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준공모델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tatistical Voice Activity Defector Based on Signal Subspace Model (신호 준공간 모델에 기반한 통계적 음성 검출기)

  • Ryu, Kwang-Chun;Kim, Dong-Ko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7
    • /
    • pp.372-378
    • /
    • 2008
  • Voice activity detectors (VAD) are important in wireless communication and speech signal processing, In the conventional VAD methods, an expression for the likelihood ratio test (LRT) based on statistical models is derived in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omain, Then, speech or noise is decided by comparing the value of the expression with a threshold, This paper presents a new statistical VAD method based on a signal subspace approach, The probabilisti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PCA) is employed to obtain a signal subspace model that incorporates probabilistic model of noisy signal to the signal subspace method, The proposed approach provides a novel decision rule based on LRT in the signal subspace domai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ignal subspace model based VAD method outperforms those based on the widely used Gaussian distribution in DFT domain.

전(電)력질주 - 한국남동발전(주) 삼천포화력본부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1
    • /
    • pp.92-97
    • /
    • 2014
  • 국내 최초의 대용량 석탄화력발전소인 삼천포화력본부(본부장 노선만)는 한국남동발전(주)의 핵심 발전소 중 하나이다. 1984년 1호기 준공이래 1998년 6호기 준공까지 약 15년에 걸쳐 총 여섯 호기가 준공되었고, 오늘날까지 30년에 걸쳐 양질의 전기를 생산해내고 있다. 특히 1,2호기는 이미 30년이상 운전하며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급격한 경제성장을 뒤에서 든든히 뒷받침한 효자 발전소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런데 사실 발전소가 오래됐다고 하면 환경적인 측면에서 부정적 인식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삼천포화력본부는 1~6호기에 대한 환경설비(탈황 탈질)를 준공함으로써 이러한 우려도 불식시켰다. 여기에 최근에는 친환경 발전소로도 명성이 높다. 해양소수력, 태양광 등 신재생발전설비들을 차례로 준공, 운영하면서 기존 석탄화력발전소의 차세대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석탄화력발전소의 바로미터로 떠오른 삼천포화력본부를 소개한다.

  • PDF

Extract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Facility Using Multiple Photographic Analysis (다중사진 해석에 의한 시설물 공간정보 추출)

  • 손덕재;이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00-40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형도나 준공도면 자료에서 상세정보가 누락되거나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물관리체계에 필요한 수치지도의 체계적인 구축이 요구되는 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상사진, 항공사진 등 영상자료에 다양한 사진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하고 공간 및 속성정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사진 촬영에 의하여 대상물의 3차원 모델과 3차원 사진영상모델을 생성하였다. 또한, 소축척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벡터라이징을 실행한 결과, 각 건물과 도로시설물의 위치와 형태 등 공간정보의 추출이 가능하였다.

  • PDF

Development Method of BIM Data Modeling Guide for Facility Management : Focusing on Building Mechanical System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입력기준 개발방안 : 건축 기계설비를 중심으로)

  • Won, Ji-Sun;Cho, Geun-Ha;Ju, Ki-Beom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5 no.4
    • /
    • pp.216-224
    • /
    • 2013
  • Facility data is created through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But the most facility managers bear significant costs that arise from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with facility lifecycle.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way to collect facility data using BIM techn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BIM data modeling guide for the facility management using the information that need to be delivered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to operation and management phase. The BIM data modeling guide focus on the properties of mechanical equipment.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llect facility data from as-built BIM data and to build facility management system database without difficulty.

Analysis of Cellular Call Traffic with City Zone Characteristics(1) (도시용도지역의 시간별 이동 통신 통화량 분석(I))

  • 손동우;윤영현;김상경;최원근;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62-264
    • /
    • 1999
  • 이동 통신 텔레트래픽 모델은 Traffic Source 모델과 Network Traffic 모델이라는 2개의 하부 모델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Network Traffic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Network Traffic 모델에서는 이동 통신 환경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동일한 환경에 설치되어 있는 몇 개의 기지국을 가정하여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른 사용자 호 특성 및 설치 지역 특성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도시를 상업, 주거, 준공업, 그리고 녹지지역으로 되어 있는 도시 계획 용도지역과 이외에 특이한 호 발생 패턴이 예측되는 역과 터널 주변이라는 6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따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요일별 통화량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터에 적용하기 위한 평균값 및 분포값을 제시하였다. 이 파라메터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값들이다.

