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면적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3초

원단위를 활용한 공동주택의 건설폐기물 산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사례분석 (A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Compu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for an Apartment by Using the Estimating Waste Units)

  • 김창학;김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07-614
    • /
    • 2012
  •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해체산업은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생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주택건립 및 기존주택현황을 고려할 때 해체시장의 규모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해체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러한 폐기물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의 개발이 미흡하고, 또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등의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원단위를 개발하였다. 본 원단위는 공동주택의 도면을 실측 분석하여 원단위를 산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회귀모형은 공동주택의 바닥면적 및 세대수를 근거로 22개 폐기물을 비교적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모형은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 등에서 발생 가능한 폐기물을 정확하고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체물량의 정확한 산정과 예측은 건설폐기물관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주택단지의 주차장 유형에 따른 식재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according to Parking Lots Type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 홍성래;정대영;심상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49
    • /
    • 2009
  • 1985년과 1997년 차량등록대수가 각각 100만대와 1,000만대를 돌파하면서 주로 지상에 설치되었던 공동주택의 주차장이 지하에 설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식재설계도 많은 변화가 뒤따랐다.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 위치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주차장 설치기준을 지상형, 지상 지하혼합형 그리고 지하형으로 구분하여 식재설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대당 주차율은 지상형에 비해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기 시작한 지상 지하혼합형에서 2배 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지하주차장 설치비율이 매우 높아진 지하형으로 바뀌면서 세대당 1대 이상을 주차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녹지율은 지상형에서 지상 지하 혼합형으로 바뀌면서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전용면적당 녹지율은 오히려 감소하여 녹지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0년도 이후에 건설된 공동주택의 주차장은 대부분 지하에 조성되어 녹지면적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재설계에 사용되는 수종은 병충해에 약하고 혐오감을 줄 수 있는 수종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며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수종이 많이 식재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상록수의 식재는 공동주택 건설 초기에 많이 식재되었던 향나무는 점차 줄어들고, 소나무의 식재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였다. 2000년 이후에 건설된 지하형 공동주택에서부터 식재되기 시작한 초화류는 꽃을 감상할 수 있고, 화려한 외형적 특징으로 앞으로의 사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한옥주거단지 사업모델구상 및 타당성 분석 (The Business Model &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an-Ok Residential Housing Block)

  • 최상희;송기욱;박신원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453-461
    • /
    • 2011
  • 주택에 대한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최근 한옥주택 및 한옥주거단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 한옥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한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등에서도 한옥주택과 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H가 공급하는 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와 특성화용지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옥의 잠재적 수요계층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도출하고 사업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여 향후 사업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에 검토되었던 고급형 타운하우스 형태의 한옥주거단지는 입지선정, 수요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사업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등을 바탕으로 계획규모변경, 용도혼합, 필지세분화등의 방법을 통해 사업유형을 6가지로 설정하였다. 사업모델 중에서 가장 사업성이 높은 유형은 블록형 집합주택으로, 이는 규모의 경제법칙(Ecnomy of Scale)에 따른 건축연면적의 증가가 분양수입의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규모 한옥과 근생시설이 결합한 공동주택 모델의 타당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블록형 집합주택과 같은 동일한 사업조건을 적용한다면, 한스타일 공동주택의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 블록형 단독주택지내 고급주택 모델은 민간부문이 일반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유형으로서, 1호당 건설비용이 9.1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주거단지 사업성 제고를 위해서는 입지선정, 수요계층의 다양화, 주택규모의 적정화, 용도혼합등을 통한 집합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독주택용지에 한옥주택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필지계획의 조정과 분할이 필요하며, 한옥형 용지등의 공급을 통해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도 제안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택지개발방식에서 벗어나 기초인프라(간선도로 및 상하수도)외에 조성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토지인 원형지(原形地) 공급을 통한 개발방식도 검토할 수 있으며, 한옥의 지붕 및 가구구조상 1~2층 이상의 건축이 불가능하므로 경사지 형태를 갖는 원형지 공급방식의 단지조성이 토지비절감, 경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적합한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격자형 건물 일반화가 도시 주거지 빗물 유출경로의 연속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ilding Generalization in a Lattice Cell Form on the Spatial Connectivity of Overland Storm Waterways in an Urban Residential Area)

