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공층 높이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F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Hollowness-Block Channel Bed (중공블럭 하상의 흐름저항 특성)

  • Chae, Kuk-Sheok;Park, Sang-Deok;Shin, Seung-Sook;Cho, J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70-873
    • /
    • 2007
  • 하천의 수공 구조물은 홍수 시 작용하는 유수력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친환경 식생호안블록인 중공블록을 하상에 설치할 경우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중공블록을 설치한 개수로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흐름저항과 경계층 특성에 대한 중공블록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흐름저항 특성 인자인 Manning의 조도계수와 Darcy-Weisbach의 마찰손실계수는 일정한 유량과 하상경사의 경우 수심에 큰 영향을 받고 이들은 서로 비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마찰손실계수가 증가하더라도 어느 한계점 이상이 되면 조도계수는 일정한 값으로 수렴한다. 개수로의 경계층의 높이는 하천의 흐름특성과 구조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수심, 유속, 에너지경사, 경계면의 상대조도, Reynolds수, Froude수 등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중공블록이 설치된 개수로의 조도계수는 일반하천의 경우와 비교하여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중공블록이 흐름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건습식방사법에 의한 폴리설폰 중공사막의 구조 및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 김정훈;박유인;노일준;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4a
    • /
    • pp.33-33
    • /
    • 1993
  • 건습식방사법에 의한 폴리설폰중공사를 제조함에 있어 여러가지의 방사조건을 변화시켜 이에 따른 중공사의 다양한 구조를 검토하고 이들의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Polysulfone 중공사막의 제조시 여러가지의 방사조건을 세분하여 방사높이, 방사용액 및 내부응고제의 양의 변화등의 방사변수에 따른 구조 및 투과특성 그리고 내부스킨층만이 존재하는 중공사와 외부스킨층만이 존재하는 중공사를 제조할 수 있는 특정조건을 확립한 후 이들의 상전이공정에 따른 변수를 도입하여 중공사를 제조하여 그 투과성능을 상전이공정과 연결시켜 해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vity Height of Muti-Story Double-Skin Facade for better Thermal Performance (열성능을 고려한 다층형 이중외피의 중공층 높이에 관한 연구)

  • Shin, Seon-Joon;Jo, Jae-Hun;Seok, Ho-Tae;Kim, Kw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5 no.2
    • /
    • pp.53-62
    • /
    • 2005
  • In this study, the thermal performance of multi-story double-skin facade(DSF) with variation of cavity height is evaluated to offer useful data in determining cavity height of multi-story DSF. For this, thermal criteria for multi-story DSF is adopted and a DSF model for evaluation of the thermal performance is established. Through the evaluation of CFD simulation, the recommended height of multi-story DSF is 5 stories or less to improve the thermal performance during the intermediate season.

Preparation of Asymmetric F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s for Flue Gas Separation (온실기체 분리용 폴리이서설폰 비대칭 중공사 막의 제조)

  • Kim Jeong-Hoon;Sohn Woo-Ik;Choi Seung-Hak;Lee Soo-Bok
    • Membrane Journal
    • /
    • v.15 no.2
    • /
    • pp.147-156
    • /
    • 2005
  • It is well-known that polyethersulfone (PES) has high $CO_2$ selectivity over $N_2\;(or\;CH_4)$ and excellent pressure resistance of $CO_2$ plasticization among muy commercialized engineering plastics[1-4]. Asymmetric PES hollow fiber membranes for flue gas separation were developed by dry-wet spinning technique. The dope solution consists of PES, NMP and acetone. Water and water/NMP mixtures are used in outer and inner coagulants, respectively. Gas permeation rate (i.e., permeance) and $CO_2/N_2$ selectivity were measured with pure gas, respectively and the micro-structure of hollow fiber membranes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effects of polymer concentration, ratio of NMP to acetone, length of air gap, evaporation condition and silicone coating were investigated on the $CO_2/N_2$ separation properties of the hollow fibers. Optimized PES hollow fiber membranes exhibited high permeance of $25\~50$ GPU and $CO_2/N_2$ selectivity of $30\~40$ at room temperature and have the apparent skin layer thickness of about $0.1\;{\mu}m$. The developed PES hollow fiber membranes, would be a good candidate suitable for the flue gas separ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