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사통증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1초

견봉하 삼각근하낭염 환자에서 견봉하낭 스테로이드 주사 후 운동의 효과 (Role of Exercise after Subacromial Bursa Injection in Subacromial Subdeltoid Bursitis)

  • 김선웅;김상준
    • Clinical Pain
    • /
    • 제16권1호
    • /
    • pp.20-25
    • /
    • 2017
  • Objective: To find that the patients who conducted home self-exercise in conjunction with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will have better improvement in subacromial subdeltoid (SASD) bursitis symptoms than those who received only an injection. Method: A prospective, nonrandomized,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in outpatient rehabilitation clinic in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diagnosed with SASD bursitis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und evaluation were included and received ultrasound guided injection (UGI).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ompliance of self-exercise: UGI-exercise group and UGI only group. Visual analog scale (VAS) was checked before, at 3 weeks, 3 months, and 6 months after the UGI. A patient's global impression of change (PGIC) survey was made at 3 months after the UGI. Results: A total of 82 patients with SASD bursitis were included. At 3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 mean VAS for the UGI-exercise group was 2.6 ± 1.7 and for UGI only group was 1.9 ± 1.3 (p=0.030). At 3 months after the injection, the mean VAS for the UGI-exercise group was 4.0 ± 1.3 and for UGI only group was 5.4 ± 1.4 (p<0.001).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home-based self-exercise of the shoulder provides an additional benefit for pain alleviation possibly with prolonging the effect of injection in SASD bursitis.

동결견 환자에서 관절강내 스테로이드 주사 후 관절가동범위의 변화 (Changes in Range of Motion after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in Frozen Shoulder: A Retrospective 3-Month Follow-Up Study)

  • 조형준;윤승현;김민철;김대환
    • Clinical Pain
    • /
    • 제18권2호
    • /
    • pp.76-81
    • /
    • 2019
  • Objective: To examine (1) the degree of reduction of passive range of motion (PROM) on the affected side compared to that on the unaffected side and (2) the degree of increase in PROM following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IACI)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Method: The medical records of 120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ROM of the unaffected and affected shoulder (flexion, extens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external rotation) was compared, and changes in PROM of the affected shoulder after a single IACI (triamcinolone 20 mg) were evaluated after 12 weeks. Results: At the time of diagnosis, PROM of the affected shoulder was most limited in external rotation, followed by internal rotation, abduction, extension, and flexion, compared to that of the unaffected shoulder. Compared to before IACI, PROM of external rotation demonstrated the greatest increase compared to all the other movements after IACI. Conclusion: Limitation in PROM of the frozen shoulder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greatest for external rotation. Moreover, external rotation experienced the greatest improvement after IACI. Our findings should help to further clar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shoulder, aid in its diagnosis, and allow the prediction of the effects of IACI.

소아 열상 처치에서 적절한 용량의 ketamine과 midazolam 병용 근육주사의 진정효과 (The efficacy of optimal doses of intramuscular ketamine and midazolam injections for procedural sedation in laceration repair of children)

  • 유제성;조영순;최영환;김승환;이한식;이진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26-731
    • /
    • 2006
  • 목 적 : 소아의 통증을 수반하는 술기의 시술시에 진통, 진정을 위해 ketamine을 사용하는데, midazolam을 병용 투여 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ketamine의 근육주사의 적정용량은 국내에서 연구된 바가 없으며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ketamine 3 mg/kg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얻어 용량을 4 mg/kg로 증량하여 KMA(ketamine+midazolam+atropine)와 KA(ketamine+atropine)의 진정 및 부작용 발생여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열상처치 시 진정이 필요한 생후 3개월에서 7세까지의 6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KMA군(IM ketamine 4 mg/kg+atropine 0.01 mg/kg+intramuscular midazolam 0.05 mg/kg) 혹은 KA 군(without midazolam)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anxiety/tolerance scores, 합병증, 진정정도, 진정유도시간, 진정회복시간, 총 진정시간, 시술자의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결 과 : 두 군간에 성비, 체중, 연령, 상처 부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anxiety/tolerance score, 진정유도시간, 진정회복시간, 총 진정시간에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효과적 진정을 보인 경우가 KA군은 66.7%, KMA군은 90.9%로 KMA군이 진정에 보다 효과적이었으며(P=0.02), 시술자의 만족도는 KA군은 55.6%, KMA군은 90.9%로 만족, 매우 만족 이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미 있는 부작용의 발생은 KA군은 37.0%, KMA군은 0.0%였다. 결 론 : 소아의 피부 열상 봉합 시 진정을 위해 근육주사를 통한 ketamine 4 mg/kg과 midazolam 및 atropine의 병용 투여는 ketamine과 atropine만을 투여하는 것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진정을 유도할 뿐 아니라 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과 상아질의 절삭율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Ablation Rates of Er: YAG Laser Irradiation on Dentin and Enamel)

