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대 산업재해감소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Need to Conduct Risk Assessment Using Job Safety Analysis (JSA) at Workplaces Such as Manufacturing Industries (제조업 등의 사업장에서의 작업안전분석(JSA)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실시 필요성)

  • Park, Ki-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5-126
    • /
    • 2023
  •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특히 중대재햬(사망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후에도 줄어들고 있지 않아 2023년부터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중심으로 사업장 스스로 위험요인을 발굴·개선하여 산업재해를 감소하도록 산업재해 예방정책을 실시하고 있다(관계부처합동 산업재해 감축로드맵(2022.12.08.). 23년도 상반기 중대재해는 22년도(301명) 대비하여 17명 감소하여(284명)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재해의 88%는 인적요인으로 발생하고 있어 작업자의 실수를 줄이는 것이 중대재해를 줄일 수 있어 JSA를 활용한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산업재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ISO 22301) on the Reduction of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in the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Industry (자동차부품제조업에서 비즈니스연속성경영시스템(ISO 22301)이 중대산업재해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 Choi, Jong-Youb;Chong, Cheung-Soo;Choi, Suk-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75-2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연속성 경영시스템(ISO 22301)이 현재 선진국에 진입해 있는 대한민국 사회에 당면과제이며 이슈가 되고 있는 중대산업재해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자동차 제조업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ISO 22301은 2012년 처음으로 HLS (High Level Structure)작성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조직의 비즈니스에 대하여 비즈니스 연속성을 수립하여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중단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중대재해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재해 중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하거나,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거나,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직업성 질병자가 1년에 3명 이상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법제처, 2021).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HMS Under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Serious Disasters on the Safety Performance of Companies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기업의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 Seo, Jeong-S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5-2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7가지 핵심요소가 기업의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최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게 7가지 핵심요인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안전성과 측정도구를 적용하여 그 관계성과 재해발생빈도 감소의 영향도 확인 한다. 연구결과는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안전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가질 것으로 보이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재해발생빈도 감소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된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측정 도구는 향후 여러 산업분야의 안전관리 및 성과 측정에 많이 활용 되리자 본다. 그리고 향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안전성과-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관계연구의 기초 연구가 될 것 이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 Focused on H Construction Company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Choi, Kw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5-156
    • /
    • 2023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건설사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H 건설사에서 이행 중인 중대 재해처벌 법 대응 방안에 대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안전보건진단을 통해 실무중심의 재해 예방활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대재해처벌법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연계로 재해율 감소 효과 및 안전보건경영 체계의 고도화 등이 분석되었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전·후의 안전 활동 종합결과 분석을 통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사업주의 의식 개선, 재해예방을 위한 투자 확대, 재해예방활동의 정량화 등을 통한 실질적인 성과측정의 효과가 발현되었다.

  • PDF

Analysis of Fatal Accidents in Different Project Types (프로젝트 유형별 중대재해 발생현황 비교분석)

  • Choi, Seung-Mo;Lee, Dong-Eun;Son, Ch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714-717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that may be useful for establishing safety policies involved with safety plan, program, and control relative to fatal accidents in construction job site. The fatal accident investigation database maintained by Korean Production Household Mascot Safety Industrial Complex is accessed. The 5 years fatal accidents occurred in 2002 to 2006 were analyzed. The statistic relative to the fatal accidents in different project types is obtained using different classifications such as occupation, years of experience, accident type, and time in a day.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policy so as to enhance worker safety.

  • PDF

Disaster Reduction Plan through Forklift Accident Case Analysis (지게차 재해사례 분석을 통한 재해감소방안)

  • Young Min Par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1
    • /
    • pp.173-183
    • /
    • 2023
  • Purpose: In order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forklift trucks, it is actually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s of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by analyzing accident cases by forklift accident type. Method: For th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cluding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forklifts from 2021 to 2022, accident statistics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re used to analyze accidents in four types. Result: In the last two years, the total number of victims, including deaths and other serious injuries, was 2,559, which was 1,396 in 2021 and 1,163 in 2022.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were presented for industrial accidents by size and occurrence type of equipment that caus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in which more than 1,000 people are injured annuall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number of workers subject to the forklift financial support project to less than 100.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proviso on boarding restrictions in Article 86, Paragraph 7 of the 「Regulations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It is mandatory to install front and rear cameras. It is necessary to install driving-linked safety belts. It is necessary to install line beams obligator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of forklift spec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o workplaces that have more than one forklift truck, and it is necessary to redesignate the training hours to 16 hours every year.

