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준공영 운영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Public Traffic Policy in Information Age: Focused on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정보화시대의 대중교통정책 : 광주광역시의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 Joun, Jou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8 no.4
    • /
    • pp.19-33
    • /
    • 2010
  • As one of the most traffic devices, bus has played a great role in Korea for the last years. However, a great many peoples in big cities have continu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rivate car ownership. It causes lower quality of bus service and unstability of operation in many bus companies. In the several local government, the operation system of bus was changed to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and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of Bus QPO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us QPOS has brought various positive effects, but it has occurred negative effects, especially a much increase of government subsidies to bus company. To resolve a negative effects, government should examine the whole condition of bus operations. This study suggests strategies to improve Bus QPOS, which is including transparency of management, fair assessment system, standard cost system for bus operations.

  • PDF

Quasi-public operating Bus nature of the public interest as a moral hazard - Game theoretical approach as the Yeosu area cases (도덕적 해이로서 공익적 성격의 버스운송 체계 - 여수 시내버스 사례에 대한 게임이론적 접근)

  • Lee, Moo-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11
    • /
    • pp.1285-1296
    • /
    • 2015
  • As examples of the region's transition to quasi-public goods a previous stage of full public goods also extremely limited in research. However, in this way can it compensate for this paper as a system to minimize moral hazard by electron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focused on safety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and gave public goods introduction of grafting of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s played the Yeosu area to specific cases I went to the deployment.

Optimized Boreoung Dam Emergency Diversion Tunnel Operation Rule Study, considering Water Quantity-BOD-Electric Power in Boreong Dam Water Supply Network (보령댐계통 물 공급망 운영에 있어서의 수량-수질(BOD)-전력을 고려한 보령댐 비상도수로 최적운영 Rule 연구)

  • Lim, Gun Muk;Kim, Sung Hoon;Ryoo, Kyung Sik;Jeong, Kwa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2-42
    • /
    • 2020
  • 충남서부권은 기상이변으로 강수량이 적고 가뭄이 심화되고 있는 반면, 신규수원 개발 적지 부족 등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가뭄시 비상용수공급을 위해 비상도수로를 건설하였다. 이 비상도수로는 보령댐의 가뭄단계 상황기준으로 운영중에 있다. 가뭄단계 상황이 경계단계에 진입하면 도수로를 가동시작하여 관심단계 회복시에 중단하게 된다. 동 연구는 현재 운영중인 보령댐도수로의 가동Rule을 수량(이수안전도), 수질(BOD), 전력비용을 고려하여 시나리오별로(상시도수, 총 도수량대비 25%, 50%, 75%, 100%) 도수할 때 어느 도수 Rule이 수량-수질-에너지 넥서스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지를 밝혀 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초자료는 보령댐도수로 준공이후 2016년~2019년 도수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량(이수안전도) 검토는 MODSIM을 활용하였고, 수질개선효과는 실측 BOD를 기준으로 도수조건별로 오염부하량으로 검토하였다. 전력비용은 금강원수 도수년도별로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추가 연구결과를 통해 가뭄단계 상황기준, 월별 물관리 여건을 고려하여 기준향후 비상도수로 운영에 있어서 수량절량, 수질개선, 전력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Efficiencies in pro environmental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sewage treatment effluent (친환경 인공습지 조성을 통한 하수처리 방류수 재처리 효과분석)

  • Lim, Gun Muk;Park, So Mi;Ha, Eun Jung;Lee, Jo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0-220
    • /
    • 2020
  • 영산강수계는 상류에 4개의 농업용 댐이 위치하여 환경대응용수 확보 및 하천유지유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갈수기 하천 유량의 약 67 %가 광주 제 1, 2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차지하고 있어 하천의 수질과 수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오염된 하천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생태계의 정화능력을 활용한 인공습지가 각광받고 있다. 영산강 유역에서도 자연의 정화능력을 활용하여 하천 오염원을 저감시키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2016년 광주 제 2 하수처리장 방류구에 서창오미공원 습지를 조성하였다. 이 습지는 유입량이 적어 정상적 기능이 어려운 기존 습지를 재조성한 것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 약 5만 ㎥/day을 습지로 유입시켜 수질정화용 식재식물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을 개선한 사업이다. 2016~2017년 모니터링 결과, 습지 유입 전·후 BOD는 평균 33.5 %, 최대 73.1 % 저감 되었으며, T-P 또한 평균 59.3 %, 최대 91.6 % 저감 되었다. 그러나 습지는 운영기간 경과 시 퇴적물 축적, 고사체로 인한 T-P 용출 등으로 인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더 악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습지 조성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 예로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해 주암호에 조성된 인공습지의 경우, 2001년 준공 후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을 통하여 약 17년이 지난 2018년에도 BOD 49.3 % T-N 65.1 %, T-P 19.2 % 로 저감되어 오염원 및 영양염류 제거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서창오미공원과 주암호 인공습지 운영 결과를 토대로 습지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적정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영산강 하천의 점·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신규 인공습지 조성 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Radiological Environment Investigation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조사)

  • Baek, Jeong-Seok;Jeong, Yeui-Young;Ahn, Sang-Bok;Kim, Wa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6 no.4
    • /
    • pp.387-398
    • /
    • 2008
  • To obtain base-line data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radiological environment investigation is required at least two years prior to the facility operation near the disposal facility. The investigation has been performed since January 2007 for the Wolsong LILW disposal center. In this paper, investigation procedure and detailed information obtained for six months in 2008 are described.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future investigation planning is also discussed for the radiological environment management of the disposal fac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