  • PDF

LOD Definition and Requirement Analysis for Bridge Information Model Delivery (성과납품을 위한 교량정보모델의 상세수준 정의 및 요구항목 분석)

  • Park, Kun-Young;Park, Sang-Il;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35-2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필요한 수준의 성과품 납품을 위해 교량정보모델의 상세수준을 분류하고 각 상세수준에서 요구되는 세부정보를 분석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교량 설계 업무가 단계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마다 성과품을 납품하도록 규정 되어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의 교량 설계준공단계 성과품 납품 항목 중 교량정보모델에 요구되는 항목을 분류하였으며 분류한 요구항목에 맞춰 3D객체와 속성정보수준을 정하여 업무 프로세스 단계별 상세수준을 정의하였다. 또한, 정의한 상세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각 상세수준에서 포함하도록 요구되는 세부정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된 세부요구정보는 성과품 납품에 활용가능하다.

  • PDF

하구둑 준공으로 인한 조간대 하천하구 물리화학적 변화탐지 LandsatTM 기반 원격탐사 모니터링

  • Sin, Eon-Seok;Kim, Hyeong-Mu;Lee, Jae-Bong;Lee, H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203-208
    • /
    • 2004
  • 환경오염과 자연재해의 증가추세에 대비한 하천과 해양 수자원의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의 하천수자원관리시스템만으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위성영상은 관심지역에 대한 광역적 조사와 시계열적 관찰에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므로 하천과 해양수자원의 동시병행 관찰에 유리하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 하구변화탐지 모니터링 원격탐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영상획득과 영상보간법을 활용할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 하구 변화탐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영상획득과 영상보간법의 활용 시스템 모델을 전북과 충남 금강하구에서의 해수, 담수 혼합수역의 변화와 이동, 그리고 바다면적과 육지면적의 변화와 이동의 관찰에 적용하고 검증한 결과 제안한 하천 하구 변화탐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위성영상기반 모델이 기존 그리드정점관측방법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 PDF

Signal Subspace-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Using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 (일반화된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한 신호 준공간 기반의 음성검출기법)

  • Um, Yong-Sub;Chang, Joon-Hyuk;Kim, Dong Ko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2
    • /
    • pp.131-137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algorithm using statistical models in the signal subspace domain. A uncorrelated signal subspace is generated using embedded prewhitening technique and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isy speech and noise are investigated in this domai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als in the signal subspace, a new statistical VAD method using GGD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 is propos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GGD-based approach outperforms the Gaussian-based signal subspace method at 0-15 dB SNR simulation conditions.

Modelling of sediment yields of Yongdam basi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유사량 모의)

  • Lee, Geun-Sang;Kim, Yu-Ri;Ye, Lyeo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34-938
    • /
    • 2009
  • 금강상류유역에 위치한 용담다목적댐은 2001년에 준공되어 전북지역과 서해안 산업 개발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용담댐 하류유역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상류유역에 관한 연구는 그 수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유사량을 기측정된 자료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강우-유출 모델인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용담댐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유사량을 산정하였다. 모형을 구축하고자 DEM과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사용하여, 총 208개의 HRU를 생성하였으며, 천천과 동향 수위국 및 용담댐에 대해서 월유출량을 Calibration 결과는 천천의 EI와 $R^2$는 각각 0951과 0.952이며, 동향의 EI와 $R^2$는 각각 0.868과 0.869로 나타났으며, 용담댐의 EI와 $R^2$는 각각 0.938과 0.964로 나타났다. 월 유사량에 대한 천천의 EI와 $R^2$는 각각 0.943과 0.947이며, 동향의 EI와 $R^2$는 각각 0.759과 0.772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상류유역에 대한 하천유입량과 유사량의 변화를 기구축된 자료와 비교 검토한 결과 SWAT 모델이 용담댐 상류유역의 유출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용담댐 하천 유입량과 유사량 변화를 예측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Decision Making Model of Measures on the Decrease of Traffic Accident Following Implementation of Intra-city Bus by using AHP (AHP 기법을 이용한 시내버스 교통사고 저감대책 의사결정 모델개발)

  • Choi, Jae Won;Jung, Hun Young;Jang, Seok Y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5D
    • /
    • pp.679-687
    • /
    • 2011
  • Implementation of semi-public management system of intra-city bus achieve excellent results but there are some side effects like increase of the fatal traffic accidents. This study tries to develop decision making model of measures of reducing traffic accidents following implementation of semi-public management system of intra-city bus. And survey with traffic expert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re used for data survey and analysis. Quantitative measures and qualitative measures are suggested as high assessment items of AHP. Quantitative measures of low assessment items composed of a raise in the number of bus and safety device installation, facility supplement of bus stop, supplement of pedestrian protection facility, traffic safety assessment and supplement. Qualitative measures composed of system organization, redesign bus route, reinforcement of education, campaign and enforc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turns out more weights are calculated on quantitative measures than on qualitative measures. Second, It is turned out in order of facility supplement of bus stop and traffic safety assessment and supplement as the quantitative measures. Third, as qualitative measures, system organization and redesign bus route are in the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a basic data which can be referred if measures on the decrease of traffic accident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other cities and provi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