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복성

Search Result 1,988, Processing Time 0.088 seconds

Efficient Replication Protocols for Mobile Agent Systems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중복 프로토콜)

  • Ahn, Jin-Ho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3 no.12
    • /
    • pp.907-917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ategy to improve fault-tolerance and scalability of replicated services in mobile agent systems by applying an appropriate passive replication protocol for each replicated ser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service is deterministic or non-deterministic. For this purpose, two passive replication protocols, PRPNS and PRPDS, are designed for non-deterministic and deterministic services respectively. They both allow visiting mobile agents to be forwarded to and execute their tasks on any node performing a service agent, not necessarily the primary agent. Especially, in the protocol PRPDS, after a backup service agent has received each mobile agent request and obtained its delivery sequence number from the primary service agent, the backup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the request and coordinating with the other replica service agents. Therefore, our strategy using the two proposed protocols can promise high scalability of replicated services a large number of mobile agents attempt to access in mobile agent systems.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trategy performs much better than the one using only the traditional passive replication protocol.

Evaluation of the Redundancy in Decoy Database Generation for Tandem Mass Analysis (탠덤 질량 분석을 위한 디코이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의 중복성 관점에서의 성능 평가)

  • Li, Honglan;Liu, Duanhui;Lee, Kiwook;Hwang, Kyu-Baek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1
    • /
    • pp.56-60
    • /
    • 2016
  • Peptide identification in tandem mass spectrometry is usually done by searching the spectra against target databases consisting of reference protein sequences. To control false discovery rates for high-confidence peptide identification, spectra are also searched against decoy databases constructed by permuting reference protein sequences. In this case, a peptide of the same sequence could be included in both the target and the decoy databases or multiple entries of a same peptide could exist in the decoy database. These phenomena make the protein identification problem complicated. Thus,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number of such redundant peptides for accurate protein identification. In this regard, we examined two popular methods for decoy database generation: 'pseudo-shuffling' and 'pseudo-reversing'. We experimented with target databases of varying size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maximum number of missed cleavage sites allowed in a peptide (MC), which is one of the parameters for target and decoy database generation. In our experiments, the level of redundancy in decoy databases was proportional to the target database size and the value of MC,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hort peptides (7 to 10 AA). Moreover, 'pseudo-reversing' always generated decoy databases with lower levels of redundancy compared to 'pseudo-shuffling'.

Analyzing Coverage and Coverage Overlap of Korean Web Directories (국내 웹 디렉토리들의 커버리지 및 커버리지 중복성 분석)

  • 배희진;이진숙;이준호;박소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1
    • /
    • pp.173-186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coverage and coverage overlap of the three major Korean web directories, Naver, Yahoo Korea, and Empas. This study also suggests a methodology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web sites provided by these web directories. A method for napping main categories was developed. Each directory provided registered web pages in a slightly different way. Reference link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verage of each web directory. The overlap of pages among three directories was quite low,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field of web research by providing insights to how directories provide web pages and suggesting a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directory coverage.

A Study on the Redundancy Reduction in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에서 중복성의 저감에 대한 연구)

  • Lee, Chang-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3
    • /
    • pp.475-483
    • /
    • 2012
  •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speech signal do not vary significantly from frame to frame.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reduce the redundancy involved in the similar feature vector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optimal condition of minimum redundancy and maximum relevancy of the speech feature vectors in speech recognition. For this purpose, we realize redundancy reduction by way of a vigilance parameter and investigate the resultant effect on the speaker-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of isolated words by using FVQ/HMM.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eature vectors might be reduced by 30% without deteriorating the speech recognition accuracy.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and Sequ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r and Textbooks in Middle School about 'Digestion' and 'Energy' (중학교 과학 및 기술·가정 교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소화와 에너지 단원의 내용 중복 및 연계성 분석)

  • Sim, Wangseop;Lee, Hyundong;Park, Kyungsuk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1-1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t implications for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by analysing the duplicated contents and sequ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s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duplication analysis, overlap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m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science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ar. Next, analysis of duplicated concepts is performed by comparing science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through the concept map. The result of analyse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4 standards related with 'digestion', 'energy' were duplicated. The other results of studying duplicated contents in textbooks suggested overlapped concepts(terms) were existed as following: digestion(22 contents), Energy(9 contents). In science textbook, the duplicated concept is usually described in detail. In contrast,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 explain the duplicated concept briefly with providing various type of examples and cases. There are differences of using terminology between two subject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educational insights into teaching of the duplicated contents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home economics.

