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동전쟁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Israel's Strategic Culture in the Middle East War Korea's Security Strategy Implications (중동전쟁의 이스라엘 전략문화 고찰과 한국의 안보전략적 함의)

  • Lee Jeong Han;Bae Il So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121-126
    • /
    • 2024
  • Israel craves peace and freedom. Israel has won many wars and conflicts militarily. They have developed strategic thinking based on the data, unique culture, and peacetime preparation system accumulated so far, and the strategic culture based on it contributes to fostering elite strong forces by presenting directions to security strategies.The strategic culture formed by Israeli beliefs, behavioral patterns, and identity influenced strategic thinking and the usefulness of security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concept of strategic culture by referring to the methodological discussion of strategic culture theory and to examine how useful strategic culture has provided strategic thinking and security strategies. In addition, based on the impact of Israel's strategic culture on security strategy, I would like to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s security strategy.

Review / 고대 중동을 배경으로한 풀. 3D온라인게임 '리펜트'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7 s.122
    • /
    • pp.66-67
    • /
    • 2003
  • '리펜트' 온라인은 위즈게이트에서 개발하고 엠게임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3D 온라인게임으로 고대 중동의 아라베크 대륙을 배경으로 당시 큰 세력을 형성했던 밧셀과 쿰란 두 종교간의 싸움과 영토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기획 당시 중동과 이스라엘간의 분쟁을 모티브로 기획되었다고 하나 개발과정에서 사회적 분쟁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해 고대종교전쟁으로 수정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PDF

The antiwar consciousness in Korean poems based on the Iraq War (이라크 전쟁을 소재로 한 한국 시의 반전의식 양상)

  • Mun, Hye-won
    • Cross-Cultural Studies
    • /
    • v.51
    • /
    • pp.1-24
    • /
    • 2018
  • The real purpose of the Iraq War was to ensure that the United States took control of Iraq's oil and retained its hegemony in the Middle East. Afterward, anti-American and anti-war movements spread around the world. The Iraq war is an important event. Korean poetry goes beyond the specificity of 'Korean War and division' and puts 'anti-war' and 'peace' at the universal level on the subject. It means joining the global and contemporary issues of 'anti-war' and 'peace'. Korean poetry based on the Iraq War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oetry that accuses and testifies to the devastation, poetry that identifies the cause of the war, and poetry that presents alternatives and solutions. The poetry is linked to the idea of respect for life, and appears in the form of peace and nonviolence.

A Study on the Environment,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War Reporting by Korean Press (한국 언론의 전쟁취재 여건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Lee, Chang-Ho;Lee, Young-Mi;Jung, Jong-Suk;Kim, Yong-Kil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40
    • /
    • pp.80-113
    • /
    • 2007
  •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brief history of war reporting by Korea press and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of war coverage suggested by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and covered the war. Although Korea press had 50 year war reporting history, it lacks knowhow about war reporting and systematic support for war coverage. Its main reason is that Korea press tend to dispatch war correspondents habitually without training them sufficiently. In addition, war journalists cover the war based on their environment and personal experiences. Dispatching journalists who have few experiences in war reporting to conflict region is another problem of war reporting by Korean press. To overcome these problems, Korea press need to manage journalists' pool who are well informed of or accustomed to Islam culture and region. Cultivating experts who are familiar with international issues or troubles are also necessary for vivid war reporting.

  • PDF

실전시험 앞둔 미국의 신무기

  • Seo, Byeong Hong
    • Aerospace Industry
    • /
    • v.63
    • /
    • pp.44-47
    • /
    • 1998
  • 지난 봄.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대통령이 UN의 대량파괴무기 유무확인을 위한 대통령궁 사찰을 거부한 사건을 계기로 일촉즉발의 위기 직전까지 갔으나 아난 UN사무총장의 바그다드 방문으로 사찰의 합의를 보게되어 다행히 제2의 걸프만 전쟁은 회피되었다. 이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중동방면에 집결했던 미국 해.공군의 신무기가운데 어떤 것이 있었는지 그 대강을 외지의 전하는 바를 통해 살펴 보기로 한다.