  • 김근아;안용우;고명연;박준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131-140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븀 야그 레이저의 상아질과 법랑질에서의 절삭율을 조사하고 레이저 절삭후의 형성된 와동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전통적인 핸드피스 드릴을 이용한 와동의 미세구조적 변화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사용된 어븀 야그 레이저는 20 Hz, 15 Hz의 주파수에서 200 mJ, 250 mJ, 300 mJ의 에너지 레벨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1. 3 W-6 W의 에너지 세기로 조사한 상아질 그룹에서의 절삭율은 약 $1.103{\sim}2.639mm^3/sec$ 이었고 4.5 W$\sim$6 W의 에너지 세기에서는 유의한 절삭율의 차이가 없었다. 2. 3 W-6 W의 에너지 세기로 조사한 법랑질 그룹에서의 절삭율은 약 $0.413{\sim}0.969mm^3/sec$ 이었고 4 W$\sim$6 W의 에너지 세기에서는 유의한 절삭율의 차이가 없었다. 3. 전통적 고속핸드피스 드릴로 삭제된 와동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말층으로 덮인 비교적 편평한 표면을 보였다. 4. 레이저로 삭제된 상아질 와동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말층이 없으며 상아세관이 열려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3 W 이상의 에너지 세기로 조사한 와동에서는 표면이 불규칙하며 파편들이 헐겁게 붙어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5. 레이저로 삭제된 법랑질 와동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심하게 파괴된 면이 6 W에서 보였으며 3 W의 에너지 세기에서는 용융된 구상물질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4 W의 에너지 세기로 조사한 그룹에서는 깨끗하게 절삭된 면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어븀야그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아를 삭제할 때에 가장 효과적이며 열적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 세기는 상아질에서는 3 W, 법랑질에서는 4 W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더 많은 연구와 추가적인 자료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ive Concentration of Procaine Solution for Inotophoresis

  • 이재형;김주형;제갈승주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1호
    • /
    • pp.1-6
    • /
    • 1998
  • 효율적으로 국소마취를 유발시키는 procaine이온도입의 효과적인 농도를 조사하였다. 19세에서 34까지의 자원자 45명을 9명씩 무작위로 5군으로 나누어 배치하고, 각군 대상자의 오른쪽 전완 전면에 각각 $2\% (pH\;5.2H),\;4%(pH\;5.12),\;8\%(pH\;4.98),\;16\%(pH\; 4.72),\;32\%(pH\;4.52)$ 염산 procaine용액 2ml를 적신 $3.5\times3.5 cm$의 면패드를 대고 4mA로 10분간 양극 직류전류를 통전시켰다. 이온도입 직후부터 5분 간격으로 21 G주사침으로 이온도입부위를 1mm함몰되게 눌러 바늘로 찌르는 통증을 느낄 때까지 감각검사를 시행하여 국소마취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Procaine의 농도에 따른 축소마취지속시간을 일원분산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F=5.83; df=4, 40; p<.001). 이를 사후검정한 결과 농도 $4\%$의 국소마취지속시간이 농도 $2\%,\;8\%,\;16\%,\;32\%$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p<.01). 또한 상관분석 결과 약물의 농도는 국소마취지속시간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r=-0.41, NS). 본 연구 결과 $4\%$ 농도의 염산 procaine 용액의 이온도입이 국소마취지속시간을 가장 길게 유지하여 $4\%$ 염산 procaine 용액이 이온도입에 가장 효과적인 농도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Nd:YAG레이저조사가 경화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tion on the Sclerotic Dentin)

  • 김문현;신금백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397-410
    • /
    • 1999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concerning the optimal parameters in using Nd:YAG laser as a therapeutic modality to dentinal hypersensitivity, the author prepared 3 sections of sound dentin and 10 sections of sclerotic dentin with thickness of $0.5mm{\pm}0.1mm$ from human extracted teeth of anteriors and premolars, and applied the laser energy from a fiberoptic delivered, free running, pulsed Nd:YAG laser (wavelength 1064nm, pulse duration $120{\mu}sec$, fiber diameter $320{\mu}m$) to surfaces of sound and sclerotic dentin sections for 1 second with contact/unidirectional moving mode of the fiber under speed of 3mm~4mm/sec and parameters of 0.5W/10Hz, 1.0W/10Hz, 1.5W/10Hz, 2.0W/10Hz: $62J/cm^2$, $124J/cm^2$, $187J/cm^2$, $249J/cm^2$. The author comparativel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tructural changes on surfaces of sound and sclerotic dentin sections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 fairly ill-defined bordered surface of partially closed and melted dentinal tubules can be seen 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eature of the sound dentin surface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with energy density of $62J/cm^2$. The physical modification of sound dentin surface extensively occurred depended on the increase of energy density from $62J/cm^2$ to $124J/cm^2$, $187J/cm^2$, $249J/cm^2$. While, a fairly well-defined bordered surface of partially closed and melted dentinal tubules with thickened peritubular dentin can be seen 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eature of the sclerotic dentin surface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with energy density of $62J/cm^2$. The physical modification of sclerotic dentin surface of a fairly rough, shallow depression with many cracks, thickened peritubular dentin and structureless dentinal tubules extensively occurred depended on the increase of energy density from $62J/cm^2$ to $124J/cm^2$, $187J/cm^2$, $249J/cm^2$ compared to those of sound dentin surface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under the same paramet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pulsed Nd:YAG laser as a therapeutic modality to dentinal hypersensitivity should be applied with the less energy density than $62J/cm^2$ on the sound dentin surface, and its energy density on the partially sclerotic dentin surface should be lower than that on the sound dentin surface to preserve tooth from unnecessary excessive structural destruction.

