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요지천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Water Level Network Design for Operation of KHNP(Korea Hydro & Nuclear Power) Dam (한수원 댐 운영을 위한 수위관측망의 설계)

  • Jang, Bok-Jin;Lee, Yeon-Kil;Jung, Sung-Won;Han, Gi-H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1-461
    • /
    • 2011
  • 강수, 수위 및 유량자료 등의 수문자료는 안정된 물 관리 계획, 홍수조절 및 공급계획, 전력공급 등을 위한 댐의 역할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운영의사결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댐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년 변하고 있는 댐 유역의 수문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모델을 보정하여 정확성을 확인하고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므로 수문자료는 댐 운영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주)의 9개 댐 유역에서 기존 활용 가능한 관측소 현황 및 현장조사를 통해 운영상 목적에 맞는 최적의 수위관측망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설계 방법으로는 댐 유입량 파악과 개략적인 도달시간 파악을 위해 주요 유입지천인 국가하천과 지류 중 지방하천이라도 유역면적이 $150\;km^2$ 이상인 경우에는 유입량 파악을 위한 수위관측소를 두도록 설계하였다. 관측소 밀도는 각 댐 유역의 수문학적 유역 특성인 유역면적, 유입하천의 지형적 특성, 하천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설계된 수위관측소들은 현장의 수위관측 및 유량관측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 댐 저류지 배수영향 등으로 인해 관측이 부적정할 경우 이설을 통해 적정한 위치에서 수문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국수력원자력(주) 관할 댐 유역의 수위관측망은 자체 관할 수위관측소 뿐 아니라 자료의 공동 활용이 가능한 국토해양부 등의 관측소까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댐 운영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수위 및 유량자료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ristic study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상)

  • Kim, Jung-Hyun;Kim, Jin-Seok;Kim, Sun-Yu;Lee, Byoung Yo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4 no.2
    • /
    • pp.136-16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lora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11 times (from May 2012 to Nov. 2013) were identified as 825 taxa in total, including 124 families, 420 genera, 730 species, 8 subspecies, 78 varieties, 6 forms and 3 hybrids. In the flora of this area, Korean endemic species were 34 taxa, red list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34 taxa and 165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mong those species investigated in this survey, 101 taxa were identified as specific species bio-geographically as compared to flora of other terrestrial regions; 37 of calcicolous plants, 64 with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34 aquatic taxa and 69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Simulation of Pollutants Transport using 2-D Advection-Dispersion Model near Intake Station (2차원 이송-확산모형을 이용한 취수장 인근에서의 오염물질의 혼합거동 모의)

  • Kim, Jae-Dong;Kim, Young-Do;Lyu, Si-Wan;Seo, Il-W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91-794
    • /
    • 2008
  • The transport and dispersion of pollutants in natural river is a principal issue in intake station management. To study the pollutant transport in natural rivers, the effect of meandering and confluence of tributary on mixing process have to analyz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mixing and transport of pollutants for operating water gate of Nakdong Estuary Barrage around the intake station. Mulgeum intake station being used as drinking water sources for Pusan. The flow around the intake station is influenced by operating water gate of Nakdong Estuary Barrage which is located downstream. The water gate system includes ten individual gates. The minor gate is usually opened according to elevation of the sea. When the river flow increases, the main water gate is opened. Daepo stream,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is on opposite side of the intake station. The pollutants from Daepo stream often flows into the intake station acoording to the flow pattern. In this study, based on this simulation results, proper water gate operation which can minimize negative impact will be provided.

