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생활 행태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ifference of the Effect of Related Factors on Healthy Life_Styles by the Income level (소득계층에 따른 건강생활실천 관련 요인의 영향 차이)

  • Lee, Min-Haeng;Na, Baeg-Ju;Lee, Moo-Sik;Chun, Sung-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2
    • /
    • pp.780-785
    • /
    • 2010
  • This research have aimed for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factors on healthy life styles by the income level in a medium-sized city. Especially, the research tried to figure out whether the public health center's health-promotion-activity had different effects on healthy life styles by the income level. The random sampled data of 809 citizens aged between 19 and 69 were analyzed through phone survey by the Korea Gallop inc(surveyed from 2006.10.11 to 10.13). In the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relation between people's positive conception about public health center's health-promoting-program and healthy behavior tendency is low. But in the high socioeconomic status, the relation is high.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ffect of public health center's health promotion programs on healthy life styles is different by income level.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Multimedia Information Needs and Search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멀티미디어 정보요구와 검색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Chung, E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3
    • /
    • pp.251-270
    • /
    • 2012
  • Multimedia needs and searching have become important in everyday life, especially in a younger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needs and searching behaviors are distinctive compared to textual information needs and searching behaviors in a wide variety of ways. By interviewing and observing multimedia needs and search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from 20 areas in Seoul,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n users' multimedia needs and how users search multimedia. The findings are presented in terms of searching sources, multimedia needs, relevance criteria and searching barriers. For multimedia, the searching sources are found primarily as Naver and Google and the distinguished features are presen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multimedia types. As multimedia needs are categorized into generic, specific and abstract, most of the needs are classified as specific needs rather than generic needs, but there exis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s of multimedia. In addition, the aspects of relevance criteria and searching barriers are refl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ultimedia typ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stinctive indexing and searching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 types of multimedia might b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multimedia searching.

A Study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Social Computing Service by the Elderly (노령이용자의 정보 및 소셜 컴퓨팅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 Lee, Jee-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1
    • /
    • pp.375-393
    • /
    • 2012
  • The population aging occurs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medical technology and living conditions and this led increased interests in how the elderly manages their liv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 of the elderly users as well as to find about their information access and online commun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with thirty-two elderly users, they mainly looked for information on the topics such as health, news, leisure, and hobby. In addition, they primarily used television, radio, Internet, family members, relatives, and newspaper to obtain information. Their current use of social computing services including online communities, blogs, social network sites were low. However, the elderly users were aware of the social computing service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heir lives by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family members and other social members.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청소년 식생활 행태 비교분석)

  • Lee, Jung Woo;Kim, Yooky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5 no.2
    • /
    • pp.61-72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dietary behaviors of Korean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ata were obtained from 227,139 students aged 12-18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from 2018 to 2021.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17,343 students from the 2018-2019 survey and 109,796 from the 2020-2021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calculate the adjusted odds ratio (AOR) for dietary behavior chang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OR for consuming carbonated beverages among those who consumed three or more times per week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consume carbonated beverages at all was 0.81 (95% confidence interval [CI]: 0.78-0.84), which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0.001). Similarly, the AOR for consuming sweetened beverages between those with three or more times and not at all per week was 0.69 (95% CI: 0.67-0.72) (p<0.001). In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ORs for consuming fast food (AOR: 1.15, 95% CI: 1.11-1.20) and skipping breakfast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 (AOR: 1.23, 95% CI: 1.20-1.26) during the same period. Fruit intake de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OR: 1.26, 95% CI: 1.21-1.31). In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the dietary habits of Korean adolescents.

Health and risk taking behaviors of freshmen in college (대학교 신입생들의 건강위험행태)

  • Ko, Hong Ki;Han, Jae Joon;Lee, Yoon;Yoo, Young;Lee, Kee Hyoung;Choung, Ji Tae;Park, Sang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10
    • /
    • pp.1042-1049
    • /
    • 2006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reliminary data on risk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revent risk-behaviors in late adolescence. Methods : Freshmen(n=1,297) beginning the first semester i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completed self-administered risk behavior questionnaires, comprising 5 domains : demographics, smoking, drinking, drug abuse and sexual behavior. Results : The rate of smoking experience was higher in people having friends who smoke and the predictors of transition to current smoking were male gender, urban residence, friends'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The rate of high risk drinking was higher among students who are male and who had experience of heavy episodic drinking. The study group showed a low prevalence of narcotic users, but two-thirds of students could get medicine easily without prescriptions. The prevalence of sexual experience was 6.5 percent, and the sexual education was not a predictor of contraceptive behavior. The prevalence of homosexuality was 1.6 percent, and the rate of mostly heterosexuality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Conclusion : The main targets of youth health education should be campaigns aimed at atcessation of reinforcing risk behaviors and the development of a surveillance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find risk factors of health-risk behaviors among late adolescents.