  • 전가영;하성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51
    • /
    • 2017
  • 도시표면의 건물정보는 빗물의 유출경로이며 또한 격자기반의 수치해석을 위한 빗물흐름과 건물 외곽을 구분하는 경계조건에 해당한다. 경계조건인 건물자료의 왜곡 최소화는 수치해석 결과의 사실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 과정이다. 격자기반의 래스터 전환은 건물자료의 왜곡을 유발하기 때문에 왜곡의 정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전처리로 건물 일반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 일반화가 일반주거지역의 빗물 유출경로 연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적정한 일반화 임계값과 수치해석 격자크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빗물 유출경로 연결성 평가를 위한 설명변수로는 일반화 임계값과 수치계산 격자크기를 사용하는 한편 종속변수로는 격자망의 단절 개수와 단절면적을 사용했다. 적정한 격자크기와 일반화 임계값 선정은 임의 격자크기와 임계값을 적용한 일반화 결과로부터 산출된 건물 면적 변화율과 단절 면적 변화율 각각을 비교하고 크기가 가장 낮은 것으로 하였다. 적정 임계값과 격자크기 범위는 각각 3m와 $5{\times}5m{\sim}10{\times}10m$ 이었다. 이를 적용한 결과 건물면적 증가율은 5%이하 그리고 단절면적 감소율은 94.4%이상이었다. 대상지 토지용도를 구분한 건물 일반화 모의 결과, 아파트 단지인 3종의 건물면적과 빗물 유출경로 연결성은 임계값 10m이하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한편 개별 주택인 2종 지역에서는 임계값 3m와 격자크기 $5{\times}5m$을 적용한 모의결과는 단절면적의 감소와 양호한 유출경로 연결성을 보였다.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 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s for Parking Units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Condominium Apartments-)

  • 권성대;고동봉;박제진;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549-559
    • /
    • 2014
  • 도시의 급격한 팽창과 함께 주택부족 현상이 나타나게 되자, 정부는 주택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하여 주택보급을 확대시켰다. 이러한 현상으로, 공동주택은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83%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그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아파트의 경우 입주민들의 승용차 보유 증가에 따른 아파트 단지 내 주차공간 부족문제 등 제반 주차 관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주차계획대수 수립 시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수요예측 중 전용면적을 고려한 주차원단위 산정 방법은 기존 계획보다 세대수는 증가하여도 전용면적이 작아지면 계획주차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현실적인 주차원단위 산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현실에 적합한 주차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한다.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득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주차수요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선정을 통해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조사된 아파트 주차원단위 자료를 통해 기존 교통영향평가의 주차원단위 산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주차원단위 산정모형은 주차장법 기준 정립은 물론 보다 현실적인 주차수요예측 수행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주택 다용도실 공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95년부터 2005년 사이의 입주 완료된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Utility Room in Korean Apartment Housing - Focusing on the Residential Apartments built between 1995 and 2005 -)

  • 최영은;윤정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9-172
    • /
    • 2006
  • Korean Apartment Housing, which has been built up for short-time, represents as popular housing reflecting our unique cultural background, and recently the utility room in apartment housing has been changed to accept residents' needs, focusing on their improving life styles. At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tility room between 1995 and 2005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change of the utility space in Korean Apartment Housing. For this, this research investigated 176 samples, collected in 'Apartment Encyclopedia(2004)'.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s the utility room gets bigger, the size and the ratio to the whole unit area are increased, however the ratio in small area is bigger than the ratio in other area. 2) According to time, the utility room tends to increase the size and the ratio to the whole unit area, and the Increasing tendency appears distinctively after 2002. 3) The utility room used to be located with rear balcony area, however, now it appears to be planned Independently with its unique function. 4) Currently, Second-Kitchen start to plan in the apartment housing.

