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금속 원소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 and Vegetation near the Closed Daeseong Coal Mine in Keumsan, Chungnam (충남 금산 폐탄광지역의 토양 및 식물체내 중금속 오염)

  • 민일식;송석환;김명희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2
    • /
    • pp.41-51
    • /
    • 1998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heavy metal pollution of soils and vegetations adjacent to the closed Daeseong coal mine in Keumsan, Chungnam. The studied area was divided into two sites ; the coal-bearing polluted and the non-polluted without coal. The samples of the weathered soils and vegetations(Miscnthus sinenis(MS) and Pinus rigida(PR)) were collected from both area. Cr, Mo, Ni, and Fe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polluted soils, whereas Co, Sc, and Zn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non-polluted soils. In the vegetations, Co, Cr, Sc, and Fe concentrations in the roots of MS and PR growing on the polluted sites were higher than the above-ground. However, on the non-polluted sites, Mo and Ni concentrations had an opposite trend. In the above-ground parts, 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s (except Cr) were shown in MS of the non-polluted sites, whereas in the roots, heavy metal concentrations (except Zn) were high in the polluted sites. In the averag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wo plants, most elements (except Zn) were lower in the plants than the soils. Comparing with vegetations and adjacent forest soils,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he MS were similar to those of soil concentrations relative to the PR, suggesting that absorptions of the elements were higher in the MS than the PR.

  • PDF

STUDY OF MERCURY KINETICS AND CONTROL METHODOLOGIES IN SIMULATED COMBUSTION FLUE GASES (연소장치에서의 수은의 화학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와 발생 및 배출의 최소화 기술 개발)

  • 이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03-108
    • /
    • 2001
  • 각종 연소기반의 오염 배출원에서의 수은을 비롯한 중금속의 배출은 많은 우려를 낳고있다. 이미 미국에서는 1990년 Clean Air Act Amendments를 통해 11개의 중금속의 (As, Be, Cd, Co, Cr, Hg, Mn, Ni, Pb, Sb, and Se) 배출을 가장 효과적인 적용 가능한 기술로서 그 배출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수은은 다른 중금속과는 달리 높은 휘발성, 강한 유해성, 그리고 체내에 축적이 되는 특성으로 해서 더욱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수은은 연소장치에서 대기중으로 배출시 다른 중금속이 입자의 형태로 배출되는 것과는 달리 주로 원소상태의 기체로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황화광물을 다량 함유한 광미의 중금속 용출특성

  • Gang Min-Ju;Lee Pye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47-248
    • /
    • 2005
  • 중금속의 용해도에 미치는 지배요인 중에서 금속의 지화학적 phases, 용액의 pH 및 반응 시간 등이 중금속 원소의 용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청양광산의 과거 광산사무실에 있었던 장소의 광미들은 탄산염광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이고 하천 둑에 땋여있는 광미들보다 산화작용이 더 많이 진행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 존재형태 연구

  • 이평구;이인경;최상훈;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56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원소는 물리ㆍ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안정화 되어 자연적으로 정화가 진행되거나 혹은 재 용출될 수 있어 중요한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광석에 함유된 중금속이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는지, 광물형태(탄산염광물, 산화광물, 황산염광물 및 황화광물)로 존재하는지, 산화환경 혹은 환원환경에서 안정한 다른 광물의 결정 내에 치환된 형태로 존재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물리화학적 환경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흡착반응, 탈착반응, 용해반응, 침전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서보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평가

  • 강민주;최상훈;이평구;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19-222
    • /
    • 2003
  • 폐광된 서보광산 주변의 주요 중금속 오염원으로는 폐광석과 과거에 선광을 하였던 시설 부근에 방치되어 있는 광미를 들 수 있다 과거 선광시설 주변에서 채취한 광미에는 황화광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계속 방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장마 기간동안 유실되어 하천 퇴적물을 크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광미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황화광물이 산화작용을 받을 경우, 용해된 중금속 원소가 주변 토양 혹은 하천퇴적물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중략)

  • PDF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soil system of abandoned metal mine - pollution extent and remediation (폐금속광산이 주변 토양계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오염범위 및 복구-)

