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죽상동맥경화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9초

특집 - 당뇨병환자 사망원인의 75%, 관상동맥질환

  • 김경수
    • 월간당뇨
    • /
    • 통권210호
    • /
    • pp.11-13
    • /
    • 2007
  • 당뇨는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과 함께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4대 주요한 위험요인 중의 하나이다. 당뇨를 가지고 있으면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동맥질환을 비롯한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관상동맥질환은 당뇨병환자에서 높은 유병율을 가지며 당뇨병환자의 사망원인의 75%는 죽상동맥경화와 관련이 있고 그 중 75%는 관동맥질환이다. 과거에 관동맥질환이 없는 당뇨병환자에서 급성심근경색의 발생위험은 현재 관동맥질환이 있는 환자와 같으며, 특히 여성에서 관동맥질환 사망위험도는 비당뇨여성의 5$\sim$8배로 현저히 높다. 치료법의 현저한 발전으로 관동맥질환의 사망률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당뇨병환자에서는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 PDF

경동맥의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 분리측정 및 임상적 중요성 (Measurements of Carotid Intima, Media, and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ir Clinical Importance)

  • 김원식;정환택;노기용;배장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4호
    • /
    • pp.207-213
    • /
    • 2005
  •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심각한 정도는 일과성 뇌 허혈, 중풍, 그리고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원인 질환이 되는 죽상동맥경화에 대한 독립적 예측인자이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막과 중막 각각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하여는 연구가 잘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B-mode 초음파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내막, 중막, 그리고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의 임상적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44명(평균연령: 57세, 남성: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총경동맥의 영상을 스캐닝 하였다. 그 결과, 죽상동맥경화성 질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내중막(p<0.01) 두께뿐만 아니라 내막(p<0.05) 및 중막(p<0.05)의 두께도 모두 유의하게 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인자 중 고혈압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해 내막(p<0.01), 중막(p<0.001) 및 내중막(p<0.001) 두께 모두가 유의하게 더 두꺼웠고, 흡연을 하는 집단은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내막의 두께만 유의하게 더 두꺼웠다(p<0.01). 내막(r=0.374, p=0.001), 중막(r=0.433, p=0.000) 및 내중막(r=0.479, p=0.000) 두께는 연령과 정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보였다. 두께들간의 공유설명량 ($r^2$) 평가결과는 내중막두께와 중막두께가 $92.4\%$, 내중막두께와 내막두께는 $49.1\%$, 그리고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는 $27.4\%$이었다. 이 결과는 경동맥의 내막과 중막은 서로 다른 생리현상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Prostaglandin F2α 의존적 phospholipase C-β3 활성화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병태생리 조절 연구 (Pathophysiological Regul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Prostaglandin F2α-dependent Activation of Phospholipase C-β3)

  • 강기웅;오준영;이윤한;이혜선;진서연;배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16-1522
    • /
    • 2018
  • 죽상동맥경화는 대동맥의 만성염증에 의해 주로 발병되는 폐쇄동맥질환이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은 죽상동맥경화 발병의 주된 병리적 반응이다.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 발병기전을 유도하는 표적 염증반응 물질의 탐색 및 이들에 의한 신호전달 기전을 연구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은 prostaglandin $F_{2{\alpha}}$ ($PGF_{2{\alpha}}$)에 의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나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에 의해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Prostacyclin $I_2$ ($PGI_2$)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은 촉진시켰으나 이동은 오히려 억제하였다. prostaglandin $D_2$ ($PGD_2$) 및 prostaglandin $E_2$ ($PGE_2$)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으나 이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GF_{2{\alpha}}$는 용량 의존적으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시켰고 EC50는 약 $0.1{\mu}M$로 관찰되었다. 혈관평활근세포에서 phospholipase $C-{\beta}3$ ($PLC-{\beta}3$) 아형의 발현은 매우 높았으나 $PLC-{\beta}1$, $PLC-{\beta}2$, 및 $PLC-{\beta}4$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U73122 처리를 통해 PLC의 활성을 억제하면 $PGF_{2{\alpha}}$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이 억제되었다. 또한 $PLC-{\beta}3$의 발현을 억제하면 $PGF_{2{\alpha}}$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PGF_{2{\alpha}}$ 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여기에는 $PLC-{\beta}3$가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안한다.