  • PDF

Is Arab-Israeli Conflict Terminable?: Analysing Robert Hazo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종식 가능성 연구: 로버트 하조의 논의 분석)

  • Chun, Kwang H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2
    • /
    • pp.25-47
    • /
    • 2011
  • The paper will investigate the chances of progress in the peace process in Middle East. Robert Hazo's 1993 article mainly argued the Palestinians and Syrian problems. He saw that these two problems are one of the key issue that current Middle East problem which involves Israel. The key tenants of his argument will be dissected to assess whether this view holds true in the light of developments in the Middle East in the intervening years. The Arab-Israeli struggle remains one of the most intractable in history. In 1993 Robert Hazo concluded that 'the conflict is a terminal struggle'. This paper investigates his analysis in light of progress or lack of in the intervening period and against the contemporary strategic environment. It uses information presented in academic, government, newspaper and world wide web articles to conclude that Hazo's assessment remains valid. While the various talks since 1993 combined with the potential benefits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Syria could gain from a settlement proffer hope, the issue of 'right of return, borders and Jerusalem are unlikely to be bridged in the near future.

The Role of Intelligence Activity in the Building of Israel and its Identity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국가형성과정에서 정보의 역할 연구)

  • Seok, Jae-Wa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42
    • /
    • pp.251-27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Israeli intelligence activity which had contributed to the building of Israel and of its national identity. In the late 19th, the Jews scattered around the world had shared the image of victims shaped in the history of the persecution. In this process, intelligence activity was a staple factor which established the state of Israel; political and religious community. Fighting against Arabs, Israel's intelligence agents had played key role in migrating Jews to Palestine and building their own state. In other words, Intelligence activity was the instrument of implementing political Zionism, Jewish nationalism. Even after independence in 1948, despite the opposition of Arab, Israeli intelligence agencies had persuaded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o recognize Israel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rab countries, nevertheless, had regarded Israel as 'a state to be disappeared', and its national identity was totally denied. However, Israel officially gained recognition for statehood through Arab-Israeli war and summit talks with Egypt. Israel finally restored the 'Promised Land' that is recorded in the Bible and established its identity of a winner. In conclusion, Israeli intelligence agency played a decisive role in founding the nation and even forming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 PDF

Understanding Contemporary Interstate Rivalries: Consensus Rivalries and Rivalry Termination (숙적관계 국가들에 대한 연구 - 숙적관계 종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중심으로 -)

