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준 3차원

Search Result 491,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3D Object's shape and motion recovery using stereo image and Paraperspective Camera Model (스테레오 영상과 준원근 카메라 모델을 이용한 객체의 3차원 형태 및 움직임 복원)

  • Kim, Sang-Ho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2
    • /
    • pp.135-142
    • /
    • 2003
  • Robust extraction of 3D object's features, shape and global motion information from 2D image sequence is described. The object's 21 feature points on the pyramid type synthetic object are extracted automatically using color transform technique. The extracted features are used to recover the 3D shape and global motion of the object using stereo paraperspective camera model and sequential SVD(Singuiar Value Decomposition) factorization method. An inherent error of depth recovery due to the paraperspective camera model was removed by using the stereo image analysis. A 30 synthetic object with 21 features reflecting various position was designed and tested to show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by comparing the recovered shape and motion data with the measured values.

Prediction of Turbulent Jet in a Crossflow by a Quasi Three Dimensional Model (준 3차원 모델에 의한 주유동에 분사되는 난류제트 유동 해석)

  • 맹주성;이종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954-96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횡 방향으로 속도구배를 타내는 a=.part.W/.part.z에 대한 방정식을 3차원 운동량 방정식으로 부터 유도한 준 3차원 수학적 모델을 성정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수치 해석을 위하여 Chen에 의하여 고안된 유한 해석법과 2-방정식 저 레이놀즈 K-.epsilon. 난류모델, 그리고 Maeng에 의해 제시된 경계 공정 좌표계를 사용하였다. 그리 고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하여 G.Ber geles가 수행한 실험치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Iterative Series Methods in 3-D EM Modeling (급수 전개법에 의한 3차원 전자탐사 모델링)

  • Cho In-Ky;Yong Hwan-Ho;Ahn Hee-Y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4 no.3
    • /
    • pp.70-79
    • /
    • 2001
  • The integral equation method is a powerful tool for numerical electromagnetic modeling. But the difficulty of this technique is the size of the linear equations, which demands excessive memory and calculation time to invert. This limitation of the integral equation method becomes critical in inverse problem. The conventional Born approximation, where the electric field in the anomalous body is approximated by the background field, is very rapid and easy to compute. However, the technique is inaccurate when the conductivity contrast between the body and the background medium is large. Quasi-linear, quasi-analytical and extended Born approximations are novel approaches to 3-D EM modeling based on the linearization of the integral equations for scattered EM field. These approximation methods are much less time consuming than full integral equation method and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Born approximation. They we, however, still approximate methods for 3-D EM modeling. Iterative series methods such as modified Born, quasi-linear and quasi-analytical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various approximation methods. Comparisons of numerical performance against a full integral equation and various approximation codes show that the iterative series methods are very accurate and almost always converge. Furthermore, they are very fast and easy to implement on a computer. In this study, extended Born series method is developed and it shows more accurate result than that of other series methods. Therefore, Iterative series methods, including extended Born series, open principally new possibilities for fast and accurate 3-D EM modeling and inversion.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선체구조해석 기법

  • 송재영;이정렬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46-51
    • /
    • 1997
  • 본 고에서는 3차원 전선구조해석에 사용하는 직접구조해석기법 및 준직접구조해석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선계산을 통하여 두 기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직접구조해석은 준직접구조해석에 비하여 방대한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선구조해석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추천할 기법은 아니나 준직접구조해석의 검증, 피로해석 및 신로도 해석 등 응력의 확률 기준이 필요한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f Nonisothermal Flows in Single-Screw Extruders (싱글-스크류 압출공정에서의 비등온 유동의 유한요소 해석)

  • 권태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1
    • /
    • pp.56-67
    • /
    • 1991
  • 압출공정에서 발생하는 전달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싱글-스크류 압출기에서의 비 뉴톤성 유체의 비등온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위한 유한요서법(FEM)을 개발하였다. FEM 은 준-3차원 물리적 모델을 기본으로 하였고 온도분포해석을 위하여 전진방법을 도입하였 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수치해석적 모델과 더 간단한 준-2차원 모델을 온도분포의 예측에 관하여 초점을 맞추어서 비교 하였다. 압출기의 내부채넬에서 순환유동이 온도분포에 미치 는 영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순환유동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한 요소식에서 순환 과 관련된 대류항을 빼도록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개조 하였고 개발된 원래의 프로그램과 개 조된 프로그램의 해석을 수행한후 해석결과 중에서 특히 온도분포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비 교하였다. 이로부터 간단한 준-2차원 모델은 순환효과를 무시했기 때문에 속도분포의 예측 에서는 별문제가 없으나 온도분포의 예측에 있어서는 크게 잘못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 PDF

로봇시뮬레이터를 이용한 3차원 스캐너의 측정경로설정 자동화

  • 유희욱;장민호;한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06-306
    • /
    • 2004
  • 최근 광학식 비접촉 3차원 스캐너의 측정 정밀도는 매우 빠르게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측정정밀도의 향상으로 3차원 스캐너를 자동차나 전자제품의 인스펙션(Inspection) 툴로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3차원스캐너는 측정대상물의 곡면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CMM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포터블하므로 향후 많은 산업분야에서 활용성이 점차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Quasi-3-Dimensional Compressible Flow Calculation by Introduction of Viscous Loss Model in Axial-Flow Compressor (점성 손실모델 도입에 의한 축류 압축기 준 3차원 압축성 유동해석)

  • 조강래;이진호;김주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5
    • /
    • pp.1044-1051
    • /
    • 1989
  • A numerical calculation is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3-dimensional compressible flow field in axial-flow rotating blades by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calculation of flow in impellers plays a dominant role in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design of turbomachines. Three-dimensional flow fields can be obtained by the quasi-three-dimensional iterative calculation of the flows both on blade-to-blade stream surfaces and hub-to-shroud stream surfaces with the introduction of viscous loss model in order to consider a loss due to viscosity of fluid. In devising the loss model, four primary sources of losses were identified: (1) blade profile loss (2) end wall loss (3) secondary flow loss (4) tip-leakage loss. For the consideration of an axially parabolic distribution of loss, the results of present calcullation are well agreed with the results by experiment, thus the introduction of loss model is proved to be va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