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간저장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 = 실증시험과 현황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6 no.2 s.36
    • /
    • pp.58-61
    • /
    • 1986
  •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기술에 대해서는 여러나라에서 연구개발중이며 이미 실용화 또는 실용화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국가도 있다. 미국에서도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이 행해지고 있는데 원자력발전소 사이트내저장을 위해 DOE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고밀도저장 및 건식저장의 실증시험계획을 소개한다.

  • PDF

사용후핵연료 소외 중간저장 종합관리 관련 기술기준 재정현황

  • 황용수;김진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97-500
    • /
    • 1996
  •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설원자력환경관리센터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소외 중간저장 종합관리시설 관련 부지선정, 설계, 건설, 운영, 환경감시 및 폐쇄 제 단계 인허가에 필요한 기술기준들을 1989년부터 1997년까지 개발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들 기술기준들의 개발현황과 향후 개선점들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여 보았다.

  • PDF

사용후핵연료 소외 중간저장 종합관리 관련 기술기준 제정현황

  • 황용수;김진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15-419
    • /
    • 1996
  •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설원자력환경관리센터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소외 중간저장 종합관리시설 관련 부지선정, 설계, 건설, 운영, 환경감시 및 폐쇄 제 단계 인허가에 필요한 기술기준들을 1989년부터 1997년까지 개발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들 기술기준들의 개발현황과 향후 개선점들을 종합적으로 조명하여 보았다.

  • PDF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 기술 - 그 특징과 장${\cdot}$단점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4 no.5 s.21
    • /
    • pp.42-45
    • /
    • 1984
  • 원자력발전소에서 연소된 사용후핵연료를 여러 외국에서는 재처리 또는 처분키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전에 중간저장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식이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다음은 이들 여러나라의 동향 및 개발, 실용화된 주된 방식의 특징과 장${\cdot}$단점의 개략이다.

  • PDF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건식형태)시설의 구조 및 설비기준 개발

  • 김영상;이상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47-252
    • /
    • 1996
  • 사용후핵연료 건식 중간저장시설은 설계수명기간 동안 방사능 차폐, 냉각, 보호 등과 같은 주요 기능이 확실히 보장되도록 설계 및 유지·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요 기능은 여러가지 설계하중 하에서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한 결과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보장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건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항목 및 내용을 국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기준을 토대로 하고 풍하중, 홍수방호, 내진설계, 열하중해석,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물, 기초지반과 같은 세부항목에 대한 해석 및 설계의 연구결과를 추가하여 국내 원자력법령과 시행령에 부합되는 사용후핵연료 건식중간저장시설의 구조 및 설비기준을 개발하였다.

  • PDF

사용후연료 저장용기 캐니스터의 낙하평가

  • 서기석;신동필;박성원;정성환;이흥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350-350
    • /
    • 2004
  • 국내 사용후연료는 중간저장시설 확보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 각 발전소의 사용후연료 저장조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 국가정책에 따른 사용후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운영이 시작되는 시점까지 발전소에서 사용후연료 저장용기가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경수로 사용후연료의 저장용기의 구조설계는 취급사고의 한 형태로서 낙하조건에 대한 안전성을 요구하고 있다. 경수로 사용후연료 24 다발을 적재하는 캐니스터는 콘크리트 외부용기(overpack)의 상부로부터 하향 방향으로 삽입된다.(중략)

  • PDF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의 사고시 UO$_2$의 산화거동 연구

  • 김건식;유길성;민덕기;김은가;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727-732
    • /
    • 1995
  •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의 누수사고시 예상되는 핵연료봉의 온도상승을 SFUEL 컴퓨터 코드 분석결과에 따른 실제 $UO_2$의 산화거동을 실험하였다. 외기 온도 38$^{\circ}C$에서 환기회수가 시간당 0, 1, 2회인 조건에서 저장용기 밑바닥 구멍 크기가 2.54, 5.08, 7.62 cm인 경우의 실험결과 환기회수 0회 바닥구멍 크기 2,54 cm 일 때 약 15시간 후 건전성 상실(0.6% 무게증가)이 일어났으며 환기회수 2회 바닥구멍 크기 7.62 cm 일 때는 약 21시간 이후에 건전성 상실이 일어나 가장 느렸다. 바닥구멍 크기가 증가할수록 공기 순환비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또 외기 온도가 낮을 수록 공기 순환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PDF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의 사고시 피복관의 산화 거동 연구

  • 유길성;김건식;민덕기;노성기;김은가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721-726
    • /
    • 1995
  •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의 누수사고시 예상되는 SFLFL 컴퓨터 코드 분석 결과에 따른 실제 피복관의 산화시험 결과 저장용기 밑바닥 세가지 구멍은 크긴 조건들에 대히 환기회수가 시간당 0회인 경우는 사고후 48시간 경과시 매우 심각한 산화가 예상되며, 나머지 조건의 경우에는 48시간 산화 후 최대 산화량이 90mg/dm$^2$으로 시설의 누수사고시 산화막에 의한 영향은 거의 무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9가지의 시험조건중 안전성은 구멍의 크기가 7.62cm, 환기수가 시간당 2회인 경우가 가장 놓으며. 두번째는 구멍의 크기가 5.08cm, 시간당 환기수 2회의 경우였다. 같은 환기회수의 경우 구멍의 크기가 5.08과 7.62cm인 경우는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2.54와 5.08cm의 경우는 큰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서 수행된 시험은 미조사, 미전처리 시편을 사용한 것이므로 실제로 조사 및 로내 산화막이 입혀진 시편에 대한 추후 시험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Japanese Experience to Secure the Interim Storage Facility for Nuclear Spent Fuel (일본의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 시설 확보 경험에 관한 연구 - 아오모리현 무쯔시 사례 -)

  • Kim, Kyung-Mi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5 no.4
    • /
    • pp.351-357
    • /
    • 2007
  • The Japanese Government selected Mutsu, Aomori Prefecture as a provisional spent-fuel repository site. This comes as a result of the prefecture's five-year campaign to host the site since 2000. Korea stores spent nuclear fuel within site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expects the storage capacity to reach its limit by the year 2016. This compels Korea to learn the cases of Japan. Having successfully hosted Gyeongju as a site for low-to-intermediate-level nuclear waste repository, Korea has already learned the potential process of hosting spent fuel storage site.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process of hosting the site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d to offer the local city a large amount of subsidy for hosting through competitive citizens' referendum among candidate cities while it was the leadership of the local municipality that enabled the controversial decision in Japan. It is also a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of Japan that not a huge subsidy is provided to the local host city. I hope this study offers an idea to Korea's future effort to select a spent-fuel host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