  • Oh, Soon-Kun
    • Strategy21
    • /
    • s.32
    • /
    • pp.222-270
    • /
    • 2013
  • 서구 근대 국제관계학의 태동은 "전쟁의 원인"을 밝혀내려고 했던 유럽 지식인들의 학문적 도전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2차 세계대전의 잔혹함을 겪으면서 이들은 전쟁(특히 전쟁의 원인)에 대한 좀 더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어떻게 하면 국가들 간의 전쟁을 예방할 수 있을까에 집중해 왔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을 반영한 것이 잘 알려진 미국 미시간 대학의 "전쟁 상관성 연구 프로젝트(Correlates of War Project)"이다. 이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비엔나체제가 시작된 1815년 이후 국가들 간 발생한 모든 전쟁 관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국제관계학자들이 전쟁(Interstate War)이나 군사분쟁(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을 정량 또는 정성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Paul F. Diehl, William R. Thompson과 같은 학자들은 전쟁을 분석단위로 하는 전쟁의 원인(Causes of War)을 연구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국가들 간의 분쟁과 전쟁을 연구하기 위해 숙적관계(Rivalry)라는 새로운 분석의 단위를 제시하였다. 숙적관계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분쟁 또는 전쟁을 일으키는, 즉 무력분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두 국가를 일컫는다. 국가들 간의 숙적관계는 학자들에 따라 Interstate Rivalry, Enduring Rivalry, Strategic Rivalry 등 다양한 정의와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국가들의 사례로는 2차대전 이전까지 프랑스-독일 관계, 2차대전 이후 중동지역 이스라엘과 아랍국가들 간의 관계, 냉전기 미소관계, 인도-파키스탄 및 남북한 관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널리 알려진 숙적관계 외에도 남미의 칠레-아르헨티나, 에콰도르-페루와 아프리카의 소말리아-에티오피아 등 학자들에 따라 1815년 이후 약 200개의 숙적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숙적관계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전쟁의 원인 중심이었던 정량적 국제분쟁 연구에 두 국가의 분쟁역사를 포함시키는 정성적 연구를 접합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1945년 이후 숙적관계 국가들의 관계종식과 관련하여, 거시론적이고 전체론적 접근방법(Macro - level Holistic Approach)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1945년 이후 발생한 국가들 간의 숙적관계 종식(Rivalry Termination)을 이해하기 위해, 거시적 관점에서 숙적관계를 발생시키게 된 역사적 원인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1945년 이후 숙적관계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들 중에서 전쟁, 영토분쟁, 그리고 근대국가 형성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명제(proposition)를 제시한다. 첫째, 1945년 이후의 숙적관계 형성과 지속에는 2차대전 이후 독립국가 형성, 헌팅턴이 주장한 제3의 물결(민주화), 그리고 냉전기 미소경쟁 등의 역사적 배경이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더하여 1945년 이후 숙적관계는 전쟁에 의해 시작된 숙적관계와 전쟁 없이 시작된 숙적관계 등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전쟁에 의해 시작되고 영토분쟁과 근대국가 형성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숙적관계가 그렇지 않은 숙적관계에 비해 오랫동안 지속되며 관계해결이 어렵다는 것이다. 앞서 제시된 2가지 명제들과 관련하여 본문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한 숙적관계 정의들에 일치하는 23개의 숙적관계(Consensus Rivalries)를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비교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들 사례들을 1945년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숙적관계 형성과 종식에 있어 핵심요소인 국가들 간 힘의 차이(Power Relations), 분쟁의 주요 원인(Primary Conflict Issue), 숙적관계에 있어 다른 국가들과의 연계성(Rivalry Linkage), 전쟁의 횟수와 시기 등을 통해 비교하였다. 숙적관계의 종식과 관련하여 약소국 간의 숙적관계(Minor Dyad)가 오래 지속되고, 영토분쟁(Territorial Disputes)이 숙적관계를 지속시키는 주요인이며, 다른 숙적관계와의 연계성이 적은 숙적들이 오래 지속된다는 비교분석 결과가 나왔다. 또한 전쟁의 횟수는 숙적관계 종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전쟁으로 인해 시작된 숙적관계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욱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2차대전 이전의 숙적관계는 대부분 전쟁을 통해 종식되었지만, 1945년 이후에는 전쟁 없이도 숙적관계가 종식된 경우가 많았음을 보여 주고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1945년 이후 형성된 숙적관계를 어떻게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인가?"라는 규범적 논제를 통해, 23개의 주요 숙적관계를 발굴하여 거시적, 역사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함에 있다. 이는 특히 우리나라가 처한 현실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남북관계가 갖는 특수성보다는 1945년 이후 국제정치 역사속에서 발생한 숙적관계 현상이라는 일반성의 틀에서 남북관계를 이해하고자 했다. 남북관계를 베트남, 예멘, 독일 등 분단국가의 사례들과만 비교 연구하는 제한된 시각에서 벗어나, 인도-파키스탄, 그리스-터키, 에콰도르-페루 등 유사한 숙적들 간의 관계들과 비교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앞으로 숙적관계 종식에 대한 더욱 다양화된 사례연구를 통해 한반도 분쟁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2차대전 이후 발생한 국경을 접하고 있는 비강대국들의 평화적인 숙적관계 종식에 대한 사례연구는 남북한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특정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보다는 숙적관계와 관련된 하나의 거시적 이론를 제시하고, 주요 숙적관계 국가들에 대한 비교설명을 통해 현존하는 숙적관계 해결을 위한 하나의 분석의 틀을 제시하는 것으로 국제분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