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속도

Search Result 4,68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hanges in SPAD Value and Phothosynthetic Rate during Grain Filling of Oryza glaberrima Strains and Oryza sativa Cultivars (Oryza glaberrima 계통과 Oryza sativa 품종의 등숙기간중 SPAD치와 광합성속도의 변화)

  • 윤영환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2 no.6
    • /
    • pp.759-765
    • /
    • 1997
  • The process of the senescence in Oryza glaberrima Steud. strains and Oryza sativa L. cultivars were examined in terms of SPAD value(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tic rate. SPAD values and photosynthetic rates of flag leaves for 10 genotypes of each species was measured at the 1, 3 and 5 weeks after heading. SPAD values and photosynthetic rates of O. glaberrima strains tended to decrease rapidly after heading. O. sativa cultivars showed slower decrease as compared to O. glaberrima strains, in particular during the period from 1 to 3 weeks after heading.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ecies in the mean value of photosynthetic rate and SPAD value at 1 weeks after heading, O. glaberrima had lower values after 3 weeks after heading.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hotosynthetic rate and the SPAD value at 1 and 3 weeks after heading for O. glaberrima strains, and at 1 and 5 weeks after heading for O. sativa cultivar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creasing rates of the photosynthetic rates and the decreasing rates of the SPAD values at the period from the 1 to 3 weeks after heading for both species. At the period from 3 to 5 weeks after heading, only O. glaberrima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traits, indicating that rapid de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would affect the photosynthesis in O. glaberrima.

  • PDF

수종 점막증 메치오닌엔케팔린 및 유사체의 분해 특성

  • 전인구;이치호;신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61-61
    • /
    • 1992
  • 여러 점막 추출액증 Met-Enk의 효소적 분해는 매우 신속하였고 1차식에 따랐으며 점막측 추출액에서의 분해속도는 직장>눈>질>비강점막의 순이었다. 비강, 직장, 질점막의 점막측 및 장막측 추출액 간의 분해속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눈점막의 경우 내피측 추출액에서의 분해속도 (1.03 $\times$ $10^{-3}$ $min^{-1}$)가 표피측 추출액에서보다 현저히 낮았다. 모든 추출액에서 검출된 주요 분해산물은 Tyr 및 Des-Tyr-Met-Enk로 천연 Met-Enk의 점막 추출액중 분해는 주로 aminopeptidase류가 관여되고 있음을 알았으며 Tyr-Gly, Tyr-Gly-Gly등의 분해산물이 소량 출현함으로 보아 endopeptidase류도 분해에 다소 관여하고 있음을 알았다. YAGFM은 Met-Enk보다 분해가 현저히 지연되었으며 그 분해속도도 직장>질>비점막의 순이었다. 이러한 분해는 분해산물로 Tyr이 검출되지 않은점으로 보아 YAGFM의 점막 추출액중 분해는 주로 endopeptidase류가 주로 관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철도의 전화 현황

  • 서석인
    • 전기의세계
    • /
    • v.24 no.1
    • /
    • pp.16-17
    • /
    • 1975
  • 교통수단으로서의 철도는 세계에서 처음 영국에서 효시되었으며 차량을 궤조상에서 말의 힘을 이용하여 걸었었다. 그 후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석탄을 주원료로 하는 증기기관차가 철도의 주동력이 되었다. 그후 석유를 이용하는 내연기관의 발명으로 주로 미국에서는 디젤기관차를 주로 사용하는 현상이다. 철도의 주동력을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하던 중 그 경제성과 속도향상면으로 보아 전기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인정되어 각국에서 전화가 많이 추진되고 있어 특히 일본국에서는 동경-대판간을 동해철신간선이라 하여 최고속도 250km/h 평균속도 200km/h로 개통하여 세계제일의 평을 받고 있으며 현재 구주복강까지 연장공사중으로 1975년 3원에는 전통된다고 한다. 한국의 철도는 주로 증기기차이었으나 디젤전기기관차로 대부분 전환되었고 전기화하는데는 다소의 이론이 있었으나 경제면 속도면 수송면 등 여러 조건을 감안하여 차차 전화방향으로 진전되어 가고 있다. 우선, 석탄, 시멘트 등 주요산물의 수송면을 고려하야 중앙선, 태백선을 전화아였고 영동선을 현재 공사중에 있으며 1975년 6원 개통예정에 있다.

  • PDF

A Study of Traffic Mining used High expressway Connection Road Speed Information Database (고속도로 연계도로의 스피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교통체증 마이닝에 관한 연구)

  • Lee, Gi-S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470-473
    • /
    • 2006
  • 교통 체증이나 도로의 속도를 이전의 통계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면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종류의 도로 중 고속도로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여 상호 영향을 주는 요소를 고찰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고속 도로 교통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도로 교통 데이터베이스에 연계도로의 속도와 관계을 적용하고,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의 연산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 PDF

Method to Identify Future Technology Candidates: Biofuel Case (잠재적 후보기술 경로 탐색방법 : 바이오 연료 사례)

  • Lee, Yongseung;Shin, Juneseuk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8 no.3
    • /
    • pp.29-53
    • /
    • 2020
  • Existing main path analysis is useful to clarify the backbone of technology developments over the past, but has difficulty in identifying future technology candidates, and also in anticipating changes in the mainstream technology. Our method develops a growth velocity indicator, and combines it with key-route analysis and traversal counts measure in the main path analysis. It enables us to identify rapidly growing paths of future technology candidates, and further to evaluate the relative growth potential of such paths by which can replace the mainstream technology in the main path. Our method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future technology candidates in a quantitative way by using patents, and broaden the scope of main path analysis research toward foresight. It can be useful for technology strategy in practice. Biofuel technology is exemplified.