고지혈증의 원인과 치료 - 고지혈증과 운동

  • 김영주
    • 월간당뇨
    • /
    • 통권285호
    • /
    • pp.35-40
    • /
    • 2013
  • 최근 몸짱에 대한 열풍은 연예인들이 몇 달간 식이요법과 유산소 운동 그리고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한 자기관리로 멋진 근육을 드러내 보이면서 많은 이들에게 호감을 갖게 한다. 운동의 효과는 전세계적으로 하루에도 수십편의 연구논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현재까지 죽상동맥경화로 인한 심혈관 질환과 뇌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운동은 절대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중 흡연이나, 음주, 비만, 당뇨, 고혈압 외에 증상이 거의 없어 고혈압과 더불어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리우는 고지혈증은 건강검진을 받아보다가 우연하게 발견되기도 한다. 일반인들도 뇌심혈관질환에 위험요인이 위 항목들인 것을 대부분 알고 있지만 운동을 하지 않는 좌업식 생활을 하는 비활동인이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포함된 것은 오래된 일이 아니다. 이번을 기회로 운동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고지혈증과 운동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경동맥 초음파 결과와 임상화학 검사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and Clinical Chemistry Tests)

  • 김대식;성현호;조은경;이종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88-193
    • /
    • 2015
  •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뇌혈관질환과 관상동맥질환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검사이다. 많은 선행논문에 따르면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죽상동맥경화를 예측하고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와 연관성이 높으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인자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혈액검사 중 임상화학적 검사결과와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다른 독립인자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 피험자의 부족으로 인해 심혈관계관련 임상화학적 요인과는 상관관계를 입증하지 못했으나,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ALT (p<0.05), GGT (p<0.05), Uric acid (p<0.05), CEA (p<0.05)와 양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인 유의수준으로 입증하여 지속적인 연구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가진 환자에서 심장 CT의 역할 (The Potential Role of Cardiac CT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이상현;추기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8-41
    • /
    • 2022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 경화반의 갑작스러운 파열과 관련된 3가지 유형의 관상동맥 질환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에서 비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또는 불안정성 협심증 등으로 표현된다. 심장 CT의 기술 발전을 통해 심장 CT는 관상동맥 내 죽상동맥경화반의 정량화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낮은 감쇠의 경화반, 냅킨 반지 표시, 양성 리모델링, 점상 석회화 및 증가된 혈관 주변 지방 감쇠가 심장 CT에서 경화반 파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심장 CT는 관상동맥의 혈관협착정도를 진단하는 것을 넘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진단하는데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해백청혈플러스(AMCP)의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통한 죽상동맥경화 억제 효과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llii Macrostemonis Bulbus Cheonghyeol Plus on the Inhibition of Atherosclerosis)

  • 채인철;유주영;유호룡;김윤식;설인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26-13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ellular adhesion molecules effects of Allii Macrostemonis Bulbus, Artemisiae Capillaris Herba, Curcumae Radix, Crataegi Fructus, Salviae Militiorrhizae Radix complex extract(AMCP) on the inhibition of atherosclerosis in HUVEC. We measur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MCP to evaluate its antioxidant effect. And we also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 of NF-κB, IκBα, ERK, JNK, p38 proteins to evaluate its anti-inflammatory effect. Lastly, we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 of MCP-1, ICAM-1, VCAM-1 mRNA and their level to evaluate its anti-celluar adhesion molecules. AMCP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in HUVEC within the concentraion tested except for a concentration of 400 ㎍/㎖. AMCP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HUVEC as the concentration of AMCP rises. AMCP significantly reduced NF-κB, IκBα, JNK, ERK and p38 protein expression in HUVEC compared to control group. AMCP significantly reduced MCP-1, ICAM-1, VCAM-1 gene expresion in HUVEC compared to control group. AMC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MCP-1, ICAM-1, VCAM-1 in HUVEC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CP has effects on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cellular adhesion molecule, which helps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sis.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 사멸 과정에서 Cathepsin B의 영향 (Cathepsin B Is Implicated in Triglyceride (TG)-Induced Cell Death of Macrophage)

