사육하면서 급식 2주 및 4주에 혈장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간, 소장 및 동맥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여 식이지방의 P/S비율이 체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효율은 2주 급식시에는 여섯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4주 급식시에는 P/S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P/S비율이 높아감에 따라 2주 급식시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주 급식시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3. 혈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4주 급식시 P/S비율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4. 간 및 소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4주 급식시 P/S비율이 높아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P/S 비율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5. 간 및 소장의 중성지방 함량은 P/S비율이 높아감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동맥의 중성지방 함량은 P/S비율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