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요구조

검색결과 5,570건 처리시간 0.045초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의 주요점 검출 및 서식 구조 벡터화 (Main Points Extraction and Layout Vectorization of Hand-designed Forms)

  • 김병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19-522
    • /
    • 2001
  • 본 논문은 손으로 자유롭게 그린 서식 문서의 주요점을 검출하여 서식의 구조를 벡터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선 성분의 주요점을 검출하여 그 구조를 벡터화하는 방법은 주로 인쇄 서식 문서의 구조 분석에 적용하기 좋은 방법이다. 이에 반해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는 주요점 부분이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점의 검출이 손쉽게 이루어지기 곤란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를 세선화한 다음 여유 성분을 갖는 마스크를 적용하고 후처리를 통해 주요점 부분의 심한 왜곡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손으로 설계한 서식 문서에서도 주요점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 손으로 설계한 서식의 경우 91.9%, 인쇄 서식의 경우 100%의 벡터화 성공률을 보여주어 제안한 방법이 손으로 설계한 서식 구조의 벡터화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 전통 목조건축 숭례문의 구조성능 및 동적특성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Timber Structure Sungnyemun)

  • 김영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07-61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통 목조건축물로 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국보 1호인 숭례문의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전통 목조건축의 대부분의 하중을 차지하고 있는 숭례문의 지붕하중을 상세히 산정하고 숭례문의 가구구성 특징을 면밀히 살펴 범용 구조해석 소프트웨어인 midas Gen으로 구조해석모델을 구축하였다. 수직하중에 대한 정적구조해석을 수행하고 주요 수직 수평 구조부재의 안전성과 주요 수평부재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숭례문의 동적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충격해머실험과 구조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고유치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 주요모드를 도출하였다. 수직하중에 대한 검토결과 숭례문은 구조적 능력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SDN에서의 통신망 구조 모델

  • 최양희
    • ETRI Journal
    • /
    • 제9권4호
    • /
    • pp.15-25
    • /
    • 1987
  • 일반적으로 ISDN의 망구조는 4가지의 주요원칙에 의거 형성되며 발전된다고 볼 수 있다. .데이터 정보와 콘트롤 정보간의 분리 .Basic 및 advanced 서비스의 효율적인 적용 .가입자와 망간의 상호독립성 유지 .망의 계층적 구조 그러고 ISDN은 정보통화로 네트워크, 콘트롤 네트워크 및 서비스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이들의 효율적인 운용으로 ISDN의 망 및 서비스기능이 설정 된다. 따라서 본 고는 이상의 사항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 구조모델을 검토하기 위하여 ISDN의 주요 요구사항, 기능요소, 교환구조, 기능요소들간의 통신에 관해 살펴보았다.

  • PDF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건식형태)시설의 구조 및 설비기준 개발

  • 김영상;이상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4)
    • /
    • pp.247-252
    • /
    • 1996
  • 사용후핵연료 건식 중간저장시설은 설계수명기간 동안 방사능 차폐, 냉각, 보호 등과 같은 주요 기능이 확실히 보장되도록 설계 및 유지·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요 기능은 여러가지 설계하중 하에서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한 결과를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보장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건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항목 및 내용을 국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기준을 토대로 하고 풍하중, 홍수방호, 내진설계, 열하중해석,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물, 기초지반과 같은 세부항목에 대한 해석 및 설계의 연구결과를 추가하여 국내 원자력법령과 시행령에 부합되는 사용후핵연료 건식중간저장시설의 구조 및 설비기준을 개발하였다.

  • PDF

해외 전력산업 구조개편 변천과정 (Electricity Industry Restructuring in Foreign Countries)

  • 이정호;문영환;오태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99-601
    • /
    • 2003
  • 영국, 미주, 유럽, 호주 둥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전력산업에 경쟁과 선택 원리를 적용하는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활발하게 진행하여 왔다. 전력산업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구조개편은 전력산업 분야의 주요 관심사항이다. 우리나라는 도매경쟁 전력시장 도입 이후에 시장구조 및 거래제도의 확립을 위해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지속적으로 충실하게 추진하고 국내 전력시장의 효율성 중대를 도모하려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시장이 운영되고 있는 해외 전력시장의 변천과정을 조사, 분석한다.

  • PDF

한국인의 사망원인 구조, 1983~1993

  • 박경애
    • 한국인구학
    • /
    • 제18권1호
    • /
    • pp.167-193
    • /
    • 1995
  • 사망원인통계연보는 사망발생 당년에 신고된 사망 자료만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수록된 사망(당년신고, 또는 비지연신고)은 물론 수록되지 아니한 사망(지연신고)의 사인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차적으로, 사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연신고의 다양한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신고된 모든 사망신고를 기초로, 지연신고와 당년신고라는 신고행태에 따라 사인별 사망구성비, 사망률, 사망률성비를 구하였다. 지연신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지연신고율은 다른 집단보다 여성, 젊은층, 의사진단사망자, 병원사망자에게서 더 높다. 당년신고 사망자의 성별 사인구조와 비교해 볼 때, 지연신고 사망자의 주요 사인구조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데, 남성에게는 감염성질환, 순환기계질환, 호흡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여성에게는 감염성질환, 호흡기계질환 및 소화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진다. 1983~1993년 동안 신고된 모든 사망에 대한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손상 및 중독이 남녀 모두에게 주요 3대 사인이다. 둘째, 만성 간질환, 각종 사고, 폐암, 자살은 남성에게 치명적인 사인으로서 남녀의 성별 사망력 차이를 넓혀주는 원인이다. 세째, 손상 및 중독, 특히 교통사고는 45세 이하의 젊은 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되는데 반해,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소화기계질환은 고령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된다.

  • PDF

하모닉 구조를 이용한 다성 음악의 주요 멜로디 검출 (Extracting Predominant Melody from Polyphonic Music using Harmonic Structure)

  • 윤제열;이석필;서경학;박호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5호
    • /
    • pp.109-1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하모닉 구조를 이용하여 다성 음악의 주요 멜로디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성 음악은 다수의 음원을 동시에 포함하므로 주요 멜로디를 검출하기 위하여 다중 기본 주파수를 추출하고 각 기본 주파수의 성질을 기반으로 주요 멜로디를 구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하모닉 구조는 기본 주파수의 배음관계를 나타내고 단일 음원 신호의 중요한 특성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은 하모닉 구조의 정확도를 기준으로 다성 음악에 존재하는 모든 기본 주파수 후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기본 주파수 후보에 대하여 하모닉 성분을 조합하여 하모닉 평균 에너지를 구하여 기본 주파수 후보의 중요도 순위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기본 주파수 후보의 순위와 기본 주파수의 연속성을 기반으로 피치 트래킹을 진행하여 최종 주요 멜로디에 해당하는 기본 주파수를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ADC 2004 DB와 가요 100곡에 대하여 MIREX 2005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ADC 2004 DB에 대하여 90.42%의 검출 정확도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