  • 정병출;임재원;김성훈;김윤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45-252
    • /
    • 2020
  • 대식세포사멸은 죽상판 형성에 영향을 미쳐 죽상동맥경화증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성지방 역시 죽상동맥경화 발병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최근 본 연구팀에서는 중성지방이 대식세포사멸을 유발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thepsin B가 중성지방에 의해 유발되는 대식세포사멸 과정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THP-1 대식세포에 중성지방 처리 시 cathepsin B의 발현량에는 변화가 없고 리소좀에 있던 cathepsin B가 세포질로 방출되어 세포질의 cathepsin B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cathepsin B 억제제인 CA-074 Me를 처리 시 중성지방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세포사멸이 일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서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사멸이 caspase-1, -2 및 apoptotic caspase 활성화를 매개로 일어남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caspase 활성 경로와 cathepsin B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cathepsin B 억제시 caspase-7, -8 및 -1의 활성은 억제되었으나, caspase-3, -9 및 -2는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 중성지방에 의해 세포질로 방출된 cathepsin B는 caspase-1 활성화에 기여하고, 활성화된 caspase-1은 외인성 apoptotic caspase 경로를 활성화하여 THP-1 대식세포 사멸을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맥파전도속도(PWV)를 이용한 체질별 죽상동맥경화 위험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therosclerosis Risk Factor and Pulse Wave Velocity(PWV) of Carotid-Femoral Artery With Sasang Constitution)

  • 임은영;이제원;장우석;백경민;전우현;정인권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67-476
    • /
    • 2010
  • Obje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atherosclerosis risk factors and pulse wave velocity (PWV) of carotid-femoral artery with Sasang constitu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WV and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cluding serum cholesterol and homosisteine, hs-CRP. Methods : We enrolled 160 patients without experience strokes who visited our hospital for a medical examination from January 1, 2008 to April 30, 2010 except patients whose body constitutions were undetermined according to QSCCII.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cholesterol values,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BMI), homosistein, hs-CRP and PWV. Pearson's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WV and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Result : Among the 160 subjects, 54 were Taeumin, 54 were Soyangin, and 52 were Soeumin. The prevalences of high BMI (P-value <0.01), high hs-CRP(P-value <0.05), and high PWV(P-value <0.05) of Taeumi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onstitutions. PWV of carotid-femoral arter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onstitutional groups(Taeumin: $8.12{\pm}1.64m/sec$, Soyangin: $7.48{\pm}1.16m/sec$, Soeumin: $7.49{\pm}1.12m/sec$)(P-value <0.05). This research has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average amount of carotid-femoral artery PWV that is higher in Taeumin. Age factor of Taeumin was the effective determinant of the increase of mean PWV of carotid-femoral arteries.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atherosclerosi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This study showed that atherosclerosis was more prevalent in Taeumin. Therefore, according to our results, risk of atherosclerosis was higher in Taeumin than among other constitutions.

LPS에 의해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의 염증반응에 대한 Triacsin C의 효과 (Effect of Triacsin C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3T3-L1 Adipocytes)

  • 박은주;마이클 스펄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83-2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long fatty acyl CoA synthetase의 저해제이며, 죽상동맥경화 억제 및 혈관확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triacsin C의 LPS로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의 염증반응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 ${\mu}M$의 triacsin C를 2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LPS로 유도된 배양액내 IL-6 분비량과 mRNA IL-6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선행연구를 통해 항염증 효능이 입증된 resveratrol(50 ${\mu}M$, 24시간 처리)에 비해서도 배양액으로의 분비된 IL-6의 억제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triacsin C과 resveratrol의 동반상승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riacsin C나 resveratrol은 LPS로 유도된 지방세포의 TLR2, MCP-1, iNOS 유전자 발현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riacsin C 처리 후에 resveratrol을 혼합 처리한 경우 iNOS의 발현은 LPS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향후 triacsin C가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을 어떤 기전으로 억제하는 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지방산 합성 저해제인 triacsin C는 3T3-L1 지방세포에서 IL-6 특이적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triacsin C와 resveratrol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 iNOS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내독소에 의한 지방세포의 염증반응에 대한 triacsin C의 항염증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