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생활기본법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fectural Basic Plans according to the National Basic Plan for Housing in Japan (일본의 전국 주생활기본계획에 따른 지역 주생활기본계획의 수립특성)

  • Youm, Chirl-Ho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2 no.5
    • /
    • pp.111-119
    • /
    • 2011
  • In recent years, the insistenc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hand over the right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housing policies to local governments is growing. And, it is need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pursue their own original housing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fectural plans of the national basic act for housing in Japan to envision the future directions of regional housing policies.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main policy contents, and the outcome indexes of all 47 prefectures' plans in Japa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ared their roles appropriately. In addition, the local governments proactively demonstrated the unique quality of their regions when establishing their housing policies. 2) In promoting housing policies, they focused on the housing stock and the market including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3) The policy-oriented goals and performance management practices were clearly presented.

환경보전협회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5 s.346
    • /
    • pp.63-64
    • /
    • 2003
  • 우리 협회는 환경정책기본법 제38조에 의거 1978년 10월 6일에 설립된 법정법인단체로서 환경보전에 관한 조사ㆍ연구, 기술개발, 환경관리인 법정교육, 범국민계몽사업 등을 전개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시켜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본회와 11개 시ㆍ도지회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서별 주요 활동사항은 다음과 같다.

  • PDF

환경정보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9 s.367
    • /
    • pp.83-84
    • /
    • 2007
  • 우리 협회는 환경정책기본법 제38조에 의거 1978년 10월6일에 설립된 법정법인단체로서 환경보전에 관한 조사.연구, 기술개발, 환경기술인 법정 교육, 범국민계몽사업 등을 전개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시켜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본회와 11개 시.도지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각 부서별 주요 활동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PDF

환경정보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9 s.368
    • /
    • pp.79-80
    • /
    • 2007
  • 우리 협회는 환경정책기본법 제38조에 의거 1978년 10월6일에 설립된 법정법인단체로서 환경보전에 관한 조사.연구, 기술개발, 환경기술인 법정 교육, 범국민계몽사업 등을 전개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시켜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본회와 11개 시.도지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각 부서별 주요 활동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PDF

환경정보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8 s.366
    • /
    • pp.63-64
    • /
    • 2006
  • 우리 협회는 환경정책기본법 제38조에 의거 1978년 10월6일에 설립된 법정법인단체로서 환경보전에 관한 조사ㆍ연구, 기술개발, 환경기술인 법정 교육, 범국민계몽사업 등을 전개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시켜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본회와 11개 시ㆍ도지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각 부서별 주요 활동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PDF

Analysis on the Constitutional Judicial Precedents concerning the Social Welfare Law (사회복지법 관련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 $1987{\sim}2004$년 헌법판례 현황과 내용을 중심으로)

  • Jung, Jin-Ky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1
    • /
    • pp.395-42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ous contents of legal life's conflicts and constitutional applications by analysing on the constitutional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to social welfare law. The total cases of constitutional precedents are 62 totally, and 22 precedents among 62 are analys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se 22 constitutional precedents consist of nine cases of concerning Social Insurance Act, six cases in National Pension Act, two cases in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Act and one cases in Social Welfare and Service Act. The major contents of these precedents are regarding to operational principles of social insurance system, rule of entitlements, benefit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he constitutional right such as property right, equal right, right of happiness. And also there are precedents to review how the rule of Act is interpreted or how the process of right protection is. Findings in this study show that Korean Constitutional Law has characteristics of welfare nationalism and social capital economics orientations, and sanctions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discretion.

  • PDF

A Study of Preprocessing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Algorithm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의 전처리에 관한 연구)

  • 이윤주;오세영;이순규;배명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9.11a
    • /
    • pp.668-671
    • /
    • 1999
  • 현대 사회의 컴퓨터 사용자 계층은 점점 그 범위와 수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더 편리하고 익히기 쉬운 컴퓨터의 사용법을 원하고 생활속에서 더 많이 컴퓨터를 활용하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인간에게 가장 친숙한 음성을 이용함으로써 이런 사용자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과 기계와의 인터페이스를 인간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인 음성을 이용하여 보다 빨리 작업 할 수 있게 하는 취지에 있다. 기존의 인식알고리즘은 그 복잡성이 높을수록 인식률은 증가하나 계산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계산시간의 증가는 윈도우환경의 컴퓨터 사용시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인식률은 증가시키면서 인식 시간은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사용시 쓰이는 명령어를 기본으로 하여 보다 빠른 인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기준 패턴의 후보자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conomic Valuation of an Urban Green Space Using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VM (이단계 이선 가상가치평가법을 사용한 도시녹지의 경제적 가치평가)

