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사통증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8초

관심전환 중재가 영유아의 병원 공포와 주사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straction on Hospitalized Children's Fear of Hospital and Needle-related Pain)

  • 조수미;안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84-69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iscover the effects of distraction on the hospitalized children's fear of the hospital and needle-related pain.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visual stimulation using a character from the injection room entrance. In addition, the video recording of 'bambarabam' was provided for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to distract the children. The research tools included the hospital-related fear scale, Faces Pain Rating Scale (Wong & Baker, 1988) and Procedure Behaviour Check List (Lebaron&Zeltzer, 1984).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PSS 19.0 program was used on the collected data for $X^2$-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fear ofthe hospita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U=151.50, p=.024).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ain on both Faces Pain Rating Scale (U=167.50, p=.043) and the Procedure Behaviour Check List (U=106.00, p=.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trac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child's fear of the hospital and injection pain.

정맥주사 투여 시 대상자가 인지하는 통증,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 통증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of Pain,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Patients Recognize on Intravenous Injection - Focus on Pain Relating Factors -)

  • 김희정;정승교;김경희;강경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6-31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pain which patients recognize when receiving an intravenous injection. Method: Participants were 111 patients who were admitting to C University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1.0 program. Results: For the participants, factors related to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were the following: Phlebitis scale, who administers the IV injection, failure to complete the IV injection, explaination of the IV injection and rate of injection. Level of pain,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participants was as follows: Pain ($4.86{\pm}2.09$), depression ($35.76{\pm}9.91$), anxiety ($32.34{\pm}8.87$).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in and depression (r= .437, p< .000), between pain and anxiety (r= .478, p< .000), and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r= .544, p< .000). Conclusion: Such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pain which patients recognize when having an intravenous injection.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establish the causal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pain and to determin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 PDF

삼차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 of Botulinum Toxin on Neuropathic Pain after Trigeminal Nerve Injury)

  • 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8
    • /
    • 2012
  •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이마, 눈가 주름치료 등 미용성형분야 뿐만 아니라 구강 악안면 분야에서는 만성 편두통(chronic migraine), 근육긴장이상(dystonia), 경직(spasticity), 측두하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의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운동신경에서 마비효과 뿐만 아니라 감각신경에서 말초감작과 신경원성염증과 관련되는 substance P, CGRP, glutamate 등 비콜린성 신경전달물질의 유리를 차단하여 통증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쥐, 토끼 등 동물 신경 손상 모델에 대한 실험과 치과 치료 후 발생한 신경 손상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진통 효과 및 작용 기전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흉술후 지속적 경막외마취가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pidural Pain Block After Thoracotomy)

  • 최덕영;원경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809-814
    • /
    • 1997
  • 마약성 진통제와 국소마취제에 의한 지속적 경막외마취는 개흉술후 통증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994년 1월부터 1995년 7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츠방 혹은 후측방 개흉술을 받은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19명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 경막외마취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먼저 lidocaine과 norphine을 섞어 경막서 지속적 외도관을 통해 주사하고 그후 bupivacaine과 morphine을 섞어 술후 5∼6일간 지속투여를 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환자의 통증수치와 상지거상능력과 호흡수는 주사추 30분부터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변화되어 술후 통증이 경감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말초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2시간 후부터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줄어들어 환자가 효과적인 호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술후 재원기간도 의미 있게 줄어들었다. 경막외마취의 주요한 합병증으로는 뇨정체가 있었으나 심각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는 개흉술후 경막외마취가 우수한 통증완화 효과가 있어 술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고 술후 빠른 회복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증식치료 (Prolotherapy in Orthopedic Field)

