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상골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3초

족부 X선 검사에서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ibia-Foot angle과 X-ray tube 각도에 대한 연구 (Study of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Navicular in Foot X-ray Examination)

  • 문주완;한재복;최남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9-46
    • /
    • 2018
  • 본 연구는 영상의학과에 내원한 족부환자를 대상으로 족부 X선 검사 시 주상골(navicular)의 관찰이 어려운 점을 바탕으로 환자의 position과 X선관 각도의 변화를 주어 어떠한 position과 X선관 각도에서 주상골의 관찰이 용이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상골 관찰을 위해 실험대상자의 position은 Foot AP,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position의 세 가지로 하였다. T-F angle(Tibia-Foot angle)은 $90^{\circ}$$135^{\circ}$로 정의하였고, X선관 각도는 $0^{\circ}$, $5^{\circ}$, $10^{\circ}$, $15^{\circ}$, $20^{\circ}$, $25^{\circ}$로 정의하여 실험한 후 획득한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Foot AP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circ}$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circ}$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3%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9점으로 골절의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circ}$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circ}$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30점으로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다. Foot internal oblique position에서는 T-F angle이 $90^{\circ}$인 경우 X선관 각도가 $0^{\circ}$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circ}$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0^{\circ}$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oot external oblique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circ}$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circ}$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circ}$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circ}$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X 선 족부검사에서 각 position에 해당하는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F 각도와 X선관 각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상골 골절 판독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수근부 주상골의 연골모세포종 (증례 보고) (Chondroblastoma of the carpal scaphoid (A Case Report))

  • 정경칠;김기용;최장석;서승석;김경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4-198
    • /
    • 2005
  • 연골모세포종은 장골의 골단에 호발하는 상대적으로 드문 양성 종양이다. 양성 연골 모세포종은 양성 골종양의 약 1% 정도를 차지한다. 특히 수근부의 연골모세포종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파술 및 혈관부착 골이식술로 치료한 수근부 주상골에 생긴 연골모세포종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족근 거주상탈구와 동반된 비전위성 주상골 골절 - 증례 보고 - (Talonavicular Dislocation with Nondisplaced Fracture of Navicular - Case Report -)

  • 홍창화;박종석;최호림;이상선;권세원;조주형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57
    • /
    • 2008
  • 족부 주상골의 골절 및 거주상 관절의 탈구는 그 빈도가 매우 드물다. 이에 대하여는 관혈적 혹은 비관혈적의 정복술이 요구된다. 저자들의 단독 주상골 골절 및 거주상 관절 탈구에 관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을 이용한 치료를 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주상골의 유골 골종 - 1례 보고 - (Osteoid Osteoma in Scaphoid - A Case Report -)

  • 이광석;우경조;박종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40-243
    • /
    • 1995
  • 본 저자들은 희귀 증례로 사료되는 주상골에 발생한 유골 골종 1 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며, 유골 골종의 특징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인하여 진단은 어렵지 않았으며, 치료는 구역 절제술(en bloc excision)이 원칙이나, 주상골에 발생한 유골 골종의 경우는 광범위 소파술과 자가골 이식술을 통하여 재발없이 종양의 완전 치유가 가능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병원 내원 환자에 대한 연구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A Single Institution-Based Study)

  • 김태용;윤소희;고정훈;이태호;이승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24-330
    • /
    • 2020
  • 목적: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드물고 특히 성인에서의 다발성 족근골 유합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본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양상 및 유병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족부 및 족관절의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족관절 염좌 및 골절 환자 총 4,711명(남성 4,454명, 여성 257명)을 대상으로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및 양상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0년동안 총 78명(1.7%)의 환자에서 족근골 유합이 관찰되었고 전체 족근골 유합 환자 중 25명(32.1%)에서 다발성 족근골 유합이 확인되었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거골-종골 유합이 단발성(31명 37예, 62.7%) 및 다발성(22명 23예, 45.1%) 족근골 유합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고 단발성 유합에서는 종골-주상골 유합(10명, 16.9%), 주상골-설상골 유합(9명, 15.3%), 입방골-주상골 유합(3명, 5.1%)의 순서로, 다발성 유합에서는 종골-주상골 유합(14명 14예, 27.5%), 거골-주상골 유합(6명 6예, 11.8%)의 빈도 순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총 60예의 거골-종골 유합 중 후방 관절소면에서 24예(40.0%)의 유합이 확인되었고 중간 관절소면에서 18예(30.0%), 전방 관절소면에서 4예(6.7%)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조직학적인 분류에 따라 연골성 유합이 단발성(32명 35예, 59.3%) 및 다발성(20명 37예, 72.5%) 4예(6.7%)모두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결론: 기존의 문헌들을 통해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거골-종골 유합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거골-종골 유합은 대부분 중간 관절소면에서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후방 관절소면에서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극히 드물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발성 족근골 유합은 이제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다양한 양상으로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진단 및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Medial Ankle Instability)

  • 김진수;양기원;이한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1
    • /
    • 2013
  • 목적: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전성을 진단하고, 내측 삼각인대 봉합술로 치료한 단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 5부터 2009. 11까지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던 262명의 남자 군인 중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진단한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진찰소견과 방사선 소견 및 관절경적 소견에서 족관절 내측 이완 소견이 관찰된 경우로 하였으며, 수술은 손상된 삼각인대의 거골-주상골 인대를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단축, 봉합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의 미국 족부 족관절 학회 족관절-후족부 점수(AOFAS), 시각 동통 점수(VAS) 및 수술후 족관절 기능 만족도를 측정하여 임상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 중 11.1%에서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측 거골-주상골 인대 봉합술을 시행한 후 AOFAS는 수술전 평균 64.5점(범위: 43~83점)에서 수술후 평균 82.0(범위: 60~100)점으로 증가하였으며, VAS는 수술전 평균 6.0점(범위: 4~10점)에서 수술후 평균 3.2점(범위: 1~7점)으로 감소하였다. 만족도는 우수가 13명 (44.8%), 만족이 11명(37.9%), 불만족이 5명(17.2%)이었다. 재발한 경우가 2례 있었으며, 타가인대(allo-tendinous graft)를 이용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만성 내측 족관절 불안정성에 대하여 거골-주상골 인대를 봉합하는 수술을 시행한 후 약 83%에서 만족한 성적을 얻었다.

  • PDF

회외발에 대한 족관절 관절가동술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on equilibrium ability in the individuals with supinated foot)

  • 공원태;마상렬;김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3호
    • /
    • pp.527-539
    • /
    • 2009
  • 회외발에 대한 거골하 관절가동술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주상골 하강 검사에서 주상골의 하강이 4mm이하의 저가동성인 회외발군 20명을 실험군으로, 정상발군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거골하 관절가동술을 주 3회 4주간 총 12회 적용한 결과 실험기간에 따라 동요 면적, 동요길이, 동요 최대 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에서는 기간에 따라 동요 면적, 동요 길이, 동요 최대 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요 면적, 동요 길이, 동요 최대 속도에 대한 그룹 간 비교에서 설험 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2주 후, 실험 4주 후, 실험종료 2주 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