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수학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과 중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의 내용과 전개방식 비교 - 수 개념과 덧셈 뺄셈 영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n and Chinese - Focused in Number, Addition and Subtraction-)

  • 김판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99-61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작업에 즈음하여 중국 교과서와 우리나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재 교과서의 개선점을 지적하고 새 교과서 작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중국 인민교육출판사의 초등수학 교과서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우리나라 교과서이다. 분석 영역은 수와 덧셈, 뺄셈으로 제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교과서가 상대적으로 많은 언어적 표현의 사용, 할 일이 정해진 활동, 수학적 개념의 확장에서 유사한 절차 사용, 수와 연산 영역에서 더 큰 수의 사용, 다양하지 못한 수 감각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에 우리나라 교과서가 수학적 흥미와 도전감, 기초기본 개념 형성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 PDF

중국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학사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Chinese Highschool Mathematics)

  • 조형미;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35-250
    • /
    • 2018
  • The history of mathematics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high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current 2003 revised curriculum in China refers directly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presents it as one of the optional series. Moreover, they publish separate history textbooks for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2003 revised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hinese highschoo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7,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highschool curriculum and mathematics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3.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make suggestions on the use of mathematics history for teaching mathematics in Korea.

역사속 과학인물 - 중국의 '산학계몽' 맥 이어준 조선조 수학자 "김시진(1618~1667년)"

  • 박성래
    • 과학과기술
    • /
    • 제33권4호통권371호
    • /
    • pp.32-34
    • /
    • 2000
  • 조선조 현종때 관리였던 김시진(1618~1667년)은 중국판 수학책 "산학계몽"을 우리나라서 인쇄 보급해 수학자 양성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중국 송나라때인 1299년 주세걸이 쓴 이 책은 중국의 수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책이었다. 그런데 이 책이 5백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중국에서는 사라져버려 조선에서 구해다가 다시 찍어낸 것이 지금의 "산학계몽"이다. 사무에 통달하고 산법이 밝았던 김시진은 현종때 경기 좌균전사의 벼슬을 지내고 경상감사까지 오른 당대의 수학자였다.

  • PDF

2011년 발표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2011 Reform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2011년 같은 해에 초등학교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였고, 최근 현장 적용에 들어갔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점이 많다. 게다가 중국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입시제도, 교육환경,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가지고 있는 국가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는 2015년 9월 공시 예정으로 새로운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교육과정 문서 체제 및 내용 구성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수학 교실에서 교사 발문과 담화 유형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Teacher Questions and Discourse Type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Liu, Went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487-509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라는 독특한 수학 교실 배경이 있는 중국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실 담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실 담화를 시작 발화로서 교사 발문 통계와 교사 발문 유형별 에피소드를 분석하였고, 교실 담화 구조 분석으로는 특히 다섯 가지 IRF 하위 유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중국 귀주성 귀양시에 위치한 H학교에 재직 중인 세 명의 수학 교사가 녹화했던 수학 수업 총 15개의 녹취록과 교사 서면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차시별로 평균 20개 교사 발문이 관찰되었고 교사 발문의 사회적 스케폴딩 역할이 있었으며, 교사 발문 유형은 확인형 발문(이해확인 발문, 설명요구 발문, 상세요구 발문, 재확인 발문)과 정보형 발문(정보제시 발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담화 분석에 따르면 IR형 담화 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IRF형 담화 구조의 경우는 단편적인 평가, 평가 및 이유, 근거 설명, 평가 및 학생 반응 재진술, 다른 사고나 해법 안내, 그리고 학생 답 수정이나 교사 의견 제시로 구분되었다.

한국, 중국, 일본의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참가 역사 비교 (Comparison of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Participation Histo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 이승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1-133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and compare the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participation histo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Especially, the processes for the first participation of the IMO, trends in team rankings of the IMO, and national team selection systems and education systems are compared. And we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olicies for the talented girls mathematics Olympians. Several proposals are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Korean Mathematical Olympiad and participations to IMO.

세계 속의 한국수학 (Korean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the World)

  • 이상욱;고영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2
    • /
    • 2009
  • 본 논문에서 우리는 한국수학의 존재를 규명하기 위한 한국 전통수학사 연구의 현황과 필요성을 살펴본다. 특히 홍성사 교수님과 홍영희교수님의 정성어리고 투철한 조선 산학 연구에 경의를 표하며 두 분의 한국수학사 연구결과를 보전하고 확대하며 강화할 수 있는 한국 전통수학사 연구의 활성 방안을 살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