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택밀도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valuating Explanatory Power of Solar Intensity as Determining Factor of Housing Density in Intermontane Basin (산간분지에서 주택밀도의 결정인자로서 태양광도의 영향력 평가)

  • Um, Jung-Su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6
    • /
    • pp.689-706
    • /
    • 2009
  • It is usual to prioritize the spatial variables that influence housing location by a few specialist's experienced knowledge or intuition.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to evaluate the spatially prioritized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density and seasonal solar intensity parameters for a total of 134 house locations. Solar radiation and duration of sunshine on winter solstice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house density located in intermontane basin. In contrast to the typical theory, elevation, slope and accessibility to road were not a dominant determining factor upon the dependent variable of house density. A clear verification has been made for the hidden assumptions for the arrangement of typical Korean housing in intermontane basin that its approach i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in avoiding shadow conditions, rather than exploring the ideal landform location.

  • PDF

Methodology of Constructing spatial information for Risk Assessment (재난리스크 평가를 위한 리스크 요인의 공간정보화 방안)

  • Lee, Jae Joon;Yun, Hong Sik;Kim, Tae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400-401
    • /
    • 2016
  • 본 논문은 재난 리스크 평가를 위한 집계구 통계자료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구통계자료, 주택통계자료, 전국사업체 자료는 재난취약성분석과 리스크 평가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재난의 분석과 평가를 위하여 GIS에 구축하는 자료로는 인구의 총인구, 평균나이, 인구밀도, 노령화지수, 교육수준 등이 있다. 이 자료들을 공간정보로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넓은 수준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인구와 관련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집계구 통계 자료는 주택의 건축년도와, 주택의 유형(다세대, 아파트, 연립, 영업용건물주택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는 건물의 경제적 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선정된 지역의 사업체를 분류하여 각 폴리곤의 주요 사업체를 조사하여 공간정보를 구축함. 구축된 공간정보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판단된다.

  • PDF

공동주택에 있어서 중앙식과 개별식 가스난방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홍도유
    • 월간 기계설비
    • /
    • s.43
    • /
    • pp.76-82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도시공해 방지를 위해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거주자의 생활 수준이나 단지의 밀도 및 난방부하 설정 등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소규모 고층아파트(공동주택)의 난방방식중 중앙난방 방식과 개별난방 방식의 초기 시설비, 연료비, 시설 관리비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난방 시스템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전체 공사비(초기투자비)는 개별난방 방식이 중앙난방 방식 보다 약2$\%$정도 절감 되었다. 난방비와 시설관리에 따른 인건비 면에서도 난방의 경우 개별난방 방식이 중앙 난방방식에 비하여 난방과 하절기 운수만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 개별난방방식이 중앙난방방식보다 난방비가 9$\%$정도 더 들었으며, 시설관리 인건비 면에서는 중앙 난방 방식보다 개별난방 방식이 66.7$\%$ 적게 들었다. 전체적으로 중앙난방 방식보다 개별난방 방식이 초기투자비 및 유지관리 면에서 경제성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본지에서는 삼익건설 기획관리부 홍도유 과장이 $\ulcorner$공동주택에 있어서 중앙식과 개별식 가스난방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lrcorner$ 자료를 지난 1월호엔 지면관계로 게재하지 못했음을 알려 드린다.

  • PDF

공동주택에 있어서 중앙식과 개별식 가스난방의 경제적 특성

  • 홍도유
    • 월간 기계설비
    • /
    • s.44
    • /
    • pp.90-101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도시공해 방지를 위해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거주자의 생활 수준이나 단지의 밀도 및 난방부하 설정 등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소규모 고층아파트(공동주택)의 난방방식중 중앙난방 방식과 개별난방 방식의 초기 시설비, 연료비, 시설 관리비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난방 시스템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전체 공사비(초기투자비)는 개별난방 방식이 중앙난방 방식 보다 약2$\%$정도 절감 되었다. 난방비와 시설관리에 따른 인건비 면에서도 난방의 경우 개별난방 방식이 중앙 난방방식에 비하여 난방과 하절기 운수만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 개별난방방식이 중앙난방방식보다 난방비가 9$\%$정도 더 들었으며, 시설관리 인건비 면에서는 중앙 난방 방식보다 개별난방 방식이 66.7$\%$ 적게 들었다. 전체적으로 중앙난방 방식보다 개별난방 방식이 초기투자비 및 유지관리 면에서 경제성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본지에서는 삼익건설 기획관리부 홍도유 과장이 $\ulcorner$공동주택에 있어서 중앙식과 개별식 가스난방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lrcorner$ 자료를 이번 3월호를 끝으로 게재한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성능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이용재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75-83
    • /
    • 2001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evacuation planning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evacuation of occupants on fire event. However the present evacuation planning and regulation for fire safety usually tend to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based on the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The ultimate goal of the evacuation planning is evacuate occupants rapidly from building fires to the safe areas. In this study, First, analyzed occupants load density and occupants characteristics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Second, A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was analyzed with various typical floor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nd improve countermeasure through comparative study on the Evacuation regulation and floor plans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 PD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Fire Doors for Evacuation Space and Common Areas in Apartment Housing (공동주택 대피공간·공용부 방화문 구조 및 성능에 관한 통계적 분석)

  • Shim, Han-Young;Park, Won-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2 no.3
    • /
    • pp.239-249
    • /
    • 2022
  •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design of fire door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nd support the rapid evacuation of apartment buildings. In this study, a database using 182 evacuation spaces and 308 common areas that passed the fire performance test was established, and fire door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structure(12 elements) of the fire door. As a result, the effects of fire-resisting filler density, adhesive, and foam gasket were confirmed for evacuation space, and the effects of fire-resisting filler, adhesive, and fire fins were confirmed for common areas. In the fire door fire resistance test, flames and cracks were analyzed as the most frequent failure factors.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on Internal Population Mig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도시유형별 내부 인구이동 영향요인 분석)

  • Kim, Sang-Won;Lee, Hoon-R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737-744
    • /
    • 2016
  •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changed by fierce internal migration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o determine the regional structure, we analyzed the in-and-out migration pattern and main factors affecting the intense of mobility. The migration within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 shows that in Seoul, Songpa and Dobong Gu gained a large population, in Incheon, Namdong Gu experienced a huge population influx, and in Gyeonggi Province, Hwasung, Yongin and Paju city gained a great population. In Seongnam, Suwon city lost a lot of population. These population gains and losses came from mainly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s in the metropolitan city and new land development projects in Gyeonggi Provinc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intense of mobility diverse from city characters. In central type cities, house price gets the more population influx. In job-housing balanced cities, total income growth rate, housing supply rate and roads cause in-migration. In bed-town type cities, the increase of housing supply rate and parks increase the population. In suburban type cities, business density, housing supply rate, housing, subway station number and educational facilities increase population from outside the city. So, we have to prepare more detailed urban and housing policy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