  • PDF

임대주택 부지의 면적확보를 위한 학교시설 및 공공시설 부지내의 복합화사업과의 연계방안 연구 - 평택시의 사례를 바탕으로 - (A Study of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Work of School Building and Public Facilities Compound and Rental Housing in the Neighborhood for Securing Rental Housing Site - The Case Study of the City of Pyeong Taek -)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15권4호
    • /
    • pp.38-47
    • /
    • 2008
  • The idea that a school could take a role of educating each community personnel as well as students and the school building could be a center in a community is discussed in this paper. Also, as rental housings being included in the community and placed near school buildings, school facilities can be shared and cover the shortag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us urban social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social and cultural facilities, and rental housings should be planned as a bundled schem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suitability of building a complex of school, gymnasium, cultural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in school sites, and building rental housing in public building sites, such as cultural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gymnasium sites in the City of Pyeong Teak. It is found that this assumption can be proved when building a public school of 6 to 7 story or a rental apartment with a floor area ratio of 150% - 200%.

최근 분양된 공동주택의 전용면적 규모에 따른 가사작업공간 계획특성 (Characteristics of Kitchen and Utility Space Plan in Recently Supplied Apartment Housing)

  • 한정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135-147
    • /
    • 2008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pati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itchen and utility space plan in apartment housing. For this purpose, spatial arrangement and function of kitchen and utility spac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ize of apartment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spatial separation among living room, dining room, and bedroom is higher in large-sized apartment. And diverse plans were applied for the kitchen of large-sized apartment. 2) To find ou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itchen space, furniture arrangement was analyzed. The I-type kitchen furniture is dominant for small-sized and medium-small apartment, and L-type furniture for medium-large and large sized apartment. 3) For most of the unit plans utility space is located on the balcony outside the kitchen. 4) Sub-kitchen and laundry are major function of utility space, but in case of balcony extention, the function of utility space is minimized. Recent plans for apartment housing shows various spatial arrangement and functions for kitchen and utility space.

공동주택의 부부 전용공간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Master-Zone Planning in the Apartment Building)

  • 박소윤;이경아;이현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9-19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ce composition and size of the Master Zone in the apartment unit plan. For this, we analyzed 435 samples by searching web-sites of the 5 main construction compani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aster Zone is organized 4 spaces such as main room, bathroom and make-up & dress room. Six types of Master Zone are classified with the composition of 4 spaces. 2) The size of the Master Zone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quare meter. But the range of the ratio is small range of fluctuation as 20%${\sim}$30%. 3)The size and ratio of the each spaces of the Master Zone are analyzed. The size of bedroom is increased but the ratio is decreased. The size of bathroom is increased but the ratio is regular as 4%${\sim}$5%. The size of make-up and dressing room is generally increased but the range of the size and ratio is the most extensive. Through this analysis and research, this study would be provied the basic data for actual housing planning and to contribute to future trends of apartment houses.

  • PDF

거주자의 다양성 수용을 위한 가변형 공동주택의 Support와 Infill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전용면적 126.6 m$^2$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pport and Infill System of Flexible Housing Units in Apartment Houses for Meeting the Residents' Variety - Focused on 126.6m$^2$-Sized Apartment in Busan -)

  • 김민경;오찬옥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upport and Infill system for 126.6m$^2$-sized housing unit which meets residents' variety. The subjects were 100 housewives who lived in 126.6m$^2$-sized housing unit in the apartment complex,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model and questionnaire. The model was made to be same as the current 126.6m$^2$-sized floor plan. The residents preferred the flexible housing unit apartment complex. Also, the residents' needs for floor plan of housing unit were variou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flexible housing unit is need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support and infill system for 126.6m$^2$-sized housing unit was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