  • PDF

Analysis on the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Remaving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 철거에 따른 수위변화 분석)

  • Park, Jae Hyeun;Lee, Jong Jin;Park, Ch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1-101
    • /
    • 2015
  • 1986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준설이 실시되고, 수위가 낮아지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88년 김포대교 직하류 지점에 신곡수중보를 건설하였다. 당시 수중보의 설치목적은 취수시설 유지를 위한 수위유지가 주요기능이었으나, 30년이 지난 지금 생활용수 취수시설은 잠실 수중보 상류로 모두 이전하였고, 농업용수와 일부 공업용수 등의 일부 시설만이 남아 있어 신곡수중보 시설의 필요성 및 현재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변화하는 한강 본류의 수위를 모의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형인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해 저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45일간과 풍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45일간을 모의하였다. 조위영향을 받고 있는 강화대교 관측수위를 기점수위로 선정하고, 팔당댐 유량을 유량조건으로 모의하였으며, 본류구간의 전류, 행주대교, 한강대교 지점의 실측수위와 모의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평가를 위해 팔당댐 방류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과 한강의 갈수량, 저수량, 계획홍수량 등 유량조건 변화에 따른 한강 본류수위를 비교하였다. 보 철거시 서해안의 조위영향이 잠실수중보 직하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일시적인 수위하강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보 철거에 의해 감조하천으로 변화되는 구간에서는 전반적인 유속이 증가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신곡수중보 직상류 및 지천 합류부 주변의 퇴적문제와 수질 문제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곡수중보 상류지역에서 잠실수중보 하류까지 발생하는 수위변화와 수면폭변화는 간조대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한강변의 퇴적지 면적 증가 및 생태계 서식처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신곡수중보 하류지역의 수위는 현재보다 전반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장항습지 면적이 일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홍수시 침식 및 퇴적이 가장 활발히 발생하므로 하상변동 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홍수기 신곡수중보 구조물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철거 시 한강 본류의 하천 수위가 일부 하강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이 홍수위 상승에 기여한다고 판단되므로 대안마련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PDF

Hydraulic Impact Analysis of Geum River with the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Boryong Dam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리영향 분석)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9-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금강 본류의 농공용수 취수에 제한을 초래할 수 도 있는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하류 외해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한 금강 하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약 76km 지점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검상동의 검상천 합류지점까지 총 85km에 이르는 구간에 대한 1차원 수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보령댐으로의 도수가 갈수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2015년 2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두수위표의 시간별 유량과 8개 지천의 유입 유량, 장항검조소의 시간별 조위, 농공용수 취수시설 취수량 및 회귀수, 금강 배수갑문 운영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고, 유황분석에 따른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을 추정하여 보령댐으로의 도수에 따라 금강 본류 내 주요 구간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서해안 조위에 따른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배수위 구간임을 감안하여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갈수기 예측 유량 추정 결과 2015년과 같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 2016년의 유황은 2015년 대비 21%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보령댐 도수 여부에 관계없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령댐으로 도수를 실시할 경우, 도수시 금강호 최저 수위는 각각 EL(+)0.94m와 EL(+)0.72m로 모의되어 농업용수를 비롯한 기존 취수시설 뿐만 아니라 보령댐 도수시설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갈수기 동안 과업 대상 구간인 금강 하류부의 유황은 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월에는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을 유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3월 이후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면 농업용수 취수시설이 집중된 입포수위표 ~ 금강 하굿둑 사이 구간은 하천유지유량 이하로 유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Season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and Groundwater at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만경강과 그 인근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 Lee, Kyeong-Bo;Lee, Deog-Bae;Kang, Jong-Gook;Kim, Jae-D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2 no.3
    • /
    • pp.223-23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water quality of the river (Mankyeong River) and groundwater in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from 1994 to 1998.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was monitored at 13 sites along main stream for 6 months from April to September from 1994 to 1997.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s of $NH_4-N$, $SO{_4}^{2-}$ and $Cl^-$ were highest in April, while that of $NO_3-N$ was highest in August. Monthly average concentrations of COD was highest in September Concentrations of $NH_4-N$ and $SO{_4}^{2-}$ in many sites of Mankyeong River exceeded the water quality criteria of agricultural water for irrigation.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was not suitable for the irrigation source excepted the sites such as Hari, Gosan and Soyang stream. The floodgates of Mokcheon, Yocheon, Jeonju and Samcheon streams were rapidly polluted by the municipal sewage, otherwise the Iksan stream was rapidly polluted by the sewage of swine. The sum of inorganic ion concentrations in Mankyeong River was highest at floodgate of Yocheon due to the sewages municipal and industrial. The order of the major anions and canons concentration in Mankyeong River- stream were $SO{_4}^{2-}$ > $Cl^-$ > $NO{_3}^-$ > $PO{_4}^{3-}$ and $Na^+$ > $Ca^{2+}$ > $NH{_4}^+$ > $Mg^{2+}$ > $K^+$, respectively. The geoundwater quality at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was surveyed 4 sites from 1994 to 1998. Concentrations of $NH_4-N$ and $NO_3-N$ were lower at the deeper groundwater.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SO{_4}^{2-}$ and $Na^+$, and the groundwater depth below 15m. Contents of $NH_4-N$, $NO_3-N$, $PO{_4}^{3-}$, $SO{_4}^{2-}$, $Na^+$ and $Cl^-$ in groundwater were the highest at dry season. Nitrate-N level, exceeded $20mg\;l^{-1}$, the critical level for agricultural usage, at Yongjinmyeon Wanju and $PO{_4}^{3-}$ concentration were higher at Seogtandong Iksan than the other places.