  • PDF

건강한 소아와 청소년에 대한 A형 간염(VAQTATM) 2회 접종시 면역원성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Two Doses of Hepatitis A Vaccine(VAQTATM) in Healthy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진수;박지호;손영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160-167
    • /
    • 2001
  • 목 적 : A형 간염의 항체보유율의 감소와 이에 따른 질병 부담이 커진 최근, 건강한 2~17세 소아, 청소년에게 2회에 걸친 A형 간염 백신 접종 후 면역원성과 안전성 및 내약성을 조사하여 기본 접종으로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110명의 대상자를 통한 공개, 단일 기관 임상시험으로서, 대상에 적합한 건강한 소아, 청소년에게 24주 간격으로 2회 A형 간염($VAQTA^{TM}$) 백신을 투여하였다. 2차 접종 4주 후에 modified HAVAB 검사법으로 면역원성을 평가하였고, 매회 접종마다 30분간의 즉각적인 알레르기 반응, 4일간의 발열 반응, 14일간의 국소, 전신 이상반응을 평가하였다. 결 과 : 총 110명 중 대상에 적합한 102명이 1차 접종을, 100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하였다. 채혈은 90명에서 실시되었고 2차 접종 4주 후 100%의 면역원성을 나타냈다. 기하평균은 Per-protocol analysis에서 7,991.1 mIU/mL이었다. 이상반응으로는 국소 이상 반응이 2.9%로 주사 부위의 통증이 2%, 소양감이 1%였다. 전신 이상반응은 4.2%였으며 피로감이 가장 많아 2.9%였고, 구토와 구역, 무력감 등이 관찰되었다. 아나필락시스나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이 모두 경미하고 일시적이었다. 결 론 : 소아용 A형 간염 백신($VAQTA^{TM}$)을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후 100% 면역원성 관찰하였으며 접종자에서 우수한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성인에서 A형 간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아에서 적극적인 예방접종의 필요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 PDF

가토의 좌골신경에 Morphine, Meperidine, Pentazocine을 주사한 후 미세형태학적 및 신경생리학적 변화 (Ultrastructural and Neurophysiological Changes Observed Following Injection of Morphine, Meperidine and Pentazocine in the Sciatic Nerves of Rabbits)

