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죽산보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coordinated operation technique with weirs in the Yeong-san River for algal bloom reduction (조류저감을 위한 영산강 보의 연계운영 기법 개발 연구)

  • Chong, Sun-A;Yi, Hye-suk;Park, Sang-young;Ko, Chun-ju;Ryu, Kyung-k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78-478
    • /
    • 2016
  • 4대강 다기능 보 건설 이후 보 내에서 발생하는 녹조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댐-보 및 보-보간 연계운영 기법은 수량을 이용하여 대규모 구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조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 승촌보와 죽산보를 대상으로 조류저감을 위한 다기능보 연계 운영 시나리오에 대해 2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조류저감을 위한 가동보 운영방안 수립에 적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뮬레이션 기간은 2014년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남조류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던 시기를 모의기간으로 하였다. 분석시나리오는 최근 낙동강에서 적용된 바 있는 pulse형 방류를 실시하여 수체내에 유속과 난류를 증가시키되 승촌보와 죽산보를 연계하여 순차적인 방류와 담수를 반복하는 형태를 가정하였다. 또한 방류 규모에 따라 수위 저하범위를 0.3~2 m로 차등 적용하여 조류저감 효과를 예측하였다. 예측결과 소수력 발전방류를 이용한 pulse형 방류 연계운영 CASE에서는 최대 승촌보 3.8% 죽산보 8.4%의 저감 효과가 예측되었다. 반면 소수력과 수문방류를 동시에 이용하여 수위 저하범위를 크게 적용하는 CASE에서는 승촌보에서 최대 12.5%, 죽산보 4.7%의 저감율로 방류규모 증가에도 불구하고 죽산보의 저감율은 증가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저수량이 큰 죽산보에서 큰 폭으로 수위를 저하시킬 경우 수위회복 기간이 길어지고 이 시기에 조류가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조류의 발생 규모와 공간적 분포, 보별 유입지류 유입특성과 저수량 등 조류발생에 관련된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major pollution sources on algal blooms in the Seungchon weir and Juksan weir in the Yeongsan River using EFDC (EFDC를 이용한 영산강 주요 오염 부하 저감에 따른 승촌보 및 죽산보 녹조 현상 개선 효과 분석)

  • Kim, Jinsoo;Kim, Jae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5
    • /
    • pp.369-381
    • /
    • 2020
  • In this paper, observed water quality, algal blooms and flow rates in the Yeongsan River and its boundaries including 8 tributaries and 2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or two years of 2018-2019 were analyzed. It seems effects of non-point source load inputs from basin areas to the river may be significant though the field data availability was limited. The EFDC model was calibrated against data collected from 6 water level monitoring stations and 6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respectively, in the study area. Water quality improvement scenarios were developed assuming 50% and 75% reductions of major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reatment plants and tributaries. The developed scenarios were applied to the EFDC model to estimate effects on algal bloom occurrences in the Seungchon weir and Juksan weir. Improvement of the effluent of Gwangju 1 WWTP by 75% did not show any effect on algal blooms for two weir locations. The major tributary affecting algal blooms in the Seungchon weir was the Hwangryong River. The Jisuk stream was found as the most important tributary for the Juksan weir followed by the effect of the Hwangryong River. Though it seems other scattered small nonpoint source load input to the Yeongsan river also seem to be important, it was not possible to reflect their effects appropriately due to field data avail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Eutrophication of Yeongsan River by using the Korea Trophic State Index(TSIKO) (한국형 부영양화지수에 의한 영산강의 부영양화특성)