  • PDF

Spatial and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of Han River Tributries (한강 주요지천의 지역적 및 계절적 수질변화)

  • Lee, Young Joon;Park, Minji;Son, Juyeon;Park, Jinrak;Kim, Geeda;Hong, Changsu;Gu, Donghoi;Lee, Joonggeun;Noh, Changwan;Shin, Kyung-Yong;Yu, Soon-J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418-430
    • /
    • 2017
  • The quality of surface water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use various demands like as drinking water, industrial, agricultural and recreational usag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monitoring water quality of many rivers by regular measurements of various water quality variables. However precise and effective monitoring is not enough, if the acquired dataset is not analyzed thoroughl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differences of seasonal and regional water quality using multivariate data analysis for each investing tributaries in Han River.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o the data concerning 11 mainly parameters (flow, water temperature, pH, EC, DO, BOD, COD, SS, TN, TP and TOC) for the time period 2012~2016 from 12 sampling sites. The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showed that each of BOD, TN, TP and TOC average concentration in spring and winter was higher than that of summer and fall, respectively. In summer each flow rate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SS was higher than any other seasons,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explained that EC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BOD (r=0.857), COD (r=0.854), TN (r=0.899) and TOC (r=0.910). According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ive principal components (Eigenvalue > 1) are controlled 98.0% of variations in water quality. The first component included TP, DO, pH. The second component included EC, TN. The third component included SS. The fourth component included flow. The last component included Temp. Cluster analysis classified that spring is similar to fall and winter with water quality parameters. AnyA, WangsA, JungrA and TancA were identified as affected by organic pollution. Cluster analysis derived seasonal differences with investigating sites and better explain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tudy on Precipitation of the Minerals in the Soil of Imha Reservoir Watershed (임하호 유역 토양의 광물학적 침전성 연구)

  • Kim, Yeonjeong;You, Samhwan;Jeong, Hyungjin;Baek, Seungcheol;Lee, Sungmin;Seo, Eul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4
    • /
    • pp.13-18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suspended matter in soils of Imha-Dam area by turbidity. Soil sampling was conducted at 5 points of Yeongyang (Turbid area) and 2 points of Cheongsong (Clean area). Experiment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ose samples. The pH of water in the soils at turbid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clean area.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ed that every sample consists in mainly quartz, illite and feldspar before precipitation. After precipitation for 3 days, the content of quartz and feldspar was decreased and the content of illite was increased at turbid area. The soil of Sinheung (St. 6) at clean area was analyzed only illite. SEM-EDS analysis showed the much content of $SiO_2$ as to every sample before precipitation, but $K_2O$, MgO, $Al_2O_3$, CaO and $Fe2O_3$ with illite was increased after precipitation for 3 days as to every sample. Experimental results exhibited that the major mineral of turbid water was illite at turbid area and clean area.