  • 손민수;유재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1-110
    • /
    • 2011
  • 증식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기전, 시술방법, 결과 및 합병증 등에 대하여 근거-중심의 문헌 고찰을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증식치료는 전통적으로 건 혹은 인대 이완으로 인한 통증을 포함한 만성적인 근-골격 계 통증의 치료법 중 하나로써 증식치료제를 주사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인체의 정상적인 치유 기전을 자극하는 최소 침습적 주사요법이다. 증식치료제는 크게 세가지 기전에 의하여 작용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증식치료제는 10~25% 포도당이다. 최근 초음파 기기의 발달과 함께 증식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어 진단 뿐 아니라 초음파 중재 하 시술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주사 부위의 통증으로 대개 자기한정적이고 진통제에 잘 반응한다. 그 외 합병증은 드물며 경험이 많은 임상의에 의해 시행되었을 경우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식치료는 근-골격 계 통증 및 관절 이완의 치료방법으로써 최근 재조명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보고된 결과들은 아직까지는 그 적응과 효과에 대한 확실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향후 적응이 되는 대상의 선택을 확실히 할 수 있는 신체검진 혹은 진단 기술 등에 대한 연구 혹은 주사요법과 다른 보존적 치료와의 비교 연구 등을 통하여 증식치료에 대한 근-골격 계에 있어서의 독립적이면서 효과적인 역할에 대하여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 PDF

Capsaicin이나 Bradykinin으로 유발된 통증에 대한 봉독의 억제 효과 (Anti-nociceptive Effect of Bee Venom on Capsaicin or Bradykinin-induced Pain)

  • 양창열;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9-49
    • /
    • 2007
  • 목적 : 봉독으로 유발된 통각수용의 강도와 봉독으로 나타나는 항통각수용(통각억제성)의 강도를 쥐의 포르말린 테스트를 통해 상호관련됨을 확인하고 capsaicin과 bradykinin으로 통증 유발된 쥐의 자발적인 통증행동(핥기횟수측정; LN), 꼬리경타시험(TFL)과 열판시험(HPL)을 통해 봉독의 항통각수용(통각억제)작용을 재확인 하고자 하였다. 방법 : 쥐의 뒷다리에 통증유도 물질인 Capsaicin 또는 Bradykinin을 20${\mu}l$를 주사하여 동통을 유발하고 자발적 통증행동인 핥기횟수측정(LN), 꼬리경타기간(TFL)과 열판 위에서의 온도자극에 쥐가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HPL)하는 실험을 봉독을 주입하거나, 몰핀을 주입하거나, 아무것도 주입하지 않고 통증유발만 시킨 이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1. Capsaicin 또는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 후 LN은 두드러증가를 보임, HPL은 감소를 TFL은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2. 봉독이나 몰핀 주입 30분 후에 Capsaicin으로 동통유발 이후 LN은 봉독과 몰핀에서 모두 현격한 감소를, HPL은 봉침은 현격한 증가를, 몰핀에서는 감소를, TFL은 봉침과 몰핀에서 모두 현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봉독과 몰핀주입 30분후에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 이후 LN은 봉독은 증가 몰핀은 현격한 감소를, HPL은 봉침은 증가 몰핀에서는 현격한 증가를, TFL은 봉침과 볼핀에서 모두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봉독은 Capsaicin 또는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된 통각수용행동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기존의 연구결과들에서의 봉독의 항통각수용(통각억제성)의 효과를 입증하였고 봉약침은 염증의 개선이나 암과 관련된 동통에 유효한 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만성편두통 치료를 위한 측두 부위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 자입점 제시 (A proposal of injection points of botulinum toxin into temporal region for chronic migraine)

  • 김영건;배정희;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17
  •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이마, 눈가 주름치료 등 미용성형분야 뿐만 아니라 만성 편두통(chronic migraine), 근육긴장이상(dystonia), 경직(spasticity), 측두하악장애의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만성편두통환자의 예방적 치료요법으로 현재까지 유일하게 승인된 요법이다. 기존에 잘 알려진 운동신경에서의 마비효과와는 달리, 편두통에 대한 작용기전은 감각신경에서 말초감작과 신경원성염증과 관련되는 substance P, CGRP, glutamate 등 비콜린성 신경전달물질의 유리를 차단하여 통증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툴리눔독소가 갖는 진통효과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를 통하여 추후 만성편두통환자에 대한 주사법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 peripheral tremor associated with intractable pain after traffic accident : case report

