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퇴/복좌 계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Study on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Oleo-Pneumatic Buffer System (유압완충기의 비선형 특성에 관한 연구)

  • 이규섭;최영진;김인성;유원희;박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3-7
    • /
    • 1992
  • 포는 대체로 정확도와 최대 발사거리 및 최대 발사속도 등에 의해 그 성능 이 표현된다. 그 중에서도 최대 발사속도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서 포의 주퇴 복좌 장치의 성능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포의 최대 발사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주퇴복좌 장치의 동특성 해석 능력을 확보하고, 그로부터 주퇴 장치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한편, 주퇴복좌기 의 주퇴특성은 주퇴시 총주퇴저항력이 전주퇴장에 대해서 거의 일정해야만 포신에 전달되는 힘을 최소로 하면서 주퇴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이러 한 설계 개념으로 주퇴복좌기를 설계한다. 그에 따라 주퇴복좌기는 그 내부 가 가변 오리피스 및 조절 로드로 이루어져 주퇴복좌기의 주퇴 저항력을 주 퇴속도 및 주퇴변위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주퇴복좌기는 필연적으로 강한 비선형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주퇴복좌기를 모델링할 때 에 기존에는 주퇴복좌기내의 모든 유체역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이 통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링은 각 요소의 모델링 오차가 누 적될 위험이 있으므로 정확한 모델링을 보장할 수 없으며, 매우 복잡한 과정 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퇴 완충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 험에 따른 계의 파라미터 예측을 통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을 시도하여 보았 다.

  • PDF

Digital Control of Automatic Gun Systems Incorporating an Intermittently Rotating Chamber (간헐 회전식 약실을 적응한 자동포 시스템의 디지털 제어)

  • Lim, S.C.;Kim, K.K.;Shim, J.S.;Kil, S.J.;Kim, H.C.;Lee, G.H.;Cha, G.U.;Cho, C.K.;Hong, S.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0 no.2
    • /
    • pp.126-133
    • /
    • 2007
  • Lately, there exist growing demands to increase the firepower of mid-calibre automatic guns despite spatial limitations of armament. In this context, ammunitions of simple cylindrical shape are considered so advantageous that associated automatic guns are under development incorporating an intermittently rotating chamber mechanism. In this paper, relevant subsystems for such guns are to be described, and a digital controller to automate the entire system as well. Via dynamic simulations it proves to function well being able to drive the chamber at any constant speed up to 200spm, which is merely limited by the recoil performance. It is remarkable that the system synchronization idea in use is applicable to any other multi-actuator systems that should operate on the basis of event rather than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