  • Park, Sung Chun;Oh, Chang Yeol;Kim, Jong O;Lee, U-Beom;Gwak, Pil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3-537
    • /
    • 2017
  • 우리나라는 2012년에 4대강 사업을 통하여 수자원확보를 통한 가뭄대응전략으로 16개의 대형보가 건설되었고 영산강에는 승촌보와 죽산보 2개의 보가 건설되었다. 보의 건설로 흐름은 급격히 감소하여 정체구역의 수역이 확장되면서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녹조현상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국민들은 안전한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에 요구가 점증함에 따라 농업용수질 오염문제가 범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그 중요도 및 심각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다(한강유역환경청, 2007). 많은 량의 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영산강의 녹조현상 및 수질개선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승촌보와 죽산보의 건설과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에 따른 부영양화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2006)에서 개발한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 평가법을 이용하여 영산강유역의 12개 주요지점에 대하여 수집한 자료를 봄(3월~5월), 여름(6월~8월), 가을(9월~11월), 겨울(12월~2월)로 분리하고, 다시 4대강 사업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2013년을 전후하여 분리하였으며, 계절별 수질인자 COD, T-P, Chl-a 값을 이용하여 계절별 $TSI_{Ko}$를 산정하여 영양상태를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부영양화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Fish Distribution, Compositions and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s during Juksan-Weir Construc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영산강 수계에서 죽산보 건설 중의 어류 분포.종 조성 및 군집구조 특성)

  • Ko, Dae-Geun;Choi, Ji-Woong;Lim, Byung Jin;Park, Jong Hwan;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892-90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fish fauna, distribution patterns, and fish community structures in the Juksan-Weir regions of upper weir(R-UW) and lower weir(R-LW), which was constructed in 2011 on Yeongsan River watershed. Our outcomes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the impact analysis of weir constructions next decades, even if the current research is limited to distributions and fauna studies of fishes. The fishes observed were 8 family and 30 species in all the sites, and the number of the species in the regions of R-UW and R-LW was 23(938 individuals) and 27(1,680 individuals), respectively, indicating greater abundance in the lower region of Juksan-Weir. Most dominant species was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with relative abundance of 42%, and this species had greater abundance in the R-LW(49%) than in the R-UW(30%). Coilia nasus, was the migratory fish sampled in this region and had no differences of abundance between the two regions. The extic species observed were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The two formers of Carassius cuvieri(1.2%) and Lepomis macrochirus(3.7%) dominated in the R-UW, whereas Micropterus salmoides had greater dominance in the region of R-LW. According to tolerance guild analysis, the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ranged from 0.4 to 0.5%, and that of tolerant species ranged from 65% to 70%, implying a severe pollution of nutrients and organic matters in the water body. In the mean time, according to trophic guild analysis, the proportion of carnivores(57 - 77%) was evidently higher than that of insectivores(10 - 20%), indicating a dominance of the carnivores. Especially, high abundance of the bass, exotic species, may disturb the fish overall food chain, so the efficient ecosystem management may be required for the conservation of endemic species. When we examined fish data files of last 60 years, the species of Culter brevicauda,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was observed firstly in our research area and the total number was 5 individuals(0.2% of the total). So, this region observed should be conserved as a protection zone and further monitoring studies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Analysis of influence on water quality and harmful algal blooms due to weir gate control in the Nakdong River,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가동보 운영이 수질 및 녹조현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eo, Dongil;Kim, Jaeyoung;Kim, Jin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0
    • /
    • pp.877-887
    • /
    • 2020
  • A 3-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weir gate operations on water quality and harmful algal bloom (HAB) occurrences at selected locations in the Nakdong River,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For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when the gates are left open, annual and summer Chl-a and HABs were decreased at upstream locations, Sejong Weir and Seungchon Weir, but summer average concentrations of Chl-a and HABs were increased at downstream locations, Baekje Weir and Juksan Weir. For the open scenario, the reduced hydraulic residence time in the upper stream area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would allow less available time for nutrient consumption that would result in higher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concentrations followed by higher algal growth in the downstream areas. However, in the case of the Nakdong River, both annual and summer Chl-a and HABs were increased in all locations for the open scenario. This condition seems to be resulted in due to increased light availability by reduced water depths. Changes in Chl-a and HABs occurrences due to the water gate control in the study sites are different due to differences i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in each location.