  • 나춘기;송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2-16
    • /
    • 1997
  • 폐금속 광산 주변 및 광산 하부 농경지 토양에 대한 중금속 오염원으로서 폐금속 광산 주변에 방치된 폐석의 영향을 고찰하고 오염토양에 대한 복구방법으로서 반전객토의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진 금·은·동 광산 주변토양과 하부 농경지 중 오염된 논, 객토된 논 및 오염되지 않은 논을 선정하여 각각의 토양과 변에서 보여지는 금속원소의 함량과 분포특성을 비교·고찰한 결과, 동진광산에 주변에 방치된 폐석은 폐광된지 3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주변토양 및 수계 하부의 농경지에 강한 중금속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 이들의 광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복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염토양의 복구법으로서 반전객토지에서 산출된 나락의 중금속 함량(Cd 0.015ppm, Cr 0.07ppm, Cu 0.567ppm)은 비객토 오염지(Cd 0.096-0.215ppm, Cr 0.195-0.275ppm, Cu 1.085-1.151ppm)에 비해 대부분의 원소에서 2배 이상 낮은 값을 보이고 있어 농작물에의 중금속 전이를 억제하는 데는 상당히 효율적임을 시사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토양의 물리성 개선 및 이에 따른 토양환경의 변화 등에 의한 일시적 효과일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지만, 적어도 반전객토법이 토질개선 방법 중 가장 간편하고 오염된 토양부분의 배출토에 대한 처리문제 및 이로 인한 이차오염문제 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소규모 금속광산 주변으로 비교적 오염정도가 약한 토양을 정화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from Dongmyeong Au-Ag Mine Area (동명 금-은 광산 주변의 중금속 오염)

  • 이광춘;김세현;이승호;서용찬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1
    • /
    • pp.17-25
    • /
    • 2003
  • Research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elements of stream water through Dongmyoung abandoned metal mine and soil adjacent to the mine. The pH range of water was 5.9∼7.1 that implies the water environment was acidic to neutral. The contents and distribution aspects of heavy metals in water samples varied with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 bu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has the tendency of increase closer to the mine in general.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show that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soil near mine was far lower than those of ore tailing and dumping site. Therefore, the effects of the abandoned mine on stream water and agricultural products were supposed to be insignificant, particularly because the portion of absorbed carbonates and reducible fractions among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Since, however total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mining sit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adjacent reg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heavy metal difussion when the chemical environment of the site changes due to migration of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It is suggested that the preventive measures for water and soil pollution by the heavy metals would be considered around the region.

생석회(CaO)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 효율실험

  • 이예선;차종철;이민희;김명진;박인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42-345
    • /
    • 2004
  • 국내에 산재해 있는 휴ㆍ폐광산은 주변의 하천이나 농경지에 지속적인 중금속 오염원을 제공하면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여러 종류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안정화 공법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에 적절한 복토첨가제로 생석회와 석회석을 사용하여 첨가제를 넣지 않은 dh염토양과 중금속 용출율을 비교 ㆍ분석하였다. 이 결과 안정화 첨가제들이 Cd, Pb, Zn등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는데 높은 효율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첨가제를 넣지 않은 토양과 비교한 결과 약 40배 이상의 용출율 감소를 보였다. 또한 실험 시에 첨가제 각각의 함량을 1%, 2%, 5%로 설정하여 현장 적용시 복토에 첨가할 적절한 양을 산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첨가제 주입으로 인한 용출율 감소는 하나의 중금속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원소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오염토양에 토양안정화공법을 적용 시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s and Plants in Baekdong Serpentinite Area, Chungnam - A Cas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 (충남 백동 사문암지역의 토양 및 식물체내 중금속 함량 -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를 중심으로 -)

  • 민일식;송석환;김명희;장관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3
    • /
    • pp.271-278
    • /
    • 1998
  •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rocks and soils from serpentinite(SP) and in plants (Pinus densiflora: PD and Pinus rigida: PR) were examined at Baekdong mine in Hongsung, Chungnam. Parent rocks were compared with amphibole schist(AS) and gneiss(GN) and plants divided the above grounds and roots were examined, respectively. In rocks, Ni, Cr, Co, Fe concentrations in SP were higher than those in AS and GN. The concentrations of top soils had the similar differences to their rocks; especially Ni, Cr, Co, Fe concentrations were the highest in SP, Zn and Sc concentrations, however, were the highest in AS. Average Ni, Cr, Co, Au, As, Sb, W concentrations of PD were the highest in SP and especially Ni, Cr, Co concentrations were accorded with changes of rocks and top soils. Zn and Sc concentrations in AS were higher and Fe and Mo concentrations in GN were higher than those in SP. Compared with two plants in the same serpentinite sites, most elements of PR were higher than those of PD. Therefore, these suggested PR absorbed much heavy metal than PD. Most element concentrations of roots in two plants and three rock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bove ground. Relative ratios (average plant concentration/soil concentration) of Ni, Cr, Co, Zn, Sc, Fe in AS and GN were higher than those of SP. Especially, relative ratios of most elements except Zn in GN were the high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