Health Care Behaviors according to Ages in Farmers (농업인의 연령대별 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 Lee, Kyung-Suk;Kim, Hyo-Cher;Kim, Kyung-Ran;Song, Eun-Young;Rho, Sang-Chul;Oh, Gyung-Jae;Park, Ki-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82-82
    • /
    • 2009
  • 농작업 활동시 건강유해요인 증가에 따라 농부증 및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 유병률은 증가하는 실정이므로, 장기추적연구를 통한 실태분석 및 원인구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건강검진 항목 선정 및 측정방법 표준화, 농업인 건강 및 농작업 관련 행태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농업인 건강 및 작업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인의 성별 연령대별 건강관리행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5월부터 4개월간 18개 지역 남자농업인 550명(44.6%)과 여자농업인 683명(55.4%) 총 1,233명을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대는 50세이하, 51~60세, 61~70세, 71세 이상 4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업인의 체지량지수(BMI)는 남성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p<.001), 여성의 경우는 다른 그룹에 비해 70세 이상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5). 2. 대상 농업인들의 주작물을 조사한 결과 시설작목과 특용작물의 경우 남성은 50대, 여성은 40대 그룹이 가장 많은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작목은 60대 그룹이 가장 많았다. 3. 지난 1년간 의료기관 방문 횟수와 의료비를 조사한 결과 남성(p<.0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가 높을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규칙적인 운동시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여성은 연령대와 운동여부간에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p<.001), 남성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농부증정도(농부증 없음. 의증. 양성)를 조사한 결과 남성(p<.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와 농부증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농작업 재해 실태 파악과 원인구명을 위한 작업개선방안 제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국내 농업인의 작업부담을 경감시키고 건강수준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elated Factors of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初等學生)의 편비(便秘) 관련요인(關聯要因))

  • Kim, Mi-Soon;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wang,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1000-1004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지역 1개 초등학교 5 6학년과 농촌지역 일개 군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 초등학교 5 6학년의 변비 유병률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배변행태, 식습관 및 운동 습관 요인, 스트레스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고 학생들의 변비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하여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단면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임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 총 5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10월에 임의로 선정된 3개 학교의 보건선생님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대상자 스스로 기입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자가보고에 의한 변비의 유병률은 전체 22.1%로 남학생 16.9%, 여학생 27.0% 이었으며, 주중 3회 미만의 배변횟수를 변비로 정의하였을 경우 변비 유병률은 15.7%로 남학생 11.6%, 여학생 19.6%로 여학생의 변비 발생률이 높았다. 거주지역별로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변비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비발생과 운동습관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변비 유병율이 높게 나타났다. 변비 분류에 의한 배변습관에서는 변비군에서 배변 시간이 10분 이상이 많았으며, 시험기간 중 변비경향 또는 변을 보지 못 한다가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변비군의 치료관련 행태에서는 18.3%가 변비치료를 위해 변비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변 형태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담자로는 가족 또는 혼자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변비 분류에 의한 배변 관련 증상의 분포는 변비군에서 항문통증 경험, 항문 출혈 경험 등이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중 3회 미만의 배변횟수를 변비로 정의 하였을 경우와 배변 관련 증상의 분포는 변비군에서 항문통증 경험, 배변 후 상쾌하지 못함 등이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배변여부는 변비군에서 학교에서 배변을 하는 비율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변비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변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 학년, 거주지역에서 변비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주 3회 미만의 배변횟수를 변비라고 정의할 경우, 변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 학년, 모직장 유무, 운동이 변비발생의 위험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배변 행태, 식습관, 스트레스, 학교에서의 배변습관 등을 조사해 본 결과 상당수 학생들의 배변 실태가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 운동 부족, 과다한 스트레스 등은 학생들의 변비 발생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변비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매일 적절한 운동을 하고 인스턴트음식과 패스트푸드섭취 등을 줄이고 올바른 생활습관 및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하며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부터 변비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보건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습득하고 변비를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How Do People Evaluate a Web Site's Credibility (이용자들의 웹 사이트 신뢰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Young-K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3
    • /
    • pp.53-72
    • /
    • 2007
  • The Internet is now an integral part of the everyday lives of a majority of people. They are demanding web sites that offer credible information - Just as much as they want sites that are easy to navigate. But the online reality today is that few Internet users say they can trust the web sites that have products for sale or the sites that offer advice about which products and services to buy. Users want the web sites they visit to provide clear information to allow them to judge the site's credibility. Users want to know who runs the site; how to reach those people; the site's privacy policy; and how the site deals with mistakes. In the eyes of users all sites ate not equal. Users have different credibility standards for different types of sites. For news and information sites users want advertising clearly labeled as advertising. And users want the site to provide a list of the editors responsible for the site's contents, including the editor's email address. For e-commerce sites, user expectations and demands are just about as high as they can be. They say tha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se sites provide specific,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site's policies and practices.