  • 전재규;김세연;배정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5권2호
    • /
    • pp.213-220
    • /
    • 1992
  • Morphine, meperidine 및 pentazocine을 가토의 좌골신경에 주입한 후 마약제의 신경차단 유무와 약제 주입 후 4시간, 24시간 및 1주에 좌골 신경을 절취하여 신경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좌골신경에 약제를 주입한 후 신경자극에 의한 반응과 뒷다리 운동을 관찰한 결과, morphine군은 신경차단 효과가 없었고 meperidine군과 pentazocine군은 약제주입 5분 후부터 근육이완이 시작되어 10분 후부터 근육수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뒷다리에 마비증상은 약제주입 60분 후부터 부분적으로 회복되기 시작하여 90분 후에는 정상으로 회복되는 양상의 신경차단 효과가 있었다. 광학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모두 4시간부터 1주까지의 표본에 특기할만한 변화가 없었으며, 전자 현미경적 소견에서 morphine군은 1주 후 소견에서 유수신경섬유와 무수신경섬유에 경미한 수포양을 보였다. Meperidine군은 4시간 후 소견으로 유수신경섬유의 축삭돌기에 경미한 수포양이 있었고 무수신경의 마이엘린화되는 소견이 있었으며, 24시간 후 유수신경섬유에 경미한 수포양이 있었고 무수신경섬유가 정상으로 되었으며 1주 후 특기할 만한 변화가 없었다. Pentazocine군은 약제주입 4시간 후 유수신경섬유에 경미한 수포양을 보였으며 24시간 후 유수신경 섬유와 무수신경섬유에 중등도의 수포양이 나타났으며 1주 후 경미한 수포양을 나타내었다. 주입된 약제중 morphine이 가장 수포양이 적었으며 pentazocine이 심한 변화를 나타내었고, 전단계 쥐 실험에서 나타났던 meperidine주입 1주 후의 심한 신경조직 손상은 본 실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초 치료로서 7-French 흉관의 적용 (Clinical Efficacy of 7-French Catheter for Initial Treatment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류경민;정의석;조석기;성숙환;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94-398
    • /
    • 2006
  • 배경: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초 치료의 목적은 흉막강 내의 공기 제거와 폐장의 재팽창 유도이며,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20 Fr이상 크기의 흉관을 흉막강에 삽입한다. 그러나 원발성 자연기흉의 병태 생리를 고려할 때보다 작은 크기의 흉관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7 Fr 크기의 도관을 흉관으로 사용하여 그 효용성과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원발성 자연기흉으로 입원 치료를 한 환자 중 초 치료로 흉강삽관술을 시행한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7 Fr 흉관을 사용한 환자들과 24 Fr 흉관을 사용한 환자들의 흉관 거치기간, 진통제의 사용여부, 폐의 재팽창 정도, 합병증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흉관의 평균 거치기간은 7 Fr군이 $2.4{\pm}1.1$일, 24 Fr군이 $2.3{\pm}1.3$일로 차이가 없었다. 주사 진통제의 사용은 7 Fr군에서는 없었으나 24 Fr군에서는 모든 환자들이 사용하였다. 7 Fr 흉관만을 사용하여 치료한 환자들의 77%에서 폐장의 완전 재팽창을 얻을 수 있었다. 7 Fr 흉관의 문제점은 도관의 꺾임이며, 5.6%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7 Fr 흉관을 이용한 원발성 자연기흉의 초 치료는 기존의 24 Fr 흉관과 비교하여 공기제거, 폐의 재팽창, 통증경감, 미용적 측면에서 모두 만족할 만 하였으나, 꺾임을 방지할 수 있게 도관의 개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Nd:YAG 레이저조사가 치경부 백악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tion on the Cervical Cementum)

  • 최복;이정연;신금백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4호
    • /
    • pp.415-425
    • /
    • 2000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concerning the optimal lasing conditions in using Nd:YAG laser as an adjunctive modality of periodontal therapy of root planing without irreversible structural deterioration of cervical cementum, the author selected 36 human teeth having no cervical abrasion and caries (; 12 anteriors, 12 premolars. 12 molars)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diseases, and divided them into 4 groups as Group I, II, III and IV (; each group of 3 anteriors, 3 premolars, 3 molars), and prepared a cementum specimen with thickness of $1.0mm{\pm}0.2mm$ sectioned longitudinally at the middle of mesio-distal thickness (; Group I) or horizontally at 1mm-2mm below the cemento-enamel junction (; Group II, III, IV) from each tooth of each group by low speed diamond wheel saw, and treated them with 0.5 M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 EDTA, pH=7.4) for 2 minutes for elimination of remnants during tooth-sectioning. And the author applied the laser energy from a fiberoptic delivered, free running, pulsed Nd:YAG laser (; wavelength 1064nm. pulse duration $120{\mu}sec$, fiber diameter $320{{\mu}m}$) to cementum surfaces in triplicates of one experiment under the following lasing conditions: 1. stationary mode of fiber in contact to cementum surfaces without air-spray (; Group I )/with air-spray (; Group II), 2. unidirectional moving mode of fiber in contact to cementum surfaces under speed of 3mm-4mm/sec without air-spray (; Group III)/with air-spray (; Group IV), 3. energy per pulse (mJ/pulse) [; energy density ($J/cm^{2}$)] in order of 1.0W/10Hz (100J/pulse); $124J/cm^{2}$, 0.5W/10Hz (50mJ/pulse); $62J/cm^{2}$, 0.4W/10Hz (40mJ/pulse); $50J/cm^{2}$, 0.3W/10Hz (30mJ/pulse); $37J/cm^{2}$, 4. exposure time of 1 second. And the author applied the platinum coating on surfaces of cementum specimens, and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tructural change on surfaces of cementum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general the ultrastructural loss of cervical cementum irradiated under the same lasing condition of laser energy density occurred least in specimens of Group IV. And especially, the ultrastructural loss of cervical cementum irradiated under the laser energy density of $37J/cm^{2}$ almost did not occur in specimens of Group IV.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ulsed Nd:YAG laser should be applied with the lasing conditions of unidirectional moving mode of fiber in contact to cementum surfaces under speed of 3mm-4mm/sec with air-spray and of laser energy density within $37J/cm^{2}$ as an adjunctive modality of periodontal therapy of root planing without irreversible structural deterioration of cervical cementum.

  • PDF