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국북동부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국제화에 따른 동북아시아의 지역 특성화

  • 진경숙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84-84
    • /
    • 1995
  • 1. 동복아시아는 세계 4대 경제권 중 중국, 일본의 2대 경제권이 포함되는 중요한 지역이다. 동복아시아의 2대 경제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한국의 경우, 세계화와 더불어 중국과의 교역에 있어 황해중심의 중추적 역활을 담당할 지역으로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서남부의 광주가 부각되고 있다. 한편 중국의 북동부의 연길 또한 주목해야 할 지역이다.(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Asian Dust Using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를 이용한 황사 입자의 특성 분석)

  • 황희진;노철언;김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0-351
    • /
    • 2002
  • 대기 중 부유 입자상물질(에어로졸)은 지구 대기 환경과 기후, 그리고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까닭에, 에어로졸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는 매년 봄 중국에서 발원하여 동북부 아시아로 이동하는 황사(Asian Dust) 현상이 매우 중요한 관심 대상이다. 이것은 황사 입자가 중국의 공업단지인 중국 북동부를 거쳐오면서, 황산염이나 질산염, 해염 입자와 반응하여 한국이나 일본, 태평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중략)

  • PDF

A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s of Acid Deposition in Korea (우리나라 산성강하물 분포 및 특성)

  • 한진석;서충열;공부주;이상덕;최진수;이덕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17-418
    • /
    • 2003
  • 산업 사회로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인위적인 환경오염 중에서 산성우는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도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연료소비량이 증가함으로서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가 심화되고 있으며, 중국 북동부 지역의 황해 연안에 집중되어 있는 오염발생원에서 배출된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은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장거리이동되어 산성우현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중략)

  • PDF

Rare Earth Element, Sm-Nd and Rb-Sr Age and its Geochemical Implication of Leucogranite in the Deokgu Hot Spring Area, Yeongnam Massif, Korea (영남육괴 북동부 덕구온천지구 우백질 화강암의 희토류원소 분포도, Sm-Nd, Rb-Sr 연대 및 지구화학적 의의)

  • Lee, Seung-Gu;Kim, Tong-Kwon;Lee, Tae-Jong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4
    • /
    • pp.207-217
    • /
    • 2011
  • Here we report major element composition, trace and rare earth element abundance, Sm-Nd and Rb-Sr isotopic composition from Deokgu leucogranite.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 and its Eu anomaly are divided into 3 types systematically, and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SiO_2$ contents. Such geochemical characteristic indicates that the leucogranite was derived by feldspar fractionation from a common source magma. Sm-Nd and Rb-Sr whole rock ages are $1,785{\pm}180Ma$ (initial $^{143}Nd/^{144}Nd\;ratio=0.51003{\pm}0.00016,\;2{\sigma}$; ${\varepsilon}_{Nd}(T)=-5.9$) and $1,735{\pm}260Ma$ (initial $^{87}Sr/^{86}Sr\;ratio=0.702{\pm}0.046,\;2{\sigma}$), respectively. Initial ${\varepsilon}_{Nd}$ value indicates that the magma should be derived from the crustal material. This initial ${\varepsilon}_{Nd}$ value also corresponds well with those from the Precambrian granitoids from North-China Craton rather than those of South-China Craton.

Characteristics of Acid Deposition in Korea, 2002 (2002년 한반도 산성강하물 분포 특성)