A Study on the Standard Link-based Travel Speed Calculation System Using GPS Tracking Information (GPS 운행궤적정보를 이용한 표준링크기반 통행속도 산출 시스템 연구)

  • Song, Gil jong;Hwang, Jae Seon;Lim, Jae Jung;Jung, Eui 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5
    • /
    • pp.142-15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system to collect taxi GPS probe information to prevent link defect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tandard link-based travel speed by determining when to go into and come out the link. For this purpose, a framework and algorithm consisting of a five-step process for standard link-based map matching and individual vehicle travel speed are presented and used it to calculate the average travel speed of the service link. Two on-site surveys of Teheran and Hakdong-ro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sults by the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 overall time of the field survey, the deviation in the travel speed was 0.2 km/h and 0.6 km/h, the accuracy was 99% and 96%, and the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was 1% and 4% in Teheran and Hakdong-ro,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more accurate thand those obtained using conventional methodologies without standard links.

Falling-Velocity Measurement Using PTV (PTV를 이용한 침강 속도 측정)

  • 윤병만;유권규;노영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60-64
    • /
    • 2000
  • 침강속도는 유사의 침식과 퇴적, 그리고 이동되는 양을 추정하는데 필요한 주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유사이동모형에서 종래에는 정지상태유체에서 측정한 침강속도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들어 난류가 존재한 경우 침강속도가 변할 것이므로 정지상태에서 구한 침강속도 사용에 대해 논란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의 명확한 규명을 위해 난류 흐름중의 침강속도 측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중략)

  • PDF

Design Speed Guideline of Climbing Lane Based on Merging Characteristics (합류특성에 의한 오르막차로 설계속도기준 연구)

  • 김종표;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67-76
    • /
    • 1998
  • 본 연구는 현행 오르막차로 설계기준이 적정한지를 검증하고 오르막차로 설계기준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오르막차로와 본선에 대한 현장의 속도분포와 화물차량의 합류형태를 바탕으로 오르막차로 설계기준을 검증하고 개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속도 120km/h에서 화물차의 50백분위비율과 85백분율은 각각 66km/h와 76km/h로 나타났기 때문에 현행 설계속도 80km/h 이상의 구간에서 화물차의 허용최저속도를 60km/h로 규정하고 있는 것을 설계속도 기준을 세분화하여 설계속도가 100km/h 이상인 구간에서는 화물차의 허용최저 속도를 70km/h로 함이 타당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설계속도 80km/h인 구간에서의 화물차 허용최저속도는 60km/h로 규정한 것이 적정하다고 확인되었다. 셋째, 설계속도 80km/h 미만의 구간에서 화물차의 허용최저속도는 설계속도에서 20km/h를 감한값을 사용하는데, 이 때 20km/h 감속을 한계속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확인되었다.

  • PDF

High-speed IP address lookup using LMHTL technique (LMHTL 기법에 의한 고속 IP주소 검색)

  • 오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4-6
    • /
    • 2002
  • 본 연구는 포워딩 테이블의 자료구조와 검색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고속 IP주소 검색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연구로써 목적지 IP주소에서 검색할 길이를 결정한 후 길이별로 준비된 해시 테이블 검색을 통해 O(1)의 속도로 IP주소 검색을 실시할 수 있다. IP주소 검색은 목적지 IP주소와 다수의 포워딩 테이블 엔트리 중에서 가장 많은 비트가 일치하는 엔트리를 검색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인 완전일치 검색이 적용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포워딩 테이블 엔트리로 구성된 트라이를 기반으로 길이별 다중 해시 테이블을 구성하여 평균 O(log$_2$N),N=4 의 속도로 IP주소 검색을 한다. 이때 최악의 검색시간은 4회의 주 메모리 접근시간이며 더 빠른 검색을 위해 본 논문은 각 프리픽스의 첫 8비트를 키로 256개 그룹을 만들고 각 그룹별 최대 프리픽스 길이를 기록한 테이블을 캐쉬에 저장함으로써 길이별 해시 테이블 검색 시 N값을 99.9%의 확률로 3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포워딩 테이블의 프리픽스 길이 분포에 의한 결과이며, 99.9%의 확률에서 최악의 검색시간을 3회의 주메모리 접근시간으로 할 수 있다. 주 메모리 접근시간 50㎱를 적용하면 150㎱의 검색속도는512B 패킷을 가정할 때 약 27Gb㎰의 검색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 PDF

A brief introduction to nozzle design in air jet loom (에어제트 직기의 노즐 설계기술)

  • 송동주;구본감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
    • /
    • pp.36-45
    • /
    • 1995
  • 주노즐내의 공기제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노즐 제트 속도는 높을수록 높은 마찰력을 초래 하여 위사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가속관의 길이가 증가하면 노즐출구에서의 공기의 속도와 난 류가 감소하며; 가속관의 직경이 증가할 때에는 공기속도가 감소하며 난류는 증가한다. 탱크압력, 가속관의 길이 등 유동조건에 따라 유동은 니들 끝과 가속관 출구에서 이중 초크(M=1)가 발 생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 직경과 노즐직경의 그 비율이 클수록 제트에 의한 유동의 비말동 반(entrainment)이 크게 된다. 실제 노즐직기내의 유동은 위사를 동반한 유동이므로 위와 같은 정성적인 설명에 위사의 물성치에 따른 고려를 반드시 하여야만 한다. 현장에서의 노즐설계는 노즐형상 자체의 영향은 물론 각종 위사의 물성치에 맞는 압축공기 압력 최적조건이 무엇인가를 찾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