하천 오염현황과 대책

  • 이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9.10a
    • /
    • pp.234-236
    • /
    • 1979
  •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도산업사회 건설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등은 하천을 심각하게 오염시켜 하천수가 지니고 있는 자정능력 한계를 초과하고 있어 재생될수 없는 상태이므로 수자원의 보호가 요청된다. 이런 상황의 하천오염 증가 추세와 주요 오염원 및 오염물에 대하여 고찰하고 대책에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전국의 급수 현황과 장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수도권 한강수계를 오염시키는 주요 오염원인 폐수를 보면 주거지의 생활하수, 상업행위로 발생되는 폐수와 공장의 산업폐수로 대별할 수 있으며 수도권 한강에 유입 되는 지천 수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상태의 총폐수량은 280만톤인데 비하여 청계, 중량하수처리장과 서부 북부 동부분뇨처리장의 일일 처리능력은 16.4%에 불과하다. 한편 서울지역 오염원구성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런 계속적인 오염물은 1977년 경우 갈수기에 80~100t/sec의 하천유량으로 희석되고 있어 자정능력 한계를 벗어나서 하류의 물은 혼탁하고 용존산소의 고갈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 하천에서는 수류침체로 인한 하상퇴적을 방지하여 국소적 오염의 심화를 방지하며 유량을 증가 시켜야 한다. 수도권 한강 수계의 수질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수요가 급증되며 처리장의 효율과 하천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합성세제의 총생산량은 1971년에 21000톤이던 것이 1978년에는 약 50,000톤에 이르고 있으며 이중 55~60%가 서울지역에서 소모되는 것으로 추산되어 진다' 결과 한강수에서 검출되는 합성세제의 오염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이 이미 몇개 지점에서는 세계 보건기구의 허용량인 0.5ppm을 초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오염의 연쇄현상을 나타내는 중금속의 일종인 csduium의 검출 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상의 하천오염에 따른 수중생태계의 변화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세부적 기계에 대하여는 규명되지 않은 문제가 아직도 많으며 지표생물의 표현형은 중요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식물성 plankton의 우점종의 출현 빈도에 따른 수질계급을 보면 뚝섬지역 BOD 3.3~5.3 빈부수성 $~\alpha$ 중부수성, 보광동 BOD 6.0~10.3중부수성, 제 2한강교 BOD10~28 $\alpha$ 강부수성, 난지도 BOD29 $\beta$ 강부수성 등이며 이와 상이한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이상으로 볼 때 1) 가정하수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분뇨정화조 의 효율증대 2) 산업폐수의 공정별 폐수량의 조절 및 폐수성 상에 따른 총량규제에 대비한 효율증대 3) 하천의 오염부하와 자정능력 최대한 부여 4)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제개발 및 오염지표 종 연구와 오염내성 생물의 연구등이 종합적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이상의 모든 조사와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천의 이정표가 정해져야 하겠다.

  • PDF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ediments of the Kumho River (금호강 하상 퇴적물의 광물성분 및 중금속 분포)

  • Kim, Byoung-Ki;Nam, Eun-Kyoung;Jung, Do-Hwan;Lee, Ji-Eun;Kim, Yeong-Kyoo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s.50
    • /
    • pp.291-300
    • /
    • 2006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reveal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s,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nd related factors in the sediments of the Kumho River which is the main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Even though this river flows in a short distance, it runs through different geology and industrial areas and can be a good candidate to study different geological and anthropogenic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 The major rock-forming minerals were quartz and albite. Minor amount of orthoclase, microcline, and amphybole were also identified. Clay minerals including illite, chlorite, kaolinite were associated with those minerals. In the downstream, no noticeable changes in species and amount of minerals were observed, indicating there is almost no influence on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s from rock types.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are in the order of Zn > Pb > Cu > Ni > Cr > Co > Cd. Following the downstream,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generally increase, except Pb. The regional increase of the heavy metal content is well correlated with the location of the tributary. Without changes in mineral compositions, the main factors controlling the heavy metal contents are the locations of pollutant sources. Except Pb and Ni, most of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thought to be enriched by the past pollutant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