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위환경

Search Result 909, Processing Time 0.05 seconds

Color Reproduction in CRT Monitor Considered Effect of Ambient Light (주위 광원의 영향을 고려한 모니터 상의 색 재현)

  • 김용기;김정엽;김희수;하영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411-414
    • /
    • 2000
  • 우리가 일반적으로 모니터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주로 백열등이나 형광등의 조명을 켠 상태에서 하게된다 이런 경우 모니터 상의 동일한 색도는 주위 조명이 바뀜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며 특히 주위 조명의 색도와 모니터의 색도가 틀린 경우는 더욱더 다르게 느껴진다[1]~[3]. 이 논문에서는 우리가 생활하는 일반 환경인 백열등이나 형광등 아래의 모니터 상에 영상을 재현 시 주위 조명의 영향을 고려한 색 재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임의의 환경에서 사람의 색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장면에 존재하는 조명의 색 특성과 물체의 색 특성에 의존한다. 단순한 물체의 표면 반사가 아닌 모니터 등의 조명 역할을 하는 표면이 존재하는 경우는 두 개 이상의 조명이 있는 형태이다. 두개 이상의 조명이 존재하는 경우, 사람들이 느끼는 백색점(white point)은 각 조명의 색도 벡터(chromaticity vector)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 환경에서 사람이 인식하는 백색점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주위 환경이 백색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모니터 상의 색 재현시 주위 조명의 영향을 주위 조명에 의해 생성되는 모니터 표면의 경면 반사(specular reflection)에 의한 영향과 인간 시각의 색 순응(color adaptation) 백색점의 변화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PDF

The Extraction of Vehicle Number Components Using Adaptive Neural Network (적응성 신경회로망 기법을 이용한 차량 일련번호 추출)

  • 제성관;강이철;차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9-142
    • /
    • 2000
  • 자동차 번호판 일련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차량이미지는 예상치 못할 정도로 복합적인 문제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번호판 주위환경에서의 다양한 조건에 따른 적응성을 가지고 빠근 추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 일련번호 추출에 관한 연구로서, 레이블링기법과 적응성 신경망을 활성화시켜 일련번호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므로써 자동차 번호판 주위환경의 다양한 조건과 복합적 문제를 빠른 시간에 적응하여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Basic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enclosed space. (밀폐공간의 최적설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오재응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7.11a
    • /
    • pp.40-44
    • /
    • 1987
  • 현대사회의 복잡한 생활환경과 더불어 주위의 밀폐공간에서 발생한 소음은 인접한 환경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밀폐공간의 음향특성을 연구하고, 또한 밀폐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원이 주위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폐공간의 크기를 연구하였다. 연구한 결과,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우리가 주목해야할 주파수의 모우드 분포를 고려하여 최적한 크기를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ing a Dynamic Selection Algorithm in Multiple Cameras (다중 카메라의 동적인 선택 알고리즘 개발)

  • Jang, Seok-Woo;Choi, Hyun-Jun;Lee, Su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223-22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가 여러 개 존재하는 다중의 카메라 환경에서 주변의 환경에 최적으로 적합한 카메라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초기의 입력영상을 받아들인 후, 이 영상으로부터 주위의 환경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인 밝기와 텍스처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밝기와 텍스처 특징값들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규칙을 생성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맞는 카메라를 자동으로 선택해 준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에서는 제안된 방법이 여러 가지 환경에서 잘 동작하며, 결과적으로 주위 환경에 적합한 카메라의 선택을 통해 보다 정확한 3차원의 정보를 추출함을 보여준다.