  • Hong, Sung-Kwon;Kim, Jae-Hyun;Jo, Hyun-K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6 s.107
    • /
    • pp.1-13
    • /
    • 2005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녹지를 1평을 늘리는 것에 대한 시민들의 지불의사금액(WTP)을 이단계 이선 가상가치법으로 계산함으로써 도시녹지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고, WTP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종류와 영향력 정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불도구는 기금이었으며, 'fat-tail problem'없이 WTP를 계산하기 위해 생존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민들은 생활녹지 1평을 늘리는데 약 23,400원을 기부할 용의가 있었다. WTP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연환경태도(NEP), 구조적 제한요소, 소득 및 환경보전을 위해 편리함을 양보할 의사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녹지의 개발 또는 보존과 관련된 정부의 의사결정이나 도시녹지 관련 예산 확충을 요구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Inquiry into New Direc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실과 및 가정과 교육의 철학적, 사회적 배경 고찰과 미래 방향 탐색)

  • Park, Soon-Ja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9 no.1 s.43
    • /
    • pp.115-131
    • /
    • 2007
  • 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inquiring into new direc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s done through this paper. The overall review of the related documents, records, books has been done, and research findings are presented as follows; Thought(Educational theory and Philosophy) for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based on Learning to Labor, Practical Science and Pragmatism. Korean curriculum for Home Economics were originated in Confucianism background, whi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fferent gender roles for men and women. However, Korean Home Economic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has been developed without philosophical base unlike that of American Pragmatism and Critical Theory. Therefore, scientific recognition in a section of value recognition was separated and developed so far. Thus, we could not answer to social missions about keeping values of life corresponding with changing environment I also observed the analysis of revision curriculum of the mentioned subject, and the changes of concepts of Work and Prasix,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fixing about a basic life education and a basic life skill, and reinforcement of the function in Home. And then, new directions is proposed that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 be reinforced for the upcoming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society(high proportion of the aged people). Because Characters on correct values of children and youths might be nurtured in home foremost.

  • PDF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Daegok and Sayeon Dam Basins (대곡·사연댐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물환경관리 방안)

  • Kim, Gyobeom;Rhee, Han-Pil;Shin, Minhwan;Lee, Seungjae;Park, J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6-466
    • /
    • 2022
  • 2018년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기존 국토교통부의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의 사무가 환경부로 이관되었다. 과거 부처별로 나누어진 물 관리 체계에 따라 부처간 업무중복, 과잉투자 등 수량과 수질에 대한 분리된 관리체계의 한계점으로 유역 상류에 설치된 댐의 경우 저류된 댐 용수의 수질악화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물관리 일원화 이후,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는 2025년까지 주요 상수원 수질을 좋음(I)등급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였고, 이와 연계하여 평가지표 등에 설정한 댐 수질목표를 2025년까지 매우좋음(Ia) 등급 달성을 위해서는 댐 상류 주요 오염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사연댐은 울산공업지구의 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1965년 준공되어 울산 일원에 100,000m3/일 이상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수원시설이며, 대곡댐은 기존 울산지역에 공업용수로 사용하던 사연댐의 물을 생활용수로 전환하고, 대곡·사역댐의 연계운영을 통해 연간 66백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원시설이다. 수질 목표기준의 경우 대곡댐은 좋음(Ib), 사연댐은 매우좋음(Ia)로 설정되어 있으나, 2015~2019년까지의 TOC, T-P의 평균 달성률을 살펴보면 대곡댐은 TOC 45.8%, T-P 27.1%의 목표수질 달성률을 나타내었고, 사연댐은 TOC 및 T-P 모두 0%로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곡·사연댐 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특성 및 오염원 발생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 유역 물환경 기초자료 조사와, 2) 모니터링을 통한 댐유역 오염 원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안)을 도출하였다. 이 때, 개선대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역 모형(HSPF)과 호소수질(AEM3D) 모형을 활용하여 수질모델 구축 및 보정을 수행하였고, 개선 대책(안)에 대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대곡·사연댐 유역의 호소수질 변화를 파악하고 댐 유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