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요지천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otentials of Seasonal Discrimination for Saving the Water Pollution Control Costs -The Case of Han River- (수질오염 관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계절적 차이의 잠재력: 한강의 경우)

  • Yoo, Young S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9 no.4
    • /
    • pp.663-700
    • /
    • 2000
  • 한강은 서울 지역을 관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의 수자원 이용과 폐수 수용체로서의 한강의 역할이 실로 막대하다. 이런 맥락에서 한강에서의 수질오염문제는 주요한 사회경제적 문제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한강 수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 방안이 이미 시행중에 있으나 여전히 한강 수질 오염은 문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다 나은 관리책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기존의 수질기준을 최소비용으로 달성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식을 시스템 최적화 분석 기법에 접목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 모델은 우리 나라에 두드러진 수문학적 특징, 즉 자정능력상의 계절적 차이가 지역적 특성과 오염 처리 기술상의 다양함, 그리고 기존의 법적 제도적 특정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얼마나 처리 비용상의 절약을 유도해 낼 수 있는지에 관한 정책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고안되었다. 연구의 결과치에 의하면, 표적 지천상의 지역적 안배와 처리 공정상의 기술-비용적 차이를 고려하고 비갈수기에 처리시설을 신축적으로 운영할 경우 한강 수계에서 BOD 부하량 삭감비용은 상당한 정도( 예로, 1992년 물가수준에서 매일 3,000만 원 이상) 절감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Applicability Analysis of HSPF Model for Management of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at Tributary (지류총량관리를 위한 HSPF 모형의 적용성 분석)

  • Kim, Jung Soo;Song, Chul Min;Lee, Min Sung;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8-438
    • /
    • 2021
  • 우리나라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수계 내 모든 유역을 관리대상으로 동일 기준유량 조건에 동일한 대상물질로 관리하고 있지만, 본류는 지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지류는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 인근에 있어 본류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지류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오염물질의 실질적인 관리가 어려워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염도가 높은 지류의 총량관리를 위한 지류총량제도의 추가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류총량제 시행에 따른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팔당수계 유역을 소유역 단위로 분할하고 HSPF 모형을 적용하여 팔당수계 소유역 지류에서의 수질 변화 양상이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팔당수계 중권역 유역(남한강 하류 유역, 경안천 유역, 북한강 하류 유역)으로 구분하고 유역 유출 및 수질 모델링은 지류하천을 포함하는 57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입력자료는 공간자료(표고, 경사, 토지이용, 토양도 등)와 기상자료(춘천, 양평, 이천, 수원관측소)는 2008년~2018년의 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 평균습도 등의 시단위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결과, BOD는 남한강 하류유역의 주요 지천 유역인 복하천, 양화천, 청미천 및 흑천 유역에서 0.54~0.56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안천 유역은 경안천 유역의 중·하류 유역에서 2.63~4.22mg/L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고, 북한강 유역은 조종천 하류 및 북한강 상류 유역에서 1.36~3.31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T-P는 남한강 하류 유역은 주요 지천 유역인 복하천, 양화천, 청미천 유역에서 0.07~0.19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고, 남한강 하류 유역의 중간 지점 유역인 한강(E1, E2, E4, E6)에서 높게 나타났다. 경안천 유역은 중·하류 유역의 좌안측 유역인 경안(A4, A3, B2, B1, F9)에서 0.1~0.14mg/L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북한강 유역은 전체 유역에서 0.06mg/L 이하로 남한강 하류 및 경안천 유역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류총량관리에 HSPF 모형의 적용은 가능하였으나 HSPF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 단위의 유량 및 수질 예측을 위해서는 기존의 유량 및 수질 관측망을 소유역 단위로 좀 더 정밀하게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Quantit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n Sediments (저니토중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정량에 관한 연구)

  • Shin, Ho-Sang;Oh-Shin, Yunsuk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2
    • /
    • pp.151-158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residual PCBs in sediments of 4 great rivers in Kore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rom the results, PCBs were positively detected in all samples. The residue levels of total PCBs in sediments in near of SS and OS were $290.87{\mu}g/kg$ and $221.11{\mu}g/kg$, respectively. The PCBs contamination may be in association with total organic compound (TOC) in sediments. Congener 66, 74, 90, 101, 105, 110, 118, 138, 149, 153, 180, 187 as IUPAC No were predominant species found in sediments and the polyCBs detected most aboundantly in sediments were tetraCBs and pentaCBs. From the study, it appears that the PCBs contamination in sediments of 4 great rivers is not serious and the analysis from enough many sites is needed for the next survey.

