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디자인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26초

고객 가치를 바탕으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기업 동부건설 고객 중심의 차별화된 명품 디자인 설계로 주택 업계 선도

  • 김혜영
    • 주택과사람들
    • /
    • 제6호통권217호
    • /
    • pp.70-73
    • /
    • 2008
  • 독특한 설계와 디자인으로 주택 업계에서 명성을 쌓아온 동부건설이 올해도 활발한 활동을 선보인다. 특히 최고의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는 흑석 뉴타운과 용산, 인천 귤현 등 서울.수도권 지역에 최고급 디자인의 아파트를 공급할 계획이라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PDF

분양가 상한제, 디자인으로 극복한다

  • 하유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4호
    • /
    • pp.82-85
    • /
    • 2007
  • 아파트 시장에서 '디자인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브랜드 알리기에 주력하던 건설사들이 이제 디자인 특화를 통해 고객 확보 전략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아파트 외관 디자인 경쟁은 브랜드도 알리고 디자인 혁신을 통한 차별화도 도모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

  • PDF

주택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공주택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through Trend Analysis in Housing)

  • 권혁삼;윤영호;김유정;박광재;조성학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1호
    • /
    • pp.45-58
    • /
    • 2012
  • 본 연구는 주택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공공주택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구 가구 변화, 사회 변화, 정책 제도 변화, 기술 변화 등의 주택 트렌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공공주택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앞으로 공공주택이 추구해야 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 사회는 인구성장률이 둔화되고 가구분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소득수준의 증가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지역별로 주거수요가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중 소형 주택공급과 소규모 개발이 확대되고 있으며, IT와 녹색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주택 트렌드는 '수치제어에서 성능중심'으로, '중앙주도에서 지역중심'으로, '단위세대에서 도시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행 공공주택 디자인은 최근의 주택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으나, 주동수를 줄이고 중앙광장을 가운데 두면서 통경을 확보하는 계획경향이 대부분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입지특성과 주거요구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앞으로 공공주택 디자인 과정에서 입지특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주택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기본방향을 '수요변화 대응', '입지특성 반영', '지역사회 연계', '녹색환경 구현', '주거성능 확보'의 5가지로 제시하였다.

2008서울리빙디자인페어-예술, 문화,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신 주거 트렌드

  • 하유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15호
    • /
    • pp.82-85
    • /
    • 2008
  • 감각적인 인테리어와 디자인을 느낄 수 있는 '2008서울리빙디자인페어'가 지난 3월 20일부터 24일까지 COEX 태평양 홀과 인도양 홀, 대서양 홀에서 열렸다. 인테리어의 최신 경향에서부터 세계적 디자인 거장들의 작품들까지 총망라한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서는 최근의 주거 트렌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중국 공동주택의 범죄 예방을 위한 디자인과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Prevention Design and Consumer Perception (CPTED) of Multi-Family Housing in China)

  • 콩더신;이동훈;박해림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63-76
    • /
    • 2024
  • 공동주택은 사람들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중요한 장소이자 소통 공간으로서 그 주거 환경의 좋고 나쁨이 주민의 행복감과 안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CPTED)이 필요하다. 하지만, 중국의 범죄 관련 데이터를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어 중국의 학자들은 정확한 범죄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범죄예방 측면에서 범죄예방디자인의 이론 구축과 적용이 늦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각 요소의 중요도,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개선 방안 등 세 가지 측면을 연구하여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 원칙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공공의 안전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주택 소비자의 범죄예방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 보고서와 선행문헌을 통해 중국 범죄예방디자인의 현황 및 개발 동향을 조사했다. 또한, 중국 소비자의 공동주택에 대한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과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각 요소의 중요도 와 인식개선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기반한 설문 조사와 통계 패키지인 SPSS의 신뢰도 분석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의 인지 상황, 각 요소의 중요도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실제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범죄예방디자인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안전 솔루션을 도입하고 주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정보 확산을 통해 지역사회의 안전을 촉진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인식도와 각 요소의 중요도 및 개선 방안은 향후 중국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유토피아-이상에서 현실로

  • 김혜영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22호
    • /
    • pp.88-89
    • /
    • 2008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공간의 합리성과 효율성에 집중하면서 20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생활 양식을 제시하고자 건축가와 예술가들이 손잡고 디자인 혁명을 일으켰다. 당시의 혁신적인 디자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를 소개한다.

  • PDF

미국 콜로니알 주택과 실내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tyle of American Colonial Housing)

  • 김정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1-268
    • /
    • 2004
  • 지금까지 미국의 주택은 주로 현대 양식에 대해서 알려져 있고 전통적 주택과 실내 양식에 대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미국의 전통적 주택인 콜로니알 시대 주택의 표현 특징과 실내의 요소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콜로니알 양식을 규명하고자 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디자인과 제작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콜로니알 주택은 영국의 죠지안 주택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기보다 미국적 기후와 지역 특성에 조화하는 방식으로 정립되었으며 주택과 실내의 많은 요소가 유사한 표현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탕에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디자인이 배경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택의 발전은 오랜 시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상자형의 2층 목조의 측면 박공 지붕 형태에 비늘판벽 마감을 하였으며 전면의 가장 중요한 장식 요소로는 현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은 일실에서 2실과 4실 구조로 발전하였고 실내는 초기에는 바닥, 벽, 천장이 모두 나무를 주재료로 하는 방식에서 점차 죠지안의 영향으로 패널, 벽지를 사용하였고 벽난로가 있는 면을 제외하고 플라스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가구는 영국 영향의 치펜데일, 퀸 앤의 의자가 대표적이었으나 지방 특색이나 종교적 영향에 의해 등장한 소박한 형태의 가구가 배치되었으며 영국 영향의 가구에도 융통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디자인이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자에 담긴 시대 정신에 관하여

  • 유소라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1호
    • /
    • pp.34-35
    • /
    • 2006
  • 디자인을 보면 그 시대의 사회적 · 문화적 배경을 읽을 수 있다. 시립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위대한 의자, 20세기의 디자인: 100 Years, 100 Chairs>은 그 사실에 주지한 전시, 연대기별로 전시해놓은 각 100개의 의자는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 그리고 과학을 담고 있다.

  • PDF

주요 접근가능한 주택디자인이 노년층의 이동장애와 주거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미국 사례 연구 - (The Role of Key Housing Access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ity Disabi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eniors - A Case Study of the United States -)

  • 권현주;황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98-105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housing accessibi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disabi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eniors. Also, it identified people who are at greatest risk of mobility disability and living in homes without housing accessibility. We analyzed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data with a sample of 20,089 households aged 55 and over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Results show that although residential satisfaction decreased as mobility became more disabled, the key housing accessibility features were significant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mobility disa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niors who were Black, low-income, housing-costs burden and renters in older housing in an urban area were more likely to have mobility limitations but fewer housing accessibility features.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ing accessibilit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much greater for seniors with greater mobility disability. For vulnerable seniors living in an old single-family home, housing policymakers or local communities should consider home modification programs and services after evaluating housing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