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택욕실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haracteristics of Bathroom Plumbing System Noise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욕실 급배수설비 소음특성 -급수압 및 사용수량을 중심으로-)

  • 정광용;이태강;김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277-28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욕실에 설비되어 있는 기기들을 대상으로, 급수압.토수량.배수량 등의 작동조건을 변화시켜가며 그에 따른 발생소음의 특성을 분석.평가하여, 급배수설비소음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욕실 층상 이중배관 시스템 개발-(주)청완산업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1 s.208
    • /
    • pp.78-82
    • /
    • 2007
  • 내년 1월부터 2,0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주는 입주자 모집공고안에 주택에 대한 성능등급(주택의 소음, 구조, 환경, 생활환경 등급, 평가 항목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을 미리 표시해야 한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는 성능등급을 받은 자재를 선호할 것으로 보여져 성능등급을 받은 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전망이다. (주)청완산업이 새로 개발한 Double Up System은 화장실 소음 1등급과 구조부문 수리용이성 1등급을 획득, 건설업계의 러브콜이 예상된다. 또한 욕실 배관을 층상배관으로 시공 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과 함께 소음걱정 해소, 쾌적한 환경 및 다양한 인테리어가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Residents′ Remodeling Preference Factors and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Residential Bathroom (주택 욕실의 리모델링 선호요인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김남효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29
    • /
    • pp.249-2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Projects of residential bathroom remodeling according to contemporary life style.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a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adult resident who live in Seoul Korea. Four hundred ten cases are collected, and frequencies, percentile, crosstabs, and factor analysis and varianc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analyze adequate cases in necessary condition. In this study, residents demographic informations, bathroom preferences, types, sizes, cost construction period, instruments needs, behaviors and facilities seperation are included. By statistics treatment, the significance of the data is analyzed.

  • PDF

An American/Korean Older Consumers' Perceptions of Universally Designed Bathing Fixtures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에 대한 미국/한국 노인소비자 견해)

  • Shin, Kyoung-Joo;White, Betty-Jo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49-163
    • /
    • 2000
  • 노인소비자들은 나이와 함께 기능적인 능력이 감퇴하면서 주택내의 환경이 그들의 한계와 장애를 보완해 줄 수 있게 좀 더 지원적이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노인그룹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며, 편리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으로 개발 된 혁신적인 욕실용품들, 즉 높이가 조절되어 앉거나 서서 사용하는 장점 등을 갖춘 세면대와 높이조절이 되는 이동식 샤워기가 장착된 걸어서 들어가며, 접이식 의자가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 욕조에 대한 소비자 의견의 검토이다. 피험자는 미국에 사는 미국노인과 한국노인(50세이상-79세까지)으로 합계 58명이었다. 실험장소는 미국서부소도시 대학의 유니버셜 디자인 연구실로, 이 대학의 협력으로 이곳에 장착된 신개발 설비를 이용하였다. 실험시기는 1997년 5월부터 11월 사이(봄, 가을)로 소비자 의견조사는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피험자 거주주택의 욕실환경, 피험자의 목욕방법, 건강과 안전, 새로운 욕실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 등이 조사되었다. 2단계는 실제로 선정 된 욕실설비의 사용실험으로 피험자가 옷입은 상태에서 목욕을 가정하여 선택된 설비의 사용동작을 하면서(비디오 촬영) 조사자의 조사표에 의한 질문에 답하였다. 3단게는 2단계의 사용실험 후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의 가정 내 도입의사 등의 조사를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3단계의 소비자 의견조사 및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미국거주 미국노인과 한국노인의 비교에서 한국노인의 평균 신장이 3cm정도 작았고, 2개이상의 욕실을 가진 비율과 학벌, 독신거주비율은 미국노인이 다소 높았고, 욕조 소유율은 한국노인이 높았다. 2) 새로운 욕실 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미국과 한국노인 모두 유니버셜 디자인된 새 설비의 장점을 인정하였다. 욕조와 세면조가 매력적이라 평하였고 샤워조작기가 색상구분으로 도운물과 찬물인지가 편하며, 접이식 의자가 유용하며, 문 달린 욕조의 안전 손잡이와 욕조가장자리를 잡고 안전하게 출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욕조길이와 높이에서 두 나라간에 차가 있어 앞으로 치수에 대한 것이 연구과제로 지적되었다. 3) 욕실 설비 개발 시 유니버셜 디자인 용품에 요구되는 목표는 안전하게 쓸 수 있고, 가령에 따른 신체장애요소가 커버되어 스스로 사용가능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지않는 것이어야 하겠다. 4)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표준치수의 현 욕조위치에 장착이 가능하여 앞으로 현 주택에의 교체가 가능하였다. 5)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인체치수와 문화가 다른 두 나라 노인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앞으로의 국제적 보급이 기대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택의 욕실계획)

  • 권오정;하해화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3
    • /
    • pp.131-144
    • /
    • 2004
  • The Universal Design(UD) is a recent issue related to preserve human dignity, equality and human settlements. This study is aimed at describing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residential bathrooms and in identifying the awareness and needs of adapting the UD concept for residential bathrooms. 570 persons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were used as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wareness of the UD was very low, but that their needs for adapting the UD concept was relatively high.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he UD, followed by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ree types of specific design considerations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were suggested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UD.

A Study on Design Guidelines of the Bathroom in House for the Disabled - Focused on the Disabled of Hemiplegia after a Stroke - (장애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욕실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 뇌졸중 이후의 편마비 장애인을 중심으로 -)

  • Lee, Chun-Yeop;Song, Ji-Wo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6 no.3 s.62
    • /
    • pp.76-84
    • /
    • 2007
  • The interior designs and architectures are definitely important to the disabled because it could improve their independence considerably. Although the design is meaningless if for each disabled's symptom is not considering, the research on design to support detail symptom of each disabled is insufficient. This paper studies the bathroom in house for the disabled of hemiplegia after a stroke. The bathrooms is important space that cause many unnecessary activities and accidents without carefulness. Study method makes framework through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and feature of hemiplegia after a stroke. We visit three places where the disabled live in and used qualitative analysis. After check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bathroom, a request and necessity of the disabled through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obstruction factors were increased when the disabled try to use both hands or to reach and pick up objects, to move and to assist the severe disabled in the bathroo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design guidelines based on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and factors for better bathroom design for th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