  • ;김성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74-77
    • /
    • 2009
  • 말초에서부터 야기된 행동장애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말초 신경 손상 후의 행동장애가 심리적인 것으로 인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말초 신경 손상에 의해 야기된 상지의 진전에 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5세 남자환자는 자동차 사고 이틀 후 상지의 통증과 진전이 발생하였다. 뇌 및 경추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상 특이소견이 없었다. 과거력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행동장애에 대한 가족력 또한 없었다. 그는 하루에 약 네 차례에서 여섯 차례 십분 이상 지속되며 악화되는 진전으로 고통 받았다. 약물 치료, 경막외주사 주입, 경추의 신경차단술, 통증유발부위 주사요법 등으로 통증 조절을 하였다. 그 결과 통증이 반 정도 줄었으며 진전의 강도, 시간, 빈도가 줄어들었다.

  • PDF

비뇨기과 복강경 수술 후 국소마취제 점적의 효과 (Effect of surgical site instillation after laparoscopic urologic surgery)

  • 황용;신상열;오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00-206
    • /
    • 2018
  • 본 연구는 비뇨기과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부위에 국소마취제인 Ropivacaine을 침윤주사 하였을 때 수술 후 발생하는 어깨 및 상복부 통증에 대한 진통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5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본원 비뇨기과에서 복강경하 신절제술을 시행 받은 97명의 환자 중에서 수술 부위에 Ropivacaine 침윤주사를 시행 받은 5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통증을 수술 직후, 술 후 24, 48, 72시간의 간격으로 시각 통증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수술시간, 수술 후 식이섭취 시작, 수술시간, 술 후 재원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어깨와 상복부의 통증 점수가 두 그룹간에 수술 직후와 수술 후 24시간 뒤에 의미 있는 차이가 발생 하였다. 국소마취제를 침윤하지 않은 그룹에서 수술 후 24시간까지 이산화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통증에 차이가 있었으나, 국소마취제를 침윤한 그룹에서는 수술 중 사용한 이산화탄소 양에 따른 통증 차이는 없었다. 국소마취제 주입에 따른 환자들의 보행시기, 식사 시작, 입원 기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국소마취제 Ropivacaine의 침윤 사용이 복강경 수술 후 24시간까지 어깨 및 상복부 통증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 중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복강경 수술 부위에 Ropivacaine을 사용한 주입법이 술 후 조기에 발생하는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Physician's Attitude toward Treating Breakthrough Cancer Pain in Korea

  • Seo, Min Seok;Shim, Jae Yong;Choi, Youn Seon;Kim, Do Yeun;Hwang, In Gyu;Baek, Sun Kyung;Shin, Jin Young;Lee, Juneyoung;Lee, Chang Geol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1호
    • /
    • pp.18-25
    • /
    • 2017
  • 목적: 돌발성 통증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암환자에서 필수적이다. 돌발성 통증을 조절하는 것은 의료진이 돌발성 통증에 대해 잘 이해하고 적절한 구제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에 달려있다. 본 연구는 한국 완화의료 전문의들의 돌발성 통증에 대한 견해와 진료 형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 시행된 2014년 돌발성 통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100명의 의사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총 33개의 자가 기입식 설문 문항 중에서 12개의 항목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빠른 작용 발현은 구제 진통제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경구 옥시코돈(65%)과 모르핀 주사제(27%)는 흔히 사용되는 구제진통제였다. 소수의 의사들(3%)만이 점막 흡수형 펜타닐을 선호하였다. 빠른 작용 발현 때문에 경구 옥시코돈을 선택한다고 답변한 의사들은 21.5%였으며, 반면에 빠른 작용 발현 때문에 모르핀 주사제를 처방한 의사들은 81.5%였다. 전체 응답자의 약 66%는 돌발성 통증이 구제 진통제로 잘 조절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결론: 돌발성 통증 조절에 의료진들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의료진들이 구제진통제를 선택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중요한 요소와 실제 처방의 형태에는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