Study on the Prediction of short-term Algal Bloom in Juksan weir Using the Model Tree (모델트리를 활용한 죽산보 단기조류예측에 관한 연구)

  • Lee, Bo-Mi;Yi, Hye-Suk;Chong, Sun-A;Joo, Yong-Eun;Kim, Ho-Joon;Choi, Kwa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0-450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와 수온상승으로 인한 녹조발생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녹조발생에 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녹조관리를 위하여 모델트리를 활용하여 클로로필-a 단기조류예측 기법을 개발하였다. 대상지역으로 영산강수계의 죽산보를 선정하였으며,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나주 수질자동측정망의 일 단위자료와 동일기간 광주 기상청의 일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상관 분석을 통해 T-N, T-P, N/Pratio와 클로로필-a, 수온, 일사량, 강수량을 독립변수로, 단기(t+1일, t+3일, t+5일, t+7일) 클로로필-a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단기조류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세트는 격일 간격으로 Training, Testing 기간으로 구분하여 적용한 결과, 상관계수는 1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89, Testing 기간에 0.91, 3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74, Testing 기간에 0.68, 5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70, Testing 기간에 0.66, 7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0.63, Testing 기간에 0.62로 나타났다. RMSE(Root Mean Square Error)는 1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13.96, Testing 기간에 12.22, 3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20.03, Testing 기간에 22.14, 5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21.32, Testing 기간에 22.57, 7일 예측 시, Training 기간에 23.52, Testing 기간에 23.45로 나타났다. 예측주기에 따라 모델트리와 회귀식에서 활용한 독립변수는 1일 예측 시, 모델트리는 N/Pratio, 클로로필-a, 회귀식은 클로로필-a로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3일, 5일, 7일 예측 시, 모델트리와 회귀식에 활용된 변수는 같게 나타났다. 클로로필-a, 수온, 일사량은 5일 예측 시 활용된 변수로, 3일 예측 시에는 기상항목인 강수량이, 7일 예측 시에는 수질항목인 T-N, N/Pratio가 추가되었다. 특히 1일 예측 시 일 때, 높은 예측정도와 활용된 변수의 수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예측기간이 길어질수록 예측의 정확성이 낮아지고, 활용된 변수의 수가 많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적정한 예측기간을 판단하고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료취득 및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단기조류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상님의 빛나는 업적따라 우리나라 고유의 옛 셈 법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9 no.7 s.86
    • /
    • pp.41-45
    • /
    • 1976
  • 죽산술은 붓이나 연필 등으로 셈하는 산필이 아니라 산기로써 하는 셈법이다. 우리나라에 지금까지 알려진 옛셈법은 산목셈이나 서산을 이용한 셈이 있었다. 그중 산목셈에 관한 문헌은 1653년 청주도에 표류한 화란인 "하멜"의 기록이나 한말 일인의 기록에 나타난다. 그러나 산목셈의 한 유형로 보이는 죽산술에 대해서는 산가치(죽기)로 셈하는 방법이 있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을뿐 그 산법은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렇게 전혀 파악되지 못햇던 우리나라 고유죽산술이 김선종씨(46세)에 의해서 발표되었다.

  • PDF

Estimation of Discharge using the Modified Slope-Area Discharge Method in Multi Purpose Weir (다기능보의 수정 경사-면적법을 활용한 방류량 추정에 관한 연구)

  • Oh, Ji Hwan;Jang, Suk-Hwan;Oh, Kyoung-Doo;Jo, Jun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0-130
    • /
    • 2017
  • 각 수계의 다기능보는 흐름 통제 단면으로서의 중요한 기능인 정밀한 유량 산정이 가능한 수리구조물이므로 다기능보를 각 유역의 표준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국가 유량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보의 방류량 산정 방법은 보의 설계 당시 수리모형실험과 1차원 수치모의 등의 방법에 의해 산정된 결과를 활용한 것으로 보의 상류 수위만을 고려하여 보의 방류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배수위 영향을 반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량 측정시설로서의 보의 수리적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방류량 산정 방법과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검토하여 보 상하류 수위와 보의 수리적 유량측정 기능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방류량 추정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정 경사-면적법을 새롭게 제안하였으며, 금강의 백제보, 영산강의 승촌보, 죽산보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연구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적용 결과, 기존 방법은 하류 수위에 관계없이 보 상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증가하고, 반대로 하강하게 되면 방류량이 감소하는 등 상류 수위의 패턴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정 경사-면적법을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 상시적으로 변하는 상하류 수위차에 따라 방류량이 변동하여 보다 물리적인 현상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4 major river project on the flood management in Yeongsan-river basin (영산강유역 홍수관리에서 4대강 사업의 효과)