  • 한진석;서충열;박준대;공부주;이상덕;이석조;이덕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41-342
    • /
    • 2003
  • 대기중으로의 오염물질 배출량의 증가는 대기오염문제 뿐만 아니라 산성우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도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연료소비량이 증가함으로서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가 심화되고 있으며, 중국 북동부 지역의 황해연안에 집중되어 있는 오염발생원에서 배출된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은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장거리이동되어 산성우현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가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증가할 것이 예상되므로 장래 산성우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며 향후 국가간의 환경분쟁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산성우현상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Dry Deposition in the period of Yellow Sand in Kwangju Area (광주지역 황사기간중의 대기 건성침적량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의찬;노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5-36
    • /
    • 2001
  • 매년 3 ∼ 5월 사이에 아시아 대륙 및 내륙의 건조지대에서 발생하는 모래 먼지 바람에 의해 비산되어 오는 황사현상이 자주 관측되고 있다. 최근 황사는 지구온난화와 토양의 사막화 등에 의해 발원지가 계속 확대되고, 발생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서해안에 인접한 중국의 북동부 공업지역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까지 황사에 실려와 심각한 국내의 오염 문제 및 국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Air Dry Deposition in the Period of Yellow Sand in Kwangju Area (광주지역 황사기간중의 대기 건성침적량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의찬;김천두;노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9-130
    • /
    • 2002
  • 최근 황사는 지구온난화와 토양의 사막화 등에 의해 발원지가 계속 확대되고 발생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서해안에 인접한 중국의 북동부 공업지역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까지 황사에 실려와 심각한 국내의 오염 문제 및 국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들 대기오염물질은 가스상과 입자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요즘 입자상 물질의 건성침적량에 관한 연구가 서서히 활기를 띄어가고 있다. 입자의 크기가 0.1-10$\mu\textrm{m}$에 달하면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며, 시정악화는 물론 흑비를 내리고, 인체에는 기관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중략)

  • PDF

Phylogenic Analysis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ae) in Haenam-gun and Muan-gun, Jeollanam-do, Korea Using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subunits (전라남도 해남과 무안의 풀무치 개체군에 대한 마이토콘드리아 NADH dehydrogenase subunit 들을 이용한 계통분석)

  • Lee, Gwan Seok;Kim, Young Ha;Jung, Jin Kyo;Koh, Young Ho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6 no.4
    • /
    • pp.371-376
    • /
    • 2017
  • In a nationwide survey of the occurrence and density of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high density was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reclaimed areas of Mangun-myeon in Muan-gun, Jeollanam-do, and Sanye-myeon in Haenam-gun, Jeollanam-do, Korea. We have analyze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NADH dehydrogenase subunit (NAD) 2, NAD4, and NAD5 gen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rigins of the migratory locusts at two sit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igratory locusts in Haenam-gun we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in Liaoning Province and Heilongjiang Province in the northeast China. In contrast, the migratory locusts in Muan-gun were most similar to those in Japan. Because Korean migratory locusts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global study on the evolution and migration of migratory locusts, we did not know the origin of Korean migratory locusts, earlier. Phylogenetic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gratory locusts from the northeast Chinese population might have migrated and settled in Haenam-gun in Korea. Moreover, another northeast Chinese population might have migrated to Muan-gun in Korea though Sakhalin, Russia and Hokkaido, Japan.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the migratory locusts moved from northeast China might be isolated from each other in Korea, and that the Muan population might migrate to Japan cannot be excluded.

Tectonic Link between NE China, Yellow Sea and Korean Peninsula, revealed by interpreting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and sea-surface measured gravity data (CHAMP-GRACE 인공위성 데이터와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에 나타난 황해안 지역의 남중국과 북중국판의 대륙 충돌대 위치)

  • Cho, Sung-Chan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9-14
    • /
    • 2005
  • For the understanding the locus of the Quinling-Dabie-Sulu continental collision's boundary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sedimentray basin in the Yellow Sea, three dimensional density modelling is carrid out by using gravity dataset (Free Air Anomaly), which is measured by Tamhae 2, KIGAM in a period 2000 - 2002. The measured gravity anomaly in the investigations area is mainly responsed by depth distribution of the sedimentary basin. After comparing the sea-measured gravity data to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I suggested that the high density model bodies extend mainly from the southern part of China to the middle-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might be emplaced along the continental collision's boundary. The total volume of very low density bodies modified by modelling might be about $20000\;km^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