The Safety of Old-aged and Middle-aged Workers for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Disasters (건설재해감소를 위한 중고령근로자 안전에 관한 연구)

  • Shin, Sueng-woo;Yang, Sung-chin;Yun, Young-hwan;Shin,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34-235
    • /
    • 2023
  • 대한민국은 노인인구 증가와 출생율 감소로 인해 생산인구가 고령화되고 있으며 청장년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심리적으로 산업재해에 취약한 중고령 근로자의 안전은 재해율을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건강검진을 표본으로 하여 신체기능의 특징과 심신기능 변화에 따른 중대재해 원인을 파악하고 재해예방 3E 이론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여 건설현장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예방 방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추락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난간,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수직비계 등의 개발을 통해 위험 작업을 간소화하여 재해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을 도출하고 관리적 측면에서 재해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한 재해정보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적인 방법으로는 중고령 근로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특별교육과 감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한다면 건설재해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IT-Based Local Government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IT 기반 지자체 안전보건 관리 정보 통합 시스템 구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Seo-Yeon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4
    • /
    • pp.701-708
    • /
    • 2023
  •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take measures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under Articles 4(2) and 4(3)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IT-based integrated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serious accident reduction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Recently, as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labor and health ordinances and basic plans, the need for an independent integrate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on and support system with basic local governments and hub institutions, share integrated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nd play a pivotal role in reg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by managing occupational accident statistics and implementing basic policies. The system through local government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will reduce serious accidents in the region, and the comprehensiv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small businesses and projects ordered by local governments will strengthen the operability of the site, which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critical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A Study on Effect Analysi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Construction Safety Patrol Inspection (건설안전기동점검의 효과분석 및 효율적 방안 연구)

  • 안병수;양광모;류도희;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0.11a
    • /
    • pp.195-198
    • /
    • 2000
  • IMF이후 건설 물량 감소에 대비하여 재해율은 증가 추세에 있고, 오히려 재해 강도율은 높아져 중대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건설업체에서는 안전관리에 대한 비용을 더욱 아끼려고 하고 있고, 비용 절감을 위해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비용이나 안전활동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공단 및 재해예방 인력을 활용하여 안전 순찰 점검활동을 지원함으로서 각종 증대재해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재해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설비공사 안전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21
    • /
    • pp.84-91
    • /
    • 2000
  • 산업재해예방은 사고로 인해 발생되는 인적손실과 물적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계$\cdot$설비의 운전중지에 따른 감소를 방지하게 한다.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손실액은 1998년도 한해만 7조2천5백억원으로 100억짜리 공장을 725개를 세울 수 있는 엄청난 금액이고 국민 총생산액의 1.9$\%$에 해당한다. 특히 건설업의 재해율은 1995년도에는 전국 평균 재해율을 상회하였으나, 매년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여 1999년도에는 0.6$\%$로 전체 0.71$\%$보다 낮게 나타났다. 1999년 건설업의 총 재해지수는 1만955명으로 발생형태별로 분류한 결과 주요 재해발생요인은 추락 3천145명(28.7$\%$), 전도 1천832명(16.7$\%$), 협착 1천461명(13.3$\%$), 낙하$\cdot$비례 1천305명(11.9$\%$), 충돌 866명(7.90$\%$), 감전 281명(2.56$\%$, 화재$\cdot$폭발 152명(1.39$\%$), 기타 1천913명(17.5$\%$)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설비공사와 관련 그동안 발생된 중대재해사례를 게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