  • PDF

A Investigation of Bed Material for Effective River Management (효율적인 하천 관리를 위한 하상재료조사)

  • Ye, Ryeong;Park,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0-210
    • /
    • 2011
  • 하도에서의 하천정비 및 안전하도 유지를 위해서는 하상변동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류유역에서 하천으로 내려온 유사(流砂)는 하천의 흐름과 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중 하천흐름은 사련(ripple)이나 사구(dune)의 형성에 영향을 미쳐, 하천의 지형변동인 사주에 영향을 주고 하천 식생의 성장과 발달에 직 간접적으로 간섭하게 된다. 또한, 교량, 취수장의 취수장애, 호안블럭의 침식 등과 같이 수리구조물의 안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천의 유사량 변화에 따라 생태계의 서식환경이 변하게 된다. 또한, 저수지에서 유입 유사량의 변화에 따라 저수지의 용적이 변하게 되어 댐의 설계 및 운영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며 특히 저수지 탁수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는 4개 대권역의 주요지천 및 댐 직 하류하천 지점 중 적정구간을 선택하여 하상재료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상재료 조사는 하도를 구성하는 모래와 자갈의 물리적 성질 중 유사의 이동량 및 하상의 변동, 하도설계 등에 관련 있는 입도분포, 비중 등을 측정하며 자갈하천은 표층 하상재료를 조사하고, 모래 재료는 체분석, 실트이하 재료는 BW관 등을 이용한 침강속도 분석을 실시한다. 주요지점의 중 남강의 안의 수위 우량관측소 지점의 상 하류 2km 구간을 200m마다 21개 지점의 하상재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강 안의지점의 표층은 여느 하천과 마찬가지로 상 하류 굵은 자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자갈하천의 특성을 보었다. 상류200m(2000m)에서는 최소 50mm(10mm), 최대 440mm(75mm), 평균입경은 174mm(34.7mm) 이었고, 하류200m(2000m)에서의 표층입경은 최소 8mm(25mm), 최대 50mm(110mm)이며 평균입경은 27.3mm(62.5mm)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체적으로 상류지역의 입경이 하류지역보다 큰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유수 흐름의 일시적인 저항이 발생하는 안의교 지점의 자갈 입경이 인근 부근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저니토중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분석법에 관한 연구

  • 신호상;오윤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99-107
    • /
    • 1998
  • 전 세계에서 다양한 환경 매체를 통해 광범위하게 검출되고 있는 대표적 환경오염물질 (environmental pollutants)인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의 국내 4대강 주요 하천 저니토양과 모공단 하천수 및 저니토중 오염도를 각 congener별로 또는 총량으로서 GC/MS 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4대강의 주요 지천중 낙동강의 사상공단근처의 저니토에서 총 PCBs가 가장 높은 290.87$\mu\textrm{g}$/kg이었고 한강의 왕숙천도 비교적 높은 221.l1$\mu\textrm{g}$/kg이었다. 모공단 하천수 및 저니토 중 PCBs를 분석한 결과 전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하천수 및저니토에서의 총 PCBs 농도(mean$\pm$S.D.)는 0.1069$\pm$0.0179$\mu\textrm{g}$/L 및 908.80$\pm$462.30$\mu\textrm{g}$/kg였으며, 이때 저니토에서의 농축계수는 0.85$\times$$10^4$였다. 저니토중 총 유기물함량과 저니토중 PCBs 잔류량의 조사에서 서로간 상관관계 (상관계수=0.7084)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PCBs 배출원에 의한 영향이 커서 정확한 상관관계를 얻기가 어려웠다. Congener-specific analysis에 의해 하천수 및 저니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대표적 congener는 52, 95, 101, 99,87, 110, 118, 149, 153, 138, 180 였다. 본 연구결과 하천수에서는 triCBs와 tetraCBs 가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던 반면 저니토에서는 hexaCBs 및 heptaCBs가 다른 poylCBs에 비해 비교적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모공단 하천수 및 저니토가 PCBs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국내의 주요 하천의 경우도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Phosphorus and nitrogen loading from the main tributaries into the Nakdong River (낙동강 주요 지천의 인 및 질소부하량에 관한 연구)

  • 허우명;김범철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4 no.3
    • /
    • pp.187-196
    • /
    • 1995
  • Phosphorus and nitrogen loadings from the main tributaries into the Nakdong River were estimated by measuring phosphorus and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main tributaries, Nakdong River(Kangjung), Kumho River, Heichun, Hwang River, Nam River, Milyang River, and Yangsanchun from May 1994 to October. Total Phosphorus concenuation of Kumho River was vary high, average 1.0 mgP/1. The other rivers were the range 0.05 ~0.15 mgP/1.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of Kumho River was vary high, average 6.27 mgN/1. The other rivers were the range 1.5~3.0 mgN/l. The phosphorus loading from Kumho River, Nakdong River(Kangjung), Nam River, Milyang River, Hwang River, Yangsanchun, and Heichun were calculated to be 1, 108, 603, 198, 57, 34, 23, and 21 tP/yr, respectively. Therefore, the loading from Kumho River accounted for 45 "yo of total loading, 2, 042 tP/yr, The nitrogen loading from Nakdong River (Kangjung), Kumho River, Nam River, Milyang River, Hwang River, Heichun, and Yangsanchun were calculated to be 12, 636, 7, 411, 2, 611, 1, 523, 779, 608, and 391 tN/yr, respectively. Therefore, the loading from Nakdong River(Kangiung) and Kumho River accounted for 50 % and 30% of total loading, 25, 959 tN/yr, respectively.vely.