  • PDF

Demonstration of 250kW Photovoltaic Inverter (250kW 태양광 인버터 실증운전)

  • Jang, SuJin;Ko, ByengHyen;Suh, In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280-281
    • /
    • 2010
  • 본 논문은 당사에서 개발한 250kW 태양광 인버터의 실증운전에 관한 내용이다. R&D 단계에서의 제품 시험은 실 사용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상 동작 원인을 검증할 수 없다. 또한, 주위환경(온도, 일사량 등)에 따라 발전량이 수시로 변동하므로 고품질의 전력을 생산하기 어렵다. 따라서, 태양광 인버터와 같이 주위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제품은 제품 출시 전 실제 사용 환경을 고려한 대책 설계/제어가 필수이다. 당사에서는 개발 제품의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태양광 인버터를 실 사용 환경에 적용하여 장기 연속 운전하고 있으며, 실증운전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제품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 PDF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Distributed Agent Rohotic System (Distributed Agent Robotic System을 위한 거리 측정 시스템)

  • 황세희;황철민;심귀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97-300
    • /
    • 2004
  • Distributed Agent Robotic System (DARS)은 독립된 로봇 개체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시스템이다. DARS에서는 각 개체가 주위 환경과 이웃한 개체들의 상태를 인식하고 자신의 처한 환경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 따라서 DARS 시스템에서는 센서와 같이 주위 환경을 인식하는 시스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주위의 장애물을 회피하거나 이웃한 개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DARS에서는 필수적이다. 물체와의 거리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시스템이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적외선을 쏘고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적외선의 세기를 이용해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DARS의 거리 측정 시에 고려해야 할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을 통해서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측정한다.

  • PDF

Computational Analysis of Vortex Structures around Wall-Mounted Bluff Body in Boundary Layer (경계층 내에 위치한 각진 물체 주위의 와류 전산 해석)

  • Lee, Ju-Yong;Kim, Hyeon-U;Lee, Seung-S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354-359
    • /
    • 2013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설계시 풍동 실험을 통한 풍환경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영향 평가법에서 정한 건축 사업 시행 시 수반되어야 할 자연환경, 생활환경 그리고 사회경제환경의 영향 평가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풍동 실험의 경우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조건으로 설계와 실험의 피드백 (Feedback)이 원활하지 못하며, 특히 대상 건축물이 공장과 같이 대기 오염원이 되는 경우 실험은 더욱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전산 유체 역학을 이용한 건축물의 풍압 해석에 의한 풍하중 추정이나 인접 지형-지물의 영향을 고려한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 평가가 있다. 전산 모사에 의해 풍동 실험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의 증대와 환경 피해 감소를 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 주위의 풍환경에 대한 전산 모사는 주로 두 가지의 기술적 어려움을 수반하게 되다. 그 중 하나는 고정 경계면을 이루는 형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Body-fitted 격자계를 이용하는 경우, 격자 생성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생성된 격자가 주로 비정렬 (unstructured) 특성을 갖게 되어 수치해석 과정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격자의 형상도 수치해석의 수렴성을 저하시키는 예가 많다. 다른 어려움으로 풍환경은 전형적인 난류 유동장으로서 난류의 전산 해석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지형-지물이나 건축물의 풍하중과 풍환경의 전산 모사 기술 확보를 위하여 수행중인 연구의 일환으로 물체 형상의 기하학적 복잡성의 극복을 위한 가상경계법 (Immersed Boundary Method)과 난류 유동장의 물리적 엄밀성을 높이기 위한 다와동 모사 (Large Eddy Simulation)을 이용한 물체 형상과 무관한 유동장 해석 기술 개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먼저 최근에 유동 해석에 이용되는 방법인 가상경계법(IBM)은 물체를 포함한 전체 전산 영역을 직교 좌표계에 의해 이산화하고, 유동장내 존재하는 물체의 표면에서의 점착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배 방정식에 적절한 외력을 추가로 고려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경계법을 이용하여 경계층에 위치한 건물 형상의 각진 물체 주위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 내부의 비정상 유속 및 압력에 대한 전산 해석을 수행하고, 풍상측 전면에 형성되는 경계층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우리나라 동굴의 일반적 특성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6
    • /
    • pp.10-15
    • /
    • 1980
  • 동굴은 그가 위치하는 주위환경에 따라 그 특성이 달리 나타난다. 석회암지역에서 석회동굴이 형성되고 화산지역에서 용암동굴이 형성되듯이 달리 나타난다. 더구나 석회동굴은 지질구조와 밀접하게 관계되고 있는데 지질구조선에 따라 동굴은 발달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