  • Song, Jin Keun;Jung,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1-30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상류 급경사 지역에 있는 유역 내 댐들의 홍수조절용량과 평야지역에 있는 하굿둑의 홍수배제능력이 부족하여 나주시 등 하류부에 홍수피해가 빈번하였다. 영산강에서 4대강 사업의 주요내용은 하도내 퇴적토준설과 홍수조절지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를 통한 홍수방어능력 증대, 다기능 보설치를 통한 용수확보, 하구지역 홍수배제능력 증대 등이었다. 동 사업에서 본류 하천의 홍수위 저감과 내수배제 개선을 위해 담양댐 하류부터 영암천 합류점까지 하도를 준설하고, 담양과 화순홍수조절지, 나주 강변저류지, 승촌보와 죽산보를 건설하고, 하굿둑 배수능력 증대와 농업용 댐 및 저수지들을 증고를 수행하였다. 4대강 사업이 준공된 2012년 이후로 2014년부터 5년간 가뭄이 지속되었고 큰 홍수가 없다가 2020년 8월에 장기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중상류인 광주시와 영산강 하류지역에서 큰 수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설물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의 기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업전·후 수문관측자료와 하천시설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강우 발생 시 수위표 지점별로 계측된 첨두 수위 및 유량자료를 비교하여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 강우를 선정하기 위해 발생된 강우 사상 중 호우특보 발령 기준이상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총 강우량 및 강우의 지속시간, 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유사 규모의 호우를 선정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호우 사상 발생 시 계측된 홍수위와 홍수량 비교 결과 영산강 중·상류부와 중·하류부 수위표 지점(극락교,승용교,나주대교)에서 사업 시행 후 사업 전보다 첨두 수위가 1.36~2.81m 감소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여러 가지 사업들의 복합적인 결과로 영산강유역의 홍수관리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020년 8월7일~8일 발생한 호우에 의해 영산강 본류의 중·상류부와 중·하류부의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는 200년빈도 계획홍수위를 초과한 홍수가 발생하였다. 상시개방과 철거로 처리방안이 결정된 승촌보와 죽산보의 여건을 반영하여 2개보 유무에 따른 홍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홍수위 비교 결과보가 없을 경우 영산강 중·상류부(극락교,승용교)와 중·하류부(나주대교,영산교) 수위표 지점에서 홍수위가 0.01~0.07m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되어 홍수시 보의 영향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상류댐과 저수지, 홍수조절지, 하굿둑, 하천의 연계운영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Reassessment on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nd the Weirs Management (4대강 살리기사업의 재평가와 보의 운용방안)

  • Lee, Jo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4
    • /
    • pp.225-236
    • /
    • 2021
  • The master plan for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June 2009) was devised, the procedure of pre-environmental review (June 2009)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Nov. 2009), and post-environmental impact survey were implemented, and 4 times audits also inspected. and final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Four Rivers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Planning Committee proposed the dismantling or partial dismantling of the five weir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But controversies and conflicts are still ongo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 to re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for the four major rivers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process so f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st-benefit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water quality impact of weir operation and weir opening. Therefore, it is inevitably difficult to conduct cost-benefit analysi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st-benefit analysis on the dismantling of the Geum River and the Yeongsan River, the dismantling of the weir and the regular sluice gate opening was decid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e validity of the decision to dismantle the weir because the cost-benefit analysis for maintaining the weir is not carried out. Third, looking at the change in water quality of 16 weirs before and after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COD and Chl-a were generally deteriorated, and BOD, SS, T-N, and T-P improved. However, in the cost-benefit analysis related to water quality at the time of weir dismantling, only COD items were targeted. Therefore, the cost of BOD, SS, T-N, and T-P items improved after the project were not reflected in the cost-benefit analysis of dismantling weirs, so the water quality benefits were exaggerated. Fourth, in the case of Gongju weir and Juksan weir, most of them are movable weirs, so opening the weir alone can have the same effect as dismantling when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s. Since the same effect can be expected, there is little need to dismantle the weirs. Fifth, in order to respond to frequent droughts and floods, it is desirable to secure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to the drought areas upstream of the four majorrivers by constructing a waterway connected to the weir. At present it is necessary to keep weirs rather than dismantl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