  • PDF

Measurement of total primary production of Han River and contribution to eutrophication of inflowing streams (한강의 총일차생산량 측정과 유입지천의 부영양화 기여도 산정)

  • Kim, Ui Seok;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3-473
    • /
    • 2022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중의 일차생산자는 광합성을 통하여 유기물을 해당 수역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수역의 상위 먹이 단계의 총생산력을 결정하는 주요 구성원이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과거 1994년 이후로 2017년까지 5년 간격으로 총 6회 연구된 결과, 해당 하천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였다.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 PDF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or the Han River Tributarie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다변량 통계 분석기법을 이용한 한강수계 지천의 수질 평가)

  • Kim, Yo-Yong;Lee, Si-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7
    • /
    • pp.501-510
    • /
    • 2011
  • In this study, water pollution sources of 14 major tributaries of Han river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each target streams were evaluated based on water quality data in 2007.1-2009.12 (14 data sets) using a statistical package, SPSS-17.0. Cluster analysis over time and space for each stream resulted in 4 groups for the spatial variations in which type and density of pollution sources in the basins showed the greatest impact on grouping. Moreover, cluster analysis for the time variation in which rainfall, temperature and eutrophication were shown to contribute to the clustering, produced 2 groups, from summer to fall (July-Oct.) and from winter to early summer (Nov.-June). Four factors were found as responsible for the data structure explaining 71-90%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data set depending on the streams and they were organic matter, nutrients, bacterial contamination. Factor analysis showed main factors (water pollutants)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 with different pattern for each strea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water quality of each stream could produce useful outcomes when factor and pollution source of basin were evaluated together.

3-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Namkang lake Using EFDC-WASP (EFDC-WASP을 이용한 남강호의 3차원 수리.수질 모의 연구)

  • Choi, Ik-Sung;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3-213
    • /
    • 2011
  • 남강은 낙동강에 유입되는 지류 중 가장 큰 하천으로서 낙동강 하류의 수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강댐은 저수 용량에 비해 유역면적이 주요 저수지들에 비하여 월등하게 크므로 홍수시 순간적으로 다량의 유량 및 오염물질이 방류되어 낙동강에 유입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남강댐은 서북측에서 유입되는 경호강과 남쪽에서 댐축과 가까이 유입되는 덕천강이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음으로 인해, 주요 유입물질이 유입되는 시기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농도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과거에 설치되었던 댐이 수중에 존재함으로 인해 국지적인 정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남강은 현재 경남권은 물론, 거제 및 부산권의 용수원을 공급하거나 예정으로 있으므로 수질관리에 가장 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남강댐의 합리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호 내의 공간적 시간적 수질변화에 대한 이해와 수질변화 여건에 있으며 이용되는 만큼 호 내의 정밀한 유체거동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의 수리-수질 특성을 진단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인 EFDC와 수질모델인 WASP을 연계하여 사용하였다. 유량 경계조건은 한국수자원공사 및 국가수자원관리 종합 정보시스템(WAMIS)의 남강댐 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남강댐의 유입량과 유출량 자료를 작성하였다. 남강으로 유입되는 지천 및 호 내의 수온, SS 및 수질농도 등은 환경부의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월 측정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상조건은 진주 기상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용한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남강댐의 수리 및 수질 및 부유물질 특성을 모의하였으며 EFDC-WASP 모델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보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세한 분석과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남강댐의 유입 수질 및 유량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Water Cycle at Main Streams in Ulsan Using CAT Model (CAT 모형을 이용한 울산지역 주요 하천유역의 물순환 분석)

  • Lee, Sang Hyeon;Cho, Hong 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
    • /
    • pp.1-10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ater cycle at Taehwa river, Dongcheon, Hoiya river and Cheongryang cheon in Ulsan city using CAT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o apply CAT model, we separated Teahwa river into 25, Dongcheon into 11, Hoiya river into 17 and Cheongryangcheon into 5 subbasins and discriminated between contribution runoff basins and source basins. The results of water cycle analysis performed using rainfall datas measured from 1975 and 2008 and hydrologic datas of change of land use etc. were that surface runoff increase and interflow decrease, caused by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The increases of surface runoff at the basin of Taehwa river and Dongcheon which is a tributary of Taehwa river were small and similar to each other respectively as 1.7% and 2.4%, and increased high rate of 3.2% and 7.7% in Hoiya river and Cheongryangcheon including subbasins which are having high rate of urb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