  • PDF

A Study on Constructing UI Guideline for Mobile Phone through the User Research on Elderly Users (고령 사용자 조사를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 Heo, Jeong-Yun;Kim, Hyun-Jung;Park, Sang-Hyun;Shim, Jung-Hwa;Park, Soo-Jung;Kim, Mi-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86-291
    • /
    • 2007
  • 핸드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젊은 층뿐만 아니라 노년층 및 어린이들의 핸드폰 사용도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핸드폰은 대부분10~30대의 중급 이상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이미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폰을 고령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이런 제약 사항들에는 작은 사이즈의 Font와 같은 물리적 제약에서 단순한 통화방식에 익숙하여 새로운 것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지 못해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제약까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일상생활 중 휴대폰 관련된 불편 요소와 특이사항을 조사하여 도출하였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핸드폰 사용 행태를 관찰하여 현재 휴대폰에서의 사용 문제점을 포함하여 사용상의 특이점을 파악한 후 고령 사용자와 초급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살펴본 후 문맥적 사용자 조사 기법을 적용하여 1차 사용자 VOC(Voice of Customer)수집 후 주요 사용자 특성을 정의하였으며, 2차 심층 조사를 통해 핸드폰 사용시 노년층의 사용자의 Usage행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사용자 조사를 통해 도출된 요구 사항을 종합 분석하여 세분화된 휴대폰의 UI 요소에 따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 사용자의 휴대폰 관련 요구사항을 공용성이 강조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 개념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과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The Behavioral Patterns on Residential Spaces among Middle-size Apartment Residen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30s pyong apartment with 3 bed rooms - (중소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대표적인 주생활행태 - 3침실형 30평형대를 대상으로 -)

  • Kim Mi-Hee;Lee You-Mi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6 no.6
    • /
    • pp.21-2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behavioral patterns on residential spaces such as the patterns of residential space usage and perception on residential space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426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with 3 bedrooms, stairway access, and 3-bay style in the City of Seoul, Busan, and Gwangju,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in 2004.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factor analysis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dows, and with proc iml by using S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1) The most typical activities in the Anbang are $\ulcorner$sleeping and getting dressed$\lrcorner$, $\ulcorner$family communication and T.V. watching$\lrcorner$, and $\ulcorner$private affairs$\lrcorner$ ; Anbang(master bedroom) has been perceived and used as couple's private area. 2) Living room was used as a multi-purpose room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ulcorner$family interaction$\lrcorner$, $\ulcorner$entertaining guest with meals$\lrcorner$, $\ulcorner$children's private affairs$\lrcorner$, $\ulcorner$private affairs$\lrcorner$, $\ulcorner$hobby activities$\lrcorner$, $\ulcorner$clothes management$\lrcorner$, $\ulcorner$couple interaction$\lrcorner$, and $\ulcorner$occasions$\lrcorner$. 3) The representative patterns of activities in dining-kitchen was food $\ulcorner$preparation$\lrcorner$, and the need for social interaction in DK has been growing. The patterns of residential space usages can be us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unit plan of Korean middle-size a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