Primary Copy based Data Replication Scheme for Ensuring Data Consistency in Mobile Ad-hoc Networks (이동적응망에서 데이터 일관성 보장을 위한 주사본 기반 데이터 중복 기법)

  • Moon, 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34-336
    • /
    • 2005
  • 이동적응망(MANET: Mobile Ad-hoc Network)은 네트워크 하부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은 무선 단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특성은 네트워크 단절 가능성을 높게 하기 때문에 이동단말들의 데이터 액세스률이 낮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노드들은 데이터의 중복사본을 갖는다. 이동 노드가 갖는 중복사본은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중복관리 기법이 필요하다. 하지만 MANET을 구성하는 이동 노드들은 일반적으로 제한된 전력을 가지고 있고 단절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복 사본의 일관성 보장은 어려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기존에 제안된 MANET에서의 데이터 중복관리 기법은 데이터 액세스 빈도수를 계산하여 액세스률을 높이는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있고 갱신 데이터의 일관성 보장은 그 어려움 때문에 주로 판독 연산만 고려하였다. 갱신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경우 대부분 높은 통신비용을 이유로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 노드가 다수의 서버를 통해서 갱신 연산을 실행하기 때문에 통신 오버헤드로 인하여 전력소모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주사본 노드를 통하여 갱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데이터 중복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이동 노드들의 에너지 특성을 고려하여 더 않은 에너지를 가진 노드에게 갱신 전파 및 일관성 유지를 의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를 갖는 이동 노드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였다.

  • PDF

A Safe and Efficient Secure Data Deduplication for Cloud Storage Environment (클라우드 스토리지 환경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

  • Kim, Won-Bi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714-717
    • /
    • 2015
  • 기존의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은 데이터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중복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의 중복제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블록 단위의 중복제거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블록 단위 중복제거 기술의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보안 위협이 발생하는데, 이 중 포이즌 어택은 무결성 및 데이터 저장 시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위협 중 하나이다. 이러한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여러 기술들이 연구되어 제안되었지만 과도하게 많은 통신 횟수와 연산이 발생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며, 연산량과 통신량에서 보다 효율적인 암호데이터 중복제거 기술을 제안한다.

Redundancy assessment of PIMS and PIPL by parsing (구문분석을 통한 PIMS와 PIPL의 중복성 평가)

  • Kim, So-Ra;Kim,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6 no.3
    • /
    • pp.745-756
    • /
    • 2016
  • As infringement accidents of personal information have often occurred and estimates of damages are too large, the government introduces many certifications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m, PIMS and PIPL share many points in common, so many complaints about duplicate regulation have been suggested. This study evaluates the duplication of two certifications in order to examine redundancy between PIMS and PIPL both of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

The Replication Control using the Replica Tree in the Partially Replicated Databases (부분 중복 데이터베이스에서 사본 트리를 이용한 중복 제어)

  • Bae, Mi-Sook;Hwang, B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453-1456
    • /
    • 2003
  • 데이터의 중복은 데이터의 가용성과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대규모 부분 중복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중복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수행을 보장하기 위한 정확성 검증방법과 효율적인 갱신 전파 방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부분 중복 환경에서 각 주사본 사이트의 중복 데이터에 대한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한 갱신 전파 방법을 제시하며, 갱신 지연 전파로 인해 갱신 전파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전파 트랜잭션과 주 트랜잭션의 충돌로 인한 비직렬성 문제를 타임스탬프와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이것은 판독 가용성을 증가시키면서 비직렬성으로 인한 재수행을 회피하게 되어 트랜잭션의 완료율을 증가시킨다.

  • PDF

An Efficient Data Aggregation using Mobile Agent in Distributed Sensor Network (분산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에이전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 Choi, Shin-Il;Moon, S.J.;Eom, Y.H.;Kook, Y.K.;Jung, G.D.;Choi, Y.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138-142
    • /
    • 2006
  • 분산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정보 융합 방법론상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융합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은 센서 노드가 싱크 노드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싱크 노드로 수집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활용된다. 이때 여러 센서 노드가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복적으로 수집할 경우 중복된 데이터를 싱크노드로 전송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이는 결국 전체적인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요구하는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수집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각 센서 노드가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도록 데이터 중복성에 대한 처리과정을 수반해야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센서 노드는 자원이 한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따른 중복성 처리 프로세스를 모두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 따라서 모바일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중복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고려되는 에너지 효율, 